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7주년 특집] 종이 잡지를 볼 때 찾아드는 감정 - 김신식 감정 사회학 연구자

<월간 채널예스> 2022년 7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웹진과 유튜브의 시대, 종이로 된 잡지는 이제 매력적이지 않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과연 그럴까? 김신식 연구자에 따르면 독자에게 가닿은 잡지 한 권이 읽히는 방식은, 놀랍게도 넷플릭스나 웨이브 같은 OTT 서비스의 시청 방식과 유사할 수도 있다. (2022.07.12)


웹진과 유튜브의 시대, 종이로 된 잡지는 이제 매력적이지 않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과연 그럴까? 김신식 연구자에 따르면, 독자에게 가닿은 잡지 한 권이 읽히는 방식은, 놀랍게도 넷플릭스나 웨이브 같은 OTT 서비스의 시청 방식과 유사할 수도 있다. 시간이 지나도 독자의 책꽂이를 지키고 있는 <월간 채널예스>도 마찬가지다.


스킵하며 보기의 미덕

이젠 유물처럼 인식되지만, 영화를 비디오로 감상한 시절이 있었다. 이를 두고 미디어 이론가 지그프리트 칠린스키(Siegfried Zielinski)는 영화 보기가 책의 이용과 닮았다고 말했다. 가령 비디오테이프는 영화를 책처럼 빌려 보거나 소장하는 경험을 제공했다. VCR은 보고픈 다음 페이지로 얼른 넘어가거나(빨리 감기) 이해가 되지 않는 페이지는 다시 들추어 보는 행위(되감기)와 비슷한 경험을 선사했다. 옛날이야기를 한 김에 좀 더 하자면 오래전 대학 수업이 떠오른다. 『미디어의 이해』(1964)란 고전을 강독하는데 저자인 마셜 맥루언(Marshall Mcluhan)의 생각에 꽤 충격을 받았더랬다. 홈 비디오가 제대로 보급되지도 않은 1960년대 당시에 맥루언은 일찍이 예언했다. 영화는 책의 단계로 들어설 것이라고.

정리해 보면 오늘날 유튜브, OTT에서 발생된 영상 문화 때문에 서적 소비의 인기가 줄어드는 건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렇다고 책이나 잡지 등 종이로 된 기록물을 보는 경험과 영상을 보는 경험이 서로 적대적인 건 아니다. 가령 OTT 서비스를 상징하는 ‘오프닝 건너뛰기’를 떠올려보자. 이는 미용실이나 은행에서 자기 차례를 기다리면서 잡지 앞쪽부터 거칠게 넘기며 보다가, 끌리는 기사가 나오면 눈길을 고정해 온 경험과 유사하다.

특히, 건너뛰어 보기는 잡지의 큰 매력이다. 잡지엔 이른바 ‘스킵(skip)하며 보기’의 미덕이 있다. 순서대로 보아야 하는 절차를 생략하고선 페이지를 건너뛰어 내 취향과 충동에 부합하는 지면으로 직결할 자유가 허락된다. 그러한 자유 아래 나는 독서에 관한 부끄러움을 덜게 됐다. 잡지는 정보나 지식을 받아들이는 너의 태도는 한참 잘못됐다는 꾸지람 앞에서 주눅 들지 않게 해주는 둥지였다.


꼭 본방을 사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처럼 잡지를 접하는 경험을 대표해 온 ‘스킵하며 보기’는 현장에서 잡지를 만드는 사람의 지론을 고려할 때 도드라진다. 혹자는 잡지도 책처럼 오랫동안 간직될 생명력을 지닌 매체라고 역설한다(간직론). 다른 누군가는 잡지는 간직되려는 순간 망한다며 시의성이 다하면 쉽게 버려짐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휘발론). 언뜻 스킵하며 보기는 ‘휘발론자’의 손을 들어주는 듯하다. 

한데, 개중엔 잡지가 신경 쓰는 시의성에 아랑곳하지 않는 독자도 존재한다. 이들은 잡지 관계자가 강조하는 ‘지금 이때 읽으세요! 나중에 읽으면 시들시들할 거예요.’ 식의 주문을 건너뛴다. 한참 시간이 흘러 비닐도 뜯지 않은 채로 모아둔 과월호를 몰아 보면서 자신의 삶에 들어맞는 시의적절함을 확인한다. 

마치 본방 사수는 놓쳤지만 OTT로 몰아서 보며 자신만의 묘미를 찾는 시청자와 흡사하다고 할까. 앞서 든 예시는 달력에 명시된 기념일, 일간지의 헤드라인, 포털이 선택한 화두로 짜인 타임라인이 곧 잡지를 이루는 주된 타임라인일 필요가 없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우리가 그런 타임라인에 갇혀 잡지를 소비할 필요가 없음을 알려준다. 그러므로 다분히 낯섦을 감수한 다음의 표현은 어떨까.

