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해외로 간 한국문학 특집] 번역, 그보다는 번역 이후

<월간 채널예스> 2021년 4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양과 질에서 한국문학의 번역은 이미 일정 궤도에 올랐다. 바라건대, 다음 관심은 이곳을 향해야 한다. 번역된 한국문학은 해외 독자들에게 어떻게 ‘같고 다르게’ 읽힐까! (2021.04.14)


2019년 국립 대만대학교 앞에 있는 페미니즘 서점에 방문했을 때 그곳의 서가에서 『82년생 김지영』의 번역판을 만났다. 반가웠다. 그보다 더 반가웠던 것은 서점에서 만난 이 책의 대만 독자와 나눈 대화였다. 대만 독자는 소설 속 현대 여성이 경험하는 교육과 현실의 괴리감에 특히 공감한다고 말했다. 

문학 번역에 관한 기사를 볼 때마다 아쉬움이 남는다. 그 안에 필사적인 인정 욕망이나 패권적인 야심을 숨기고 있을 것만 같아 어딘가 음험한 느낌을 주는 ‘K-문학’이라는 말 때문만은 아니다. ‘국가 주도’의 뉘앙스 때문만도 아니다. 그 이야기의 고정된 패턴 때문이다. ‘해외로 뻗어가는 K-문학’ 같은 전형적인 표제 아래, 어떤 작품이 번역 출간됐다거나 상을 탔다는 내용만이 중점적으로 기사화된다. 거기에는 ‘자부심’이라는 기계화된 반응이 뒤따른다. 그런데 그렇게 ‘뻗어간’ 후에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텍스트가 작가의 손을 떠나면 그만이듯, 번역가의 손을 떠나면 그만인 것일까?

이제 ‘K-문학’이 해외로 뻗어간다는 이야기는 새삼스럽다. 한국문학의 번역은 이미 전기를 맞이했다. 수백 종의 작품이 번역 출간되고 있고 그 경로도 다양하며 주목받는 작품도 많다. 다음 단계의 이야기가 있었으면 한다. ‘그 이후’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그 작품이 번역문학으로서 어떻게 읽히고 세계의 독자들과는 어떻게 만났는지에 관한 이야기 말이다.



가령 지난해에는 『82년생 김지영』의 영어판이 출간되면서 영어권의 리뷰를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예상대로 그들의 반응은 달랐다. 『82년생 김지영』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김지영의 ‘침묵’이다. 그 끝에 그녀는 ‘빙의’되어 그동안 하지 못한 말들을 쏟아낸다. 억압된 것의 귀환이다. 그리고 그 ‘증상’을 분석하려는 의사가 등장해 김지영의 삶을 추적한다. 그가 서술하는 김지영의 삶은 그녀의 증상 원인이라 할 수 있지만, 표면적인 것에 불과하다. 그 전형화하는 ‘서술’의 방식 또한 그 증상의 원인 자체인 것이다. 그런데 이 증상이 ‘침묵’이라는 형태로 드러나는 것은 사실 사회문화적인 현상이다. 그래서 영어권 독자들은 김지영이 왜 침묵하는지, 왜 현실에 저항하지 않는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에게 침묵은 그녀의 ‘증상’이 아니라, 그 모든 일의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같은 책, 다른 느낌’인 셈이다. 반면 대만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독자들은 그 ‘침묵’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한다. 일본의 독자들은 특히 이 책을 읽고 ‘눈물’을 많이 보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했는데, 이러한 일본 독자들의 ‘눈물’은 ‘침묵’에 뒤따르는, 사회문화적으로 결정된 또 다른 ‘증상’의 형태가 아닐까.

또 번역가나 해외 독자들이 이 작품에 대해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고 언급하는 것이 바로 ‘맘충’이라는 표현이다. 매끄럽게 번역되지 않는, 번역될 수 없는 이 문제 지점, 여기에는 2010년대 우리 사회를 휩쌌던 혐오의 정동이 흔적을 남기고 있다. 『82년생 김지영』이 『타임』지 올해의 책에 이름을 올린 것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아카데미 영화제 수상을 한 것도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K-문학’과 ‘자부심’이라는 지루한 이야기 패턴을 택하는 대신, 이 텍스트들에 공통적으로 흔적을 남기고 있는 혐오 정동이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도 더 이야기해보면 어떨까.

