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런> 영화 <서치>를 만든 그 감독의 여전한 재능

장르의 제약을 뛰어넘는 아이디어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감독이 직접 설정한 이중 삼중의 제한된 조건을 아니쉬 차간티 본인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구상하여 주인공이 극복할 수 있게 장르적 재미를 개발한다. (2020.11.19)

영화 <런>의 한 장면

아니쉬 차간티는 <서치>(2018)의 연출자로 유명하다. <서치>는 실종된 딸의 행방을 찾는 아빠의 고군분투를 다룬 작품이다. 스릴러 장르에서는 흔하게 접하는 설정이다. 아니쉬 차간티는 데뷔작에서부터 스크린을 온통 PC의 윈도, 맥의 OS, 아이폰의 영상 통화, 메신저, 인스타그램 등의 화면으로 구성하여 흔한 설정의 해당 장르에 형식의 진화를 꾀하였다. 

새로움이 미덕인 전작은 차기작에서 감독의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완성도가 그에 못 미치거나 아이디어의 신선도가 떨어지면 전작의 성공이 요행이었다는 식의 비판이 따라오는 까닭이다. 아니쉬 차간티의 두 번째 작품은 <런>이다. 오히려 전통적인 방식으로 회귀하여 스릴러의 흔한 클리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그 안에 자기만의 색깔을 풀어 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게끔 흡입력 있게 끌고 간다. 

도망치다, 달리다의 의미가 있는 <런>은 엄마에게서 도망쳐야 하지만, 달릴 수가 없어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탈출을 감행하는 딸의 악전고투가 중심에 선다. 다리를 쓰지 못해 휠체어에 의지하는 클로이(키에라 앨런)는 늘 복용하는 약이 담긴 병에 엄마 다이앤 셔먼(사라 폴슨)의 이름이 표기된 걸 보고 이상하게 여긴다. 엄마가 아픈가? 멀쩡히 걷는데? 다이앤은 딸 네가 잘못 본 거라고 네 건강이나 신경 쓰라고 약을 건넨다. 

뭘까? 클로이는 약의 정체가 궁금하다. 엄마가 잠든 밤, 2층 자기 방에서 조심조심 휠체어를 몰고 계단의 운반 장치를 타고 내려와 컴퓨터를 켜고 구글 크롬을 작동하여 약을 검색하니,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뜬다. 클로이는 점점 의심이 든다. 다리가 불편한데 왜 굳이 이층에 방을? 내가 먹는 약인데 약병에는 왜 엄마 이름이? 인터넷은 왜 안돼? 간신히 알아낸 약의 정체, 사람이 복용하면 다리가 마비되는 동물 치료제다! 

<서치>에서 그랬듯이 <런>에서도 아니쉬 차간티는 ‘울타리’를 친 설정으로 다중의 어려움을 안긴다. 가족이 원인이 된 불상사로 주인공을 일단 좌절하게 한 후 집을 벗어나지 못하게 족쇄까지 달아 웬만해서는 헤어나오기 힘든 고통의 미로를 설계한다. 묘미는, 감독이 직접 설정한 이중 삼중의 제한된 조건을 아니쉬 차간티 본인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구상하여 주인공이 극복할 수 있게 장르적 재미를 개발한다는 데 있다. 

다리를 쓸 수 없는 클로이는 심지어 방에 갇힌다. 문은 바깥에서 막아 놓아 나갈 수도 없다. 휠체어도 무용지물이라 이동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창문을 넘고 추락 위험이 있는 지붕을 간신히 기어 옆 방의 닫힌 창문을 깨고 들어가 어찌어찌해서 겨우 집 밖으로 나오는 데 성공한다. 이제 자신이 엄마에게 학대당한 사실을 경찰에 알리면 되는데 외딴 지역이라 도로가 단 한 군데라서 엄마와 맞닥뜨리는 상황에 직면한다. 

하나를 넘기면 두 개가, 두 개를 극복하면 세 개가, 세 개를 뛰어넘으면 그 이상의 제약이 등장하는 <런>은 육상으로 치면 허들 경주다. 마라톤 길이로 늘려 중간 반환 지점에서 두 사람이 바통을 교환하게 한 후 쉬지 않고 뛰고 넘도록 하는 경기를 닮았다. 물론 바통을 주고받는 두 사람은 클로이와 다이앤이다. 감금하고 감금당하는 구도의 영화는 보통 선악을 구별해 선의 해피엔딩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게 보통이다. 그와 다르게 <런>은 가족으로 묶인 두 사람이 가족애에 관한 서로 다른 정의로 상대를 괴롭혀야 하는 배경이 있다. 


영화 <런> 공식 포스터

승패를 따질 수 없는 가족애는 이해의 여부가 관계의 성격을 결정하는 판단 근거가 된다. <런>은 이에서 또 다른 게임의 조건을 적용하여 클로이와 다이앤 간의 관계 역전을 반전으로 활용한다. <서치>도 그렇고, <런>까지, 아니쉬 차간티에게 영화는, 장르는 극 중 인물을 제약의 미로에 빠뜨려 탈출하게 하는 일종의 게임이다. 아니쉬 차간티는 <런>을 연출하면서 이런 얘기를 했다. “컴퓨터 스크린에서 일어나는 또 다른 영화를 절대 만들지 않을 생각이다. 그런 개념 때문에 틀에 박히고 싶지 않다.” 

아니쉬 차간티가 <서치>에서 컴퓨터와 각종 SNS 바탕 이미지로 영화 전체를 꾸민 건 장르를 새롭게 바꾸려는 야심이라기보다 그렇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아이디어를 게임의 규칙으로 삼아 스릴러의 묘미를 확장하려는 시도이었다. <런>이 전작과 다르게 전통적인 스릴러로 보인다면 컴퓨터 스크린이 중심이 아니어서다. (컴퓨터 화면은 단 한 시퀀스에 등장한다!) 아니쉬 차간티는 가족애를 시험에 들게 하는 설정에 여러 개의 벽을 세워두고 이를 넘는 아이디어를 사연으로 꾸민다. 그게 아니쉬 차간티가 감독으로서 가진 재능의 정체다. 


영화 <런> 예매하러 가기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2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허남웅(영화평론가)

영화에 대해 글을 쓰고 말을 한다. 요즘에는 동생 허남준이 거기에 대해 그림도 그려준다. 영화를 영화에만 머물게 하지 않으려고 다양한 시선으로 접근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