[Do you know? 김혜순] 모국어의 경계를 넘어서는 목소리
해외 문학상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한국 작가가 많아졌어요. 문학의 힘으로 세계에 이름을 알리는 우리 작가들을 키워드로 소개합니다.
김혜순 시인은 1955년생이에요. 1978년 신춘문예에서 평론 부문에 입선하면서 데뷔했지만, 그 다음해인 1979년 ‘문학과지성’에 ‘담배를 피우는 시체’ 외 4편의 시를 발표하며 시 작품 활동을 시작했어요. 시인 본인도 평론보다는 시를 더 쓰고 싶었다고. 문학평론가 김현은 김혜순의 글을 읽고 ‘비평은 쓰지 마라. 시 망가진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해요.
1988년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처음 강단에 선 후 2021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쳤어요. 천운영, 윤성희, 정이현 등의 작가도 김혜순 작가가 가르치던 시절 대학을 거쳐간 이력이 있죠. 지금은 문예학부 명예교수로 남아 후학을 양성하고 있어요.
한국에서 김수영문학상, 현대시작품상, 소월시문학상, 미당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한 김혜순 시인. 2018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죽음의 자서전’을 영역한 번역가 최돈미와 함께 그리핀 시문학상 인터네셔널 부문 상을 받았어요. 그리핀 상은 캐나다의 기업가 스콧 그리핀이 2000년 제정한 시 문학상으로, 번역 시집을 포함해 매년 캐나다와 인터네셔널 부문 각 한 명씩 시인을 선정해요. 2021년에는 캐나다 시카다상을, 2024년에는 미국도서비평가협회상을 받았죠. 다른 나라에서 한국 문학을 소개할 일이 있다면, 김혜순 시집을 추천하는 건 어떨까요?
김혜순 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예요. 바리데기 신화의 주인공은 여성이고, 신화의 마지막까지 이름이 나타나지 않죠. 표면적으로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딸의 이야기지만, 시인은 여성적인 서정성과 여성의 욕망기제를 숨긴 이야기로 봤어요. 김혜순 시인은 바리데기가 딸이라서 버려지고, 죽음의 장소로 들어가 여행하는 과정이 여성시인으로서 자신의 시가 ‘시하는’ 경험과 가깝다고 말해요.
바리데기 서사뿐 아니라, 김혜순 시인은 언제나 여성성과 여성주의에 관해 시를 써왔어요. 김혜순 시인은 이제까지 여성들의 정체성이 외부에서 다른 사람이 정해준 것이었다면, 여성성은 자기 내부에 있어 스스로 찾아야 한다고 봤어요. ‘여성은 언제 자신이 여성이라는 것을 깨닫는지’ ‘여성 시인이 여성의 말을 한다는 것’ 등을 꾸준히 고민해 온 시인이에요.
의외로 시인이 가사 노동을 할 때 듣는 음악은 힙합이에요. 『김혜순의 말』에 따르면 래원과 슬릭의 가사가 좋다고 생각했다 합니다. 가사가 어떻든 간에 비트와 박자, 플로우와 그루브를 들을 때의 희열이 있다니, 김혜순 시인을 힙합 리스너라 불러도 되겠네요.
딸의 이름. 이피는 첫 전시를 15세 때 연 재능 있는 미술가이기도 하죠.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 그림이 바로 이피 작가의 작품. 본명은 이휘재. 시카고 미술대학에서 공부했고, 미국에서 학교를 다닐 때 동급생들이 본명을 줄여 ‘휘’를 ‘피’라고 부르면서 이름이 ‘이피’가 되었다고 하네요.
추천 기사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20,700원(10% + 5%)
16,200원(10% + 5%)
15,120원(10% + 5%)
16,100원(0% + 5%)
12,600원(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