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 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2023.03.24)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는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연구해온 야마모토 다카미쓰가, 1870년경 니시 아마네가 서구의 학술을 쉽게 소개하려고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의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꼼꼼하게 해설한 것이다.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 강의는 서양 학술의 지도, 즉 학술의 전체상을 소개하면서 일본 근대지(近代知)의 체계를 구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서구 문물을 이입, 흡수하려 했던 메이지 시대에는 모든 학술을 처음 접하는 상태였으므로, 니시 아마네의 설명에는 학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를 번역해 만들어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 책으로 일본의 번역과 근대 전체를 조망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의 꼼꼼한 읽기와 현장감 넘치는 서술 덕분에 특정 학술 용어나 학문 분야를 지칭하는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야마모토 다카미쓰 저 | 지비원 역
메멘토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야마모토 다카미쓰> 저/<지비원> 역31,500원(10% + 5%)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희철학(希哲學),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學), 치지학(致知學), 통고학(通古學), 계지학(計誌學)은 오늘날 어떤 학문을 가리킬까? 이들 각각은 Philosophy(철..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ebook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야마모토 다카미쓰> 저/<지비원> 역24,000원(0% + 5%)

“니시 아마네의 비교문명론적 방법과 학문적 건축술을 따라가게 될 이 책의 독자들은 150년 전 ‘그 시대’ 동아시아를 들여다보는 즐거움뿐 아니라,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전체에의 새로운 통찰에 불현듯 이르게 될지도 모른다.”-황호덕(성균관대 교수, 문학평론가)1.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한 독립 연구자가..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누가 왜 괴물 부모가 되는가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우리사회는 본격적으로 괴물 부모와 마주하게 됐다. 일부의 일탈이 아니다. 많은 부모가 괴물이 되었다. 이들은 교실을 교란하고, 자식마저 망친다. 이 책은 우리보다 먼저 괴물 부모 문제를 겪은 홍콩과 일본 사례를 검토하며 대처법을 모색했다.

마음을 치유하는 그림책 처방전

고민을 듣기 위해 교실에 세워진 우체통. 학생 저마다의 사연에 조언을 주고, 마음을 보듬는 그림책을 추천해 온 이현아 선생님은 더 많은 아이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책을 펴냈다. 상황에 맞는 선생님의 마음 약 편지와 처방받은 그림책을 읽다 보면 어느덧 생채기 난 마음엔 새살이 돋아날 것이다.

6,000년 세계사를 단숨에!

53만 역사 유튜버 쏨작가의 첫 책. 오늘날 꼭 알아야 할 세계사의 핵심을 한 권으로 정리했다. 고대 문명부터 강대국의 발전 그리고 오늘날 세계정세의 흐름까지, 속도감 있게 전개되는 저자만의 스토리텔링은 세계 역사의 결정적 장면과 최소한의 역사 교양을 흥미진진하게 전달한다.

외로운 드라큘라가 전하는 따스한 위로

『티나의 종이집』 김개미 작가의 신작 동시집. 혼자 살아가는 드라큘라 아이를 통해, 어른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아이들의 외로움과 두려움을 들여다 본다. 어린이라고 무조건 밝고 즐겁기만 해야할까? 이젠 우리 아이 마음 속 외로움에 따스한 위로를 전할 때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