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김지승 칼럼] 나는 왜 나를 방해하는가? ②

김지승의 끔찍하게 민감한 질문들 3화 – 취약한 언어의 탄생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쓰지 못하는 이유야 충분하다 못해 넘친다. 그중 가장 유혹적인 건 쓰지 않으면 형편없음을 들킬 근거도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단 하나의 쓸 이유가 수백수천의 쓰지 않을 이유 위로 떠오른다. (2024.06.04)


김지승 작가가 읽고 쓰기 위한 여성의 질문들을 던집니다.
격주 화요일 연재.


unsplash


매일매일 혼자 돌자, 침묵 한 바퀴. 아침 일찍 일어나도 좀체 전해지지 않는 말들의 묘지인 몸 끝에서 끝까지 바람이 분다. 혈관이 오소소 떤다, 전율한다, 말이 태어난다. 멈출 수 없는 죽음이다. 사랑이다. 그 사랑이 먼 곳까지 헤엄쳐 쓸 것이다. 취약함을 무릅쓰고, 죽어도 죽지 않겠다는 약속에 기대, 무의미와 의미 사이의 태반을 핥으면서.


일기를 오래 쓰지 못했다. “핥으면서”로 끝난 마지막 일기 아래 짧은 문장이 그림자처럼 누워 있다. “여성은 오래전부터 침묵, 즉 자신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자신의 목소리를 듣는 능력과 자연스럽고 내밀하게 연관돼 있”었다는 뒤라스의 말1 . 그 옆에 쪼그려 앉아 있으면 뭐라도 쓰게 될까, 나는 몸을 구길 수 있을 만큼 구겨 한동안 침묵을 정성껏 품었다. 쓰지 못하는 이유야 충분하다 못해 넘친다. 얼굴 없는 비난도, 자아 연장 리뷰도, 친구와 지인들의 의도적 무반응도 불시에 고통스런 이유가 된다. 그중 가장 유혹적인 건 쓰지 않으면 형편없음을 들킬 근거도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단 하나의 쓸 이유가 수백수천의 쓰지 않을 이유 위로 떠오른다. 이유는 가벼울수록 잘 뜬다. 가령, 친밀한 여성 작가들의 일기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이유. 그 불행한 “쓸 수 없음” 속에서도 ‘나’는 너무 시끄럽다. 

메리 셸리의 경우는 조금 더 어려웠다. 작가로서 또는 여성으로서 자신을 드러내는 일이 곧 스스로를 파괴할 것이라는 불안이 상당했다. 글쓰기에는 불가피하게 어떤 종류의 표식이나 누락이 수반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도 그는 작가 자신을 공개하는 건 파멸을 자초하는 일이라고 여겼다. 200년 전 그의 두려움은 우리의 혈관에 살아 있다. 교실 뒷자리로부터 전해지는 쪽지 같은 메시지와 함께. “솔직하지 마. 다쳐.” 충분히 예상할 수 있듯 메리 셸리의 글은 “말할 수 없는 것”이 지배하는 구조와 긴밀히 관계한다. 일기는 그 구조가 더 촘촘하다. 간결하고, 자주 침묵한다. 한창 불안정한 시기(잦은 이사와 건강 악화 등)에도 일상적인 사건만을 짧은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가 불안정한 현실에 질서와 정상성을 부여하는 방식이었을지 모른다. 날씨와 읽고 있는 책, 차를 마신 장소에 관한 메모는 지나치게 간결해서 강렬하다.

상실과 고통에 대한 기록도 크게 다르지 않다. 갓 돌이 지난 딸 클라라의 죽음2 은 사실을 진술한 단 한 문장만이 남아 있다. 2주 후에야 그는 조금 더 쓴다. “책을 읽지 않을 때, 나는 항상 같은 지점으로 돌아온다. 내가 엄마였고, 더 이상은 아니라는 것.” 그가 중요한 감정을 거의 쓰지 않기 때문에 어쩌다 선택되어 쓰인 단어들 하나하나가 개별 사건처럼 읽힌다. 그렇다고 그가 일기에서조차 익명인 방식으로 자신을 지키는 걸 최우선으로 하며 만족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는 “(일기를 쓰며) 두려움 없이 자기 인식의 횃불을 들고 내 마음의 가장 깊은 동굴로 내려”갈 수 있다면 행복할 것 같다고 쓴다. 그의 바람은 벗어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이 침묵 속에서 계속 쓰는 이유가 되던 한 시절을 떠올리기 충분하다.