‘잡지를 볼 땐 꼭 본방을 사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식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

생각해 보면 그랬다. 여기 아무개가 갓 나온 잡지를 손에 쥐고 있다. 그는 다음 호가 나올 때까지 잡지 속 기록을 되도록 신속하게 읽어버려야 잡지를 제값에 본 것이라는 부담감에 은근히 사로잡혀 있다. 그러다 보니 잡지 속 글을 일정 기간 내에 당장 읽지 않으면 손에 쥔 잡지를 대하는 마음이 빨리 식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자연스레 정착됐다. 그런데 이러한 두려움은 잡지를 기획하거나 소비하는 이라면 불가피하게 감내해야 할 감정일까? 

잡지를 향한 감정에도 정전(canon)이 있다면, 잡지란 주어진 시기 안에 금세 읽지 않으면 왜 기록의 열기가 식어버릴지 모른다는 두려움과 얽혀 있을까? 이러한 두려움은 잡지를 기획하거나 소비하는 이라면 불가피하게 감내해야 할 감정일까? 이 사회를 지배해 온 시간대를 의식한 기록물이 아닌, 남다른 시간성을 발명하는 기록물인 잡지를 상상한다면 무모한 걸까? 극장에서부터 OTT까지 영화를 접하는 경험의 변천사를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듯 잡지도 마찬가지리라. 그리하여 나는 지금의 우리가 미처 상상하지 못할 잡지의 미래를 기다리는 쪽을 조심스레 택했다. 이를 위해 나는 ‘잡지는 잡지답게 보기’라는 기존의 경험을 스킵한 상태로 잡지를 본다.

그리고 <월간 채널예스>를 본다. 내가 겪어온 출판계는 그 어느 영역보다 누군가에게 업데이트된 소식을 안겨다 주어야 한다는 것에 민감했고, 그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소식이 들려오면 몹시도 아파하는 곳이기도 했다. 신묘하게도 바로 그 점 때문에 이 세계를 떠나지 못하는 종사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들의 복잡 미묘한 심정을 <월간 채널예스>가 지금보다 더 섬세히 조망해 주길 소망해 본다. 그런 기록은 스킵할 이유가 없다.



*김신식

감정 사회학 연구자. 『다소 곤란한 감정』, 『연구자의 탄생』(공저) 등을 썼다.




미디어의 이해
미디어의 이해
허버트 마셜 매클루언 저 | W. 테런스 고든 편 | 김상호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김신식

감정 사회학 연구자. 『다소 곤란한 감정』, 『연구자의 탄생』(공저) 등을 썼다.

미디어의 이해

<허버트 마셜 매클루언> 저/<W. 테런스 고든> 편/<김상호> 역24,500원(0% + 0%)

새롭게 편집한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의 결정판 시간이 흐를수록 가치가 더해지는 이 시대 최고의 고전 매클루언의 고전 『미디어의 이해』는 '읽히기보다는 더 자주 회자되는 책'이다. 어떤 대상을 설명하기보다는 현상 자체의 탐색과 탐험 자체를 보여 주려 했던 것이 매클루언의 글쓰기 방식이었다. 이러..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모두가 기다린 찰리 멍거의 이야기

버크셔 해서웨이의 전설, 찰리 멍거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국내 최초로 공식 출간된 유일한 책이자 마지막 책. 방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철학을 완성하여 투자와 삶에 대한 지혜와 통찰을 선사한다. 세대를 아우르는 찰리 멍거의 생각과 사상을 집대성한 인생의 지침서

대한민국 No.1 일타 강사진의 특급 솔루션!

채널A 〈성적을 부탁해 티처스〉 공식도서로 스타 강사 정승제 x 조정식 멘토의 성적 급상승 전략을 비롯해 공부 습관, 태도 등을 다루며 학부모와 학생 모두에게 꼭 필요한 맞춤 솔루션을 제시한다. 자신만의 공부법을 찾는 학생들에게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해 줄 책이다.

창비×카카오페이지 영어덜트소설상 대상

정체불명의 바이러스로 어른들이 잠들어버린 세계. 멈추어버린 시간을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성장하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는 시선으로 담아냈다. 아이와 어른의 경계에서 헤매는 이들에게 단단한 용기와 위로를 건네는 소설.

어린이를 위한 지식 트렌드 리포트 2025

동물, 우주, 인체, 환경, 역사, 문화, 지리 등 올해의 과학 역사 교양 토픽을 한 권에! 초등학생이 꼭 알아야 할 필수 지식과 최신 정보를 두루 모은 최고의 다큐멘터리 매거진. 전 세계 아이들과 함께 보고, 매년 기다려 있는 세계 어린이를 위한 지구 탐험 교양서.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