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7주년 특집] 역대 명칼럼 - <김현의 더 멀리>

<월간 채널예스> 2022년 7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에세이를 만들다 보니 좋은 에세이란 무엇일까 종종 생각한다. 정답 따윈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3인칭의 세계를 품은 에세이를 만나면 자주 마음을 빼앗긴다. (2022.07.13)


7년 동안 <월간 채널예스>에 실린 연재 칼럼은 총 80여 개. 
그중에서도 출판 편집자들이 가슴 두근대며 읽은 칼럼은 무엇일까? 


<김현의 더 멀리>

한 권의 시집을 시인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글쓴이 : 김현(시인) 

연재 기간 : 2018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읽기 : 채널예스 웹진(ch.yes24.com) ▶ 칼럼 ▶ 불후의 칼럼 ▶ 김현의 더 멀리


에세이의 옆자리

에세이를 만들다 보니 좋은 에세이란 무엇일까 종종 생각한다. 정답 따윈 없다는 걸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3인칭의 세계를 품은 에세이를 만나면 자주 마음을 빼앗긴다. 그러니까 ‘나는’이 아닌 ‘그는’ 혹은 ‘그것은’으로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에세이. 그런 글은 작가를 보게 하지 않고, 작가가 가리키는 곳을 보게 한다. 신기한 건 그럴수록 작가가 더욱 또렷이 보인다는 것이다.

<월간 채널예스>의 많은 칼럼이 근사하지만, ‘김현의 더 멀리’를 특히 좋아했다. 잡지를 받으면 가장 먼저 챙겨 읽고, 모든 글을 읽은 다음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읽었다. 김현의 칼럼은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밥과 물과 김치만으로 차려진 밥상”, “볕이 드는 책상에 엎드려 잠시 눈을 붙이는 쪽잠”(「여름에는 저녁을 산책을 허밍을」) 같았다. 매달 한 권의 시집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냈지만, 그것에 기대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의 글은 일상에서 마주친 대상을 풍경 삼아 쓴 또 한 편의 시에 가까웠다. 간밤 꿈에 나온 이모, 시력이 점점 더 나빠지는 동료 시인, 바닷가 모래밭을 걷다 발견한 하트 그림 속 이름 '병훈'과 '승희'가 그의 손끝이 가리키는 곳에 서 있었다. 어느 회에는 직장 동료가 손에 쥐여준 귤 한 알이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김현의 더 멀리’를 읽을 때면, 작가가 내어준 옆자리에 나란히 앉아 타자를 풍경처럼 오래 바라보는 기분이 들었다. 그러면서 생각했다. 좋은 에세이를 읽는다는 건 “나에게서 떨어진 타인을 관찰하며 나를, 나의 생활을, 나의 감정을, 나의 생각을, 나의 언어를 물끄러미 들여다보는 일”(「나도 모르는 사이에」)일지도 모른다고.

이것이 에세이가 논픽션의 영역이면서도 끝내 문학일 수밖에 없는 이유 아닐까. 그가 독자의 시선을 여기에서 저기로 ‘더 멀리’ 데려다 놓는 에세이를 오래오래 쓰길 바란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김태형(제철소 편집자)

오늘의 책

지정학의 시대, 돈의 미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주도로 확립된 세계의 질서는 점차 흔들리고 있다. 기축통화로 통용된 달러의 위상도 예전 같지 않으며 보편적 화폐에 대한 갈망도 커지고 있다. 변화하는 세계 질서를 이해하고 화폐와 비트코인의 미래를 오태민 저자의 인사이트로 잘 정리한 책이다.

인공지능이 요구하는 인간, 인문학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기술 챗GPT. 이 기술이 어디에서 활용되고, 업무 형태를 어떻게 바꿀지를 논한 책은 많았다. 그런데 대한민국 학자가 인간성, 인문학에 미칠 영향을 광범위하게 탐색한 책은, 단언컨대 『AI 빅뱅』이 최고다. 인간성, 인문학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에 내린 저주의 미스터리를 찾아서

김진명 작가의 2년 만의 신작 소설. 어느 날 대통령에게 의문의 ‘나이파 이한필베’라는 메시지가 도착한다. 이 메시지를 풀기 위해 대통령실 행정관 은하수는 고군분투하며, 대한민국에 내려진 저주의 정체를 쫓기 시작한다. 허구의 설정이지만 과거와 미래를 직면하게 하는 소설.

누구나 그 시간을 건너 어른이 된다

누구나 사춘기를 겪는다. 동물도 겪는다. 청소년 다람쥐는 방울뱀을 놀리고, 여우원숭이는 가장 가는 나뭇가지만 올라탄다. 이 책은 동물들의 성장기를 분석하여, '성장'이라는 인생의 여정을 매혹적으로 그려낸다. 세상의 모든 '새끼'들이 '어른'으로 자라는 과정은 경이로움마저 느껴진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