요컨대, 이제는 문학 번역에 대한 다른 이야기 패턴이 필요하다. 물론 자국의 문학작품이 많이 번역된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읽히는(被讀)’ 경험을 통해 질문과 대화, 더 풍부한 이야기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작품의 번역 소식 자체에는 습관적인 ‘자부심’의 회로를 작동하는 대신 조금은 태연해질 필요가 있다. 우리 역시 번역문학을 즐겨 읽지 않는가. 대신 어떻게 번역되었는지와 어떻게 읽히는지에 관심을 기울였으면 좋겠다. 그 ‘읽힘’은 우리가 읽은 것과는 어떻게 같거나 다른지, 그 같고 다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했으면 좋겠다. 풍성한 읽음과 ‘읽힘’들의 만남과 교차가 이야기를 얼마나 더 풍성하게 만드는지에 관해 이야기했으면 좋겠다. 그것이 진짜 반가운 ‘K-문학’ 이야기가 아닐까?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안서현(문학평론가)

82년생 김지영

<조남주> 저12,600원(10% + 5%)

문학성과 다양성, 참신성을 기치로 한국문학의 미래를 이끌어 갈 신예들의 작품을 엄선한 「오늘의 젊은 작가」의 열세 번째 작품. 서민들의 일상 속 비극을 사실적이면서 공감대 높은 스토리로 표현하는 데 재능을 보이는 작가 조남주는 이번 작품에서 1982년생 '김지영 씨'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고백을 한 축으로, 고백..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ebook
82년생 김지영 -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저9,100원(0% + 5%)

문학성과 다양성, 참신성을 기치로 한국문학의 미래를 이끌어 갈 신예들의 작품을 엄선한 「오늘의 젊은 작가」의 열세 번째 작품. 서민들의 일상 속 비극을 사실적이면서 공감대 높은 스토리로 표현하는 데 재능을 보이는 작가 조남주는 이번 작품에서 1982년생 '김지영 씨'의 기억을 바탕으로 한 고백을 한 축으로, 고백..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우리 중 진짜 괴물은 누구인가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넬레 노이하우스 신작. 어느 날 한 소녀의 시신이 발견되고, 그녀의 엄마에게 사적 제재를 제공하는 한 단체가 접근한다. 강렬한 서사와 반전 속에 난민, 소셜미디어 등 현대 사회 문제를 녹아낸 노련미가 돋보인다. 그 끝에는 진정한 정의란 무엇인지 곱씹게 될 것이다.

시간을 사고파는 세상이 온다면?

시간 유전자를 이동하는 기술이 발견되어 돈만 있으면 누구나 시간을 살 수 있게 된 미래. 타임 스토어를 중심으로 영원한 생명을 꿈꾸는 자들의 흉악한 음모와 그들의 비밀을 파헤치는 아이들의 아슬아슬한 추격, 그리고 삶의 빛나는 가치를 이야기한다. 『열세 살의 걷기 클럽』 김혜정 작가의 신작.

경제의 중심에는 금리가 있다.

국제금융 최전선에서 활약한 조원경 저자의 신간. 금리가 경제와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자산 가치 증대와 리스크 관리에 필수적인 금리 이해를 돕기 위해 예금, 대출, 장단기 금리 등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여 금리와 경제의 상관관계를 설명해 주는 책.

세상에서 가장 든든한 내 편!

볼로냐 라가치상을 수상한 안효림 작가 신작. 화려하고 영롱한 자개 문양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부모의 맞벌이로 홀로 많은 시간을 보내던 아이가 신비로운 자개장 할머니와 함께 자개 나라를 모험하며 희망과 용기를 되찾는 이야기를 담았다. 진정한 보물은 가족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그림책이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