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 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2023.03.24)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는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연구해온 야마모토 다카미쓰가, 1870년경 니시 아마네가 서구의 학술을 쉽게 소개하려고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의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꼼꼼하게 해설한 것이다.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 강의는 서양 학술의 지도, 즉 학술의 전체상을 소개하면서 일본 근대지(近代知)의 체계를 구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서구 문물을 이입, 흡수하려 했던 메이지 시대에는 모든 학술을 처음 접하는 상태였으므로, 니시 아마네의 설명에는 학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를 번역해 만들어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 책으로 일본의 번역과 근대 전체를 조망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의 꼼꼼한 읽기와 현장감 넘치는 서술 덕분에 특정 학술 용어나 학문 분야를 지칭하는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야마모토 다카미쓰 저 | 지비원 역
메멘토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야마모토 다카미쓰> 저/<지비원> 역31,500원(10% + 5%)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희철학(希哲學),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學), 치지학(致知學), 통고학(通古學), 계지학(計誌學)은 오늘날 어떤 학문을 가리킬까? 이들 각각은 Philosophy(철..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ebook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야마모토 다카미쓰> 저/<지비원> 역24,000원(0% + 5%)

“니시 아마네의 비교문명론적 방법과 학문적 건축술을 따라가게 될 이 책의 독자들은 150년 전 ‘그 시대’ 동아시아를 들여다보는 즐거움뿐 아니라,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전체에의 새로운 통찰에 불현듯 이르게 될지도 모른다.”-황호덕(성균관대 교수, 문학평론가)1.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한 독립 연구자가..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

세계적인 자산가이자 동기부여 전문가 토니 로빈스의 모든 생각을 한 권에 집약한 책이다. 365가지 짧지만 강렬한 메시지를 읽고 질문에 답하며 실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루에 한 가지씩 저자의 가르침으로 내 안의 잠재력을 깨워 성공에 이르는 길로 다가가 보자.

경이로운 도시 식물 안내서

18세기 런던을 중심으로 430종 이상의 식물을 다뤘으며, 식물 세밀화의 원조로 손꼽히는 『런던 식물상』이 큐 왕립 식물원과의 협업으로 재탄생했다. 도시 식물의 진짜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아름다운 도판을 선정했으며, 식물학 연구로 밝혀진 최신 정보를 추가해 전문성을 더했다.

셜록 비켜! 실룩 탐정 나가신다

『시간가게』 이나영 작가의 야심 찬 탐정물. 코도 실룩실룩, 엉덩이도 실룩실룩. 여기 변비 걸린 붉은 토끼 ‘실룩’ 탐정이 등장했다. 수다쟁이 참새 조수 ‘소소’와 함께, 셜록 뺨치는 추리력으로 어떤 꽉 막힌 사건도 시원하게 해결한다. 귀여워서 한 번 웃고, 재밌어서 또 한 번 웃는 그 1권.

공부도 잘하고 행복하기까지 한 아이들의 비밀

아동발달 전문가 지니 킴 박사가 20년 동안 연구한 결과, 하버드대 학생들의 경우 회복탄력성 지수가 유난히 높았다고 한다. 금수저 아이도 좌절의 순간은 피할 수 없다. 이 때 회복탄력성이 높은 아이들은 실패를 딛고 분연히 일어나 한 단계 성장한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