어떤 세계는 “말씀”으로 시작되었으나, 그곳에서 누락된 존재들의 세계는 침묵으로 거듭 창조된다. 메리 셸리는 침묵과 부재에서 말을 낳으며 쓸 이유가 가라앉지 않도록 했다. 『프랑켄슈타인』에서 보이는 시적 폭발은 일기 속 부재와 침묵이 만들어낸 압력으로 가능했을지 모른다. 메리 셸리는 거의 혼자였지만 이후 침묵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에 반발, 그것에서 태고적 우주를 낳은 여성 작가들은 그의 손을 뒤늦게 찾아 잡았다. 침묵은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달걀이고, 엘렌 식수의 타자이고, 테레사 학경 차의 월식(eclipse)하는 몸이다. 어떤 존재를 관통해 되살아나는 생명력을 지닌 침묵. 거기, 타자와 나의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발화의 장소에서 열리는 침묵. 그것은 취약한 언어가 탄생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메리 셸리로부터 100년 후 버지니아 울프가 새로운 사유와 형식의 픽션을 시도할 즈음 그의 일기는 픽션과 동반적인 리듬으로 쓰이며 변화한다. 언어를 소거해 침묵의 압력을 높였던 메리 셸리도 후기 일기에서는 다른 형식, 다른 언어를 시험했던 것처럼 버지니아도 여기에 있으면서 여기에 있지 않은 존재 방식, 의식의 흐름, 장르의 경계 등을 사유하고 시도하는 데 일기를 이용했다. 다른 점이라면 위태롭게 쓰고 때때로 기만적으로 자신을 지키는 방식에 버지니아가 조금 더 능숙했다는 것이다. 내 손을 잡고 있는 다른 손을 상상하며 거대한 부재와 침묵을 향해 가는 일이 여성의 쓰기라면, 버지니아에게는 상상할 수 있는 손들이 메리보다 많았을 테니까. 

“내가 할 말은 오직 너를 사랑한다는 것, 그리고 편지를 쓸 것이고, 죽지 않겠다는 것, 여전한 모습으로 집에 오겠다는 것, 그게 다야.”3   

시간을 들여 일기를 썼다. 마지막 문장 아래에 이번에는 앤 섹스턴의 글을 적어두었다. 1년 정도 만나지 못하게 된 친구 맥신 쿠민에게 앤 섹스턴이 남긴 쪽지는 짧고 뜨겁다. 내게는 언젠가 쓸 이유가 가볍게 떠오르면 백지 위에서 나란할 타자와의 약속 같기도 하다. 내가 나를 방해할 때, 취약해져서 과도해질 때, 여성이 여성에게 남긴 글은 내가 잡고 있다고 믿고 싶은 그 손이다. 저 먼 여자들을 지금 이곳에 데리고 오는 힘이다. 그러니까, 죽지 말고 손!


1  마르그리트 뒤라스·레오폴디나 팔로타 델라 토레 지음, 장소미 옮김, 『뒤라스의 말』, 마음산책, 2001.

2  샬럿 고든 지음, 이미애 옮김, 『메리와 메리』, 교양인, 2024.

3  매기 도허티 지음, 이주혜 옮김, 『동등한 우리』, 위즈덤하우스, p. 272.



추천기사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4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김지승

읽고 쓰고 연결한다. 『100세 수업』, 『아무튼, 연필』, 『짐승일기』, 『술래 바꾸기』 등을 썼다.

  • 뒤라스의 말 <마르그리트 뒤라스>,<레오폴디나 팔로타 델라 토레> 공저/<장소미> 역

    14,850원(10% + 1%)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 메리와 메리 <샬럿 고든> 저/<이미애> 역

    34,200원(10% + 5%)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 동등한 우리 <매기 도허티> 저/<이주혜> 역

    17,820원(10% + 5%)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 저/<김선형> 역

    9,900원(10% + 5%)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 ebook
    뒤라스의 말 <마르그리트 뒤라스>,<레오폴디나 팔로타 델라 토레> 공저/<장소미> 역

    11,500원(0% + 5%)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 ebook
    동등한 우리 <매기 도허티> 저/<이주혜> 역

    13,860원(0% + 5%)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 ebook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 저/<김선형> 역

    7,700원(0% + 5%)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첨단 도시 송도를 배경으로 한 세태 소설

제14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화려한 고층 건물에 살고 있는 중산층부터 그들의 건물이 반짝일 수 있도록 닦아내는 청년 노동자까지 오늘날 한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계층의 서사를 써냈다. 그들의 몸을 통해 욕망과 상처로 얼룩진 저마다의 삶을 복합적으로 표현했다.

사유와 성찰의 회복과 공간의 의미

빈자의 미학' 승효상 건축가가 마지막 과제로 붙든 건축 어휘 '솔스케이프’. 영성의 풍경은 파편화된 현대 사회에 사유하고 성찰하는 공간의 의미를 묻는다.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공간이야말로 건축의 본질이기에, 스스로를 어떻게 다듬으며 살 것인가에 대한 그의 여정은 담담한 울림을 선사한다.

당신의 생각이 당신을 만든다.

마인드 셋 전문가 하와이 대저택이 인생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제임스 알렌을 만났다. 인생의 벼랑 끝에서 집어 들었던 제임스 알렌의 책이 자신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담담하게 써 내려갔다. 생각하는 대로 삶이 이루어지는 내면 생각의 힘과 그 실천법을 만나보자.

그림과 인생이 만나는 순간

‘이기주의 스케치’ 채널을 운영하는 이기주의 에세이. 일상의 순간을 담아낸 그림과 글을 통해 현실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위로를 전한다. 소재를 찾는 것부터 선 긋기, 색칠하기까지, 작가는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 인생이 배어 있다고 말한다. 책을 통해 그림과 인생이 만나는 특별한 순간을 마주해보자.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