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7주년 특집] 역대 명칼럼 - <김현의 더 멀리>

<월간 채널예스> 2022년 7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에세이를 만들다 보니 좋은 에세이란 무엇일까 종종 생각한다. 정답 따윈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3인칭의 세계를 품은 에세이를 만나면 자주 마음을 빼앗긴다. (2022.07.13)


7년 동안 <월간 채널예스>에 실린 연재 칼럼은 총 80여 개. 
그중에서도 출판 편집자들이 가슴 두근대며 읽은 칼럼은 무엇일까? 


<김현의 더 멀리>

한 권의 시집을 시인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글쓴이 : 김현(시인) 

연재 기간 :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읽기 : 채널예스 웹진(ch.yes24.com) ▶ 칼럼 ▶ 불후의 칼럼 ▶ 김현의 더 멀리


에세이의 옆자리

에세이를 만들다 보니 좋은 에세이란 무엇일까 종종 생각한다. 정답 따윈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3인칭의 세계를 품은 에세이를 만나면 자주 마음을 빼앗긴다. 그러니까 ‘나는’이 아닌 ‘그는’ 혹은 ‘그것은’으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에세이. 그런 글은 작가를 보게 하지 않고, 작가가 가리키는 곳을 보게 한다. 신기한 건 그럴수록 작가가 더욱 또렷이 보인다는 것이다.

<월간 채널예스>의 많은 칼럼이 근사하지만, ‘김현의 더 멀리’를 특히 좋아했다. 잡지를 받으면 가장 먼저 챙겨 읽고, 모든 글을 읽은 다음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읽었다. 김현의 칼럼은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밥과 물과 김치만으로 차려진 밥상”, “볕이 드는 책상에 엎드려 잠시 눈을 붙이는 쪽잠”(「여름에는 저녁을 산책을 허밍을」) 같았다. 매달 한 권의 시집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냈지만, 그것에 기대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의 글은 일상에서 마주친 대상을 풍경 삼아 쓴 또 한 편의 시에 가까웠다. 간밤 꿈에 나온 이모, 시력이 점점 더 나빠지는 동료 시인, 바닷가 모래밭을 걷다 발견한 하트 그림 속 이름 '병훈'과 '승희'가 그의 손끝이 가리키는 곳에 서 있었다. 어느 회에는 직장 동료가 손에 쥐여준 귤 한 알이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김현의 더 멀리’를 읽을 때면, 작가가 내어준 옆자리에 나란히 앉아 타자를 풍경처럼 오래 바라보는 기분이 들었다. 그러면서 생각했다. 좋은 에세이를 읽는다는 건 “나에게서 떨어진 타인을 관찰하며 나를, 나의 생활을, 나의 감정을, 나의 생각을, 나의 언어를 물끄러미 들여다보는 일”(「나도 모르는 사이에」)일지도 모른다고.

이것이 에세이가 논픽션의 영역이면서도 끝내 문학일 수밖에 없는 이유 아닐까. 그가 독자의 시선을 여기에서 저기로 ‘더 멀리’ 데려다 놓는 에세이를 오래오래 쓰길 바란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김태형(제철소 편집자)

오늘의 책

누가 왜 괴물 부모가 되는가

서이초 사건을 계기로 우리사회는 본격적으로 괴물 부모와 마주하게 됐다. 일부의 일탈이 아니다. 많은 부모가 괴물이 되었다. 이들은 교실을 교란하고, 자식마저 망친다. 이 책은 우리보다 먼저 괴물 부모 문제를 겪은 홍콩과 일본 사례를 검토하며 대처법을 모색했다.

마음을 치유하는 그림책 처방전

고민을 듣기 위해 교실에 세워진 우체통. 학생 저마다의 사연에 조언을 주고, 마음을 보듬는 그림책을 추천해 온 이현아 선생님은 더 많은 아이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책을 펴냈다. 상황에 맞는 선생님의 마음 약 편지와 처방받은 그림책을 읽다 보면 어느덧 생채기 난 마음엔 새살이 돋아날 것이다.

6,000년 세계사를 단숨에!

53만 역사 유튜버 쏨작가의 첫 책. 오늘날 꼭 알아야 할 세계사의 핵심을 한 권으로 정리했다. 고대 문명부터 강대국의 발전 그리고 오늘날 세계정세의 흐름까지, 속도감 있게 전개되는 저자만의 스토리텔링은 세계 역사의 결정적 장면과 최소한의 역사 교양을 흥미진진하게 전달한다.

외로운 드라큘라가 전하는 따스한 위로

『티나의 종이집』 김개미 작가의 신작 동시집. 혼자 살아가는 드라큘라 아이를 통해, 어른들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아이들의 외로움과 두려움을 들여다 본다. 어린이라고 무조건 밝고 즐겁기만 해야할까? 이젠 우리 아이 마음 속 외로움에 따스한 위로를 전할 때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