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제목의 탄생] 왜 하필 이 제목이죠? (16)

<월간 채널예스> 2021년 12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내가 심장을 움직인 게 아니라 심장이 스스로 움직인다니. 그 순간, 몸은 의지를 가진 주체로서 다시 태어났다. ‘몸이 나를 위로한다.’ 그것이 맞았다. (2021.12.01)

언스플래쉬


『몸이 나를 위로한다』

남희경 저 | 생각속의집



몸동작 워크숍에서 이미 제목을 정했다. 저자의 제안에 따라 심장 부근에 두 손을 살며시 갖다 대는 순간, 심장의 박동소리가 온몸으로 퍼졌다. 내 생명을 지켜주는 몸의 움직임이었다. “몸이 움직입니다. 우리가 가만히 있는 순간에도 심장은 스스로 뛰면서 우리를 돌봅니다.” 내가 심장을 움직인 게 아니라 심장이 스스로 움직인다니. 그 순간, 몸은 의지를 가진 주체로서 다시 태어났다. ‘몸이 나를 위로한다.’ 그것이 맞았다.  성미옥(생각속의집)



『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정아은 저 | 문예출판사 



소설 원고를 받았다. 그것도 두 편이나. 일종의 연작소설인데, 두 권 중 한 권만 읽어도 무리가 없는 독특한 형식의 소설이다. 제목 하나 짓는 것도 일인데, 두 개를 동시에… 두 배로 삭신이 쑤셨다. 나는 가끔 시를 읽는다. 제목이 안 나올 때다. 집에 있는 시집을 몽땅 들어다 차례를 탐독한다. 땡기는(?) 제목이 있으면 펼쳐서 읽어본다. 영감이여, 오라. 연작 소설이니 두 개의 제목을 연결하면 하나의 문장이 되게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나온 문장이 ‘어느 날 몸 밖으로 나간 여자는 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그렇게 제목이 탄생했다.  고우리(문예출판사)



『모녀의 세계』

김지윤 저 | 은행나무



최종 후보는 둘이었다. ‘두 여자의 심리학’이냐 ‘모녀의 세계’냐. 사실은 엄마를 향한 딸의 처절한 외침을 담은 메시지형 제목을 뽑고 싶어 몇 날 며칠 머리를 싸매었으나 기존의 책들과 차별성이 분명히 드러나는 제목이 쉬 떠오르지 않았다. 다른 전략이 필요했고 그것은 ‘공감’이었다. 이 책의 탄생 기반이 된 김지윤 저자의 인기 강의에는 “내 얘기인 줄!”이라고 감탄사를 덧붙인 댓글들이 빼곡했다. 최종 제목으로 낙찰된 ‘모녀의 세계’는 그러한 공감을 포인트로 잡은 제목이다. 드라마 ‘부부의 세계’의 패러디이기도 하며, 본문 내 중제이기도 한 제목이었다. 늘 그렇듯, 찾고자 하는 것은 가장 가까이에 존재한다.  유화경(은행나무)



『꼭대기의 수줍음』

유계영 저 | 민음사



제목은 초교 때부터 결정돼 있었다. 책에는 많은 사람들이 등장한다. 바로 내 곁에 있는 사람보다는 과거에 머물거나 산책에서 스쳤을 뿐인 먼 곳의 사람들이. 시인은 그들에 대해 곰곰 깊은 생각에 잠기지만 조심스러운 태도 때문에 당사자들은 그 생각을 짐작해 볼 수조차 없다. 책에는 이런 구절이 등장한다. “우리는 나무들에게 배운 대로 주춤주춤 서로에게서 물러난다. 꼭대기의 수줍음처럼.” 꼭대기의 수줍음이란, 나무의 맨 위 가지들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자라는 것을 일컫는 현상으로, 덕분에 아래의 풀들까지 햇빛을 볼 수 있다. ‘꼭대기의 수줍음’이라는 아름다운 어감, 그리고 시인의 태도와 꼭 닮은 의미. 다른 제목은 생각해 보지 못했다.  정기현(민음사)



『법정의 얼굴들』

박주영 저 | 모로



판사님 덕분에 법정에 들어가본 적이 있다. 창 하나 없는 법정은 한낮의 여름 날씨가 무색할 만큼 어둡고 싸늘했다. 원고를 읽는 동안 볕 하나 없는 차가운 법정에 들어찬 얼굴들을 상상했다. 생후 71일 윤수의 얼굴은 폭력의 증거로서 법정 벽면에 떴을 것이고, 자살을 시도한 청년들은 얼굴을 숙인 채 피고인석에 앉아 있었을 것이다. ‘법정의 얼굴들’이라는 제목을 붙인 건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이 세상의 관심에서 비켜나 있는 선명한 얼굴들을 떠올려주길 바라서였다. 사건 너머 구체적인 얼굴들을 마주할 때에야, 우리는 함께 울 수 있을 것이다.  조은혜(모로)



몸이 나를 위로한다
몸이 나를 위로한다
남희경 저
생각속의집
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그 남자의 집으로 들어갔다
정아은 저
문예출판사
모녀의 세계
모녀의 세계
김지윤 저
은행나무
꼭대기의 수줍음
꼭대기의 수줍음
유계영 저
민음사
법정의 얼굴들
법정의 얼굴들
박주영 저
모로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엄지혜


eumji01@naver.com

오늘의 책

타인을 담아 내는 이석원의 섬세한 시선

일상 속에서 만났던 소중한 것들에 대한 이석원의 에세이. 저자의 담백한 문장들과 사진들이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가닿았을 때, 얼마나 부드러워지고 따스해지는지 느껴볼 수 있다. 타인을 함부로 판단하지 않고, 이석원만의 시선으로 이해해보려는, 섬세한 마음을 가득 담았다.

인생을 바꾸는 일상 기록의 힘

베스트셀러 『거인의 노트』로 기록의 중요성과 방법을 전한 대한민국 1호 기록학자 김익한 교수의 후속작이다. 일상 기록을 통해 인생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한 달 단위 기록의 중요성부터 일상 기록 방법, 기록이 가져오는 삶의 변화를 각 장으로 나눠 정리해 알려준다.

원만하게 관계 맺기

관계 전문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문요한 저자의 신작. 가족, 친구, 연인, 동료와 어색하거나 불화한 적이 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본인의 애착 유형, 경청과 자기돌봄 등 관계에서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개념을 임상 사례와 함께 친절히 알려준다. 판단의 언어에서 헤아림의 언어로 나아가보자.

단숨에 읽는 최소한의 서양미술사

미술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랐던 이들을 위한 미술 교양서. 미술 양식과 작품을 시대순으로 따라가며 인문학적으로 해설한다. 미술사에 숨겨진 인과관계는 미술사조와 작품 이해에 큰 도움이 되며, 방대한 양의 서양미술사가 원인과 결과로 이루어진 하나의 이야기임을 알려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