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불후의 칼럼 > 허남웅의 영화경(景)
<82년생 김지영> 선이 아닌 점 안에서 하나 되기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몰랐던 당신과 나의 이야기
조남주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82년생 김지영>은 남편 대현(공유)의 시선으로 지영(정유미)을 ‘지켜보는’ 영화다. 관심이나 주의를 기울여 지영을 살피지만, 대현의 “다 안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책의 목소리에는 그저 알고 이해하려는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뉘앙스가 진득하다. (2019. 10. 24)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82년생 김지영’의 아빠일 수도, 남편일 수도, 오빠일 수도, 사돈총각일 수도, 직장 동료일 수도, 그저 스쳐 가는 인연일 수도 있을 ‘나’는 지영의 사연을, 지영이 처한 상황을, 지영이 안고 있는 고민을 이해한다고 생각했다. 태어나서는 아들이 아니라 외면받고, 자라면서는 남자 형제 우선이라 뒤로 밀리고, 사회로 나와서는 능력이 남자만 못하지 않느냐고 차별받고, 결혼 후에는 출산과 육아로 독박 쓰고, 결혼하지 않으면 여태 싱글이냐며 눈총받고, 하고 싶은 게 많아 어렵게 경력을 이어가려 하면 남편 뒷바라지는 누가하고, 아이는 누가 돌보냐며 볼멘소리 듣고, 그러고 나서도 이어지는 차별과 혐오와 조롱과 배제의 시선들.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조남주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82년생 김지영>은 남편 대현(공유)의 시선으로 지영(정유미)을 ‘지켜보는’ 영화다. 관심이나 주의를 기울여 지영을 살피지만, 대현의 “다 안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책의 목소리에는 그저 알고 이해하려는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뉘앙스가 진득하다. 안다는 것과 직접 경험한다는 것의 차이는 이 사회의 불평등을 남자로서 목격하고 문제를 인식하는 것과 여자로서 감내해야 하는 것의 다름과 어긋남을 반영한 결과인 까닭이다. 한창 명절 음식을 준비 중일 때 아내 생각에 힘드니까 쉬라는 남편의 말이 고맙기보다 상황파악 못하는 걸로 느껴지는 배경, 그럼으로써 시댁 식구에게 받게 될 압박이 아내 입장에서는 더 곤혹인 원리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한 장면
그렇게 사람 속을 몰라주니 지영은 하고 싶은 게 많았고 그래서 하고 싶은 걸 위해 시간을 투자할 수 있었던 과거의 자신을 떠올리는 순간이 많아졌다. 결혼과 출산으로 자신을 위해 할애할 시간이 아예 없어진 현재를 기억하지 못하는 때도 이제는 숱하다. 지영에게는 이전과 달라진 일상과 현실에 갇혀 있는 기분이 드는 것과 다르게 대현은 지영이 다른 사람이 된 듯한 모습일 때가 많아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친한 회사 동료에게 고민을 털어놓아도 돌아오는 반응이란 게, 집에서 아이 보고 밥하는 것만큼 편한 게 어디 있느냐며 도움까지는 무슨 공감은커녕 차별과 혐오라는 사실도 모르는, 요단강을 넘어선 인식의 현실이다.
사회적 차별과 관련해 좁힐 것 같지 않은 남녀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작품이었다면 <82년생 김지영>이 이렇게 관심받지는 않았을 터. 연출을 맡은 김도영 감독은 “내 가족, 친구, 그리고 우리의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어떠한 곳에서 살아왔고, 살고 있고, 앞으로 살아가야 할까 그런 고민을 함께 나누고 공감할 수 있기 바란다.”는 의도를 밝혔다. <82년생 김지영>의 마지막 장면을 빌려 설명하자면, 한국 사회라는 도로를 위험천만하게 달리는 여성을 향한 차별과 혐오와 조롱의 폭력을 멈춰 세우고 세상의 대현들과 지영들이 서로 손잡고 안전하게 건널 수 있는 그런 세상이 되기를 희망하는 영화로 말이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한 장면
다만, 아직 현실은 그러지를 못해 온갖 차별이 시스템으로 사방을 두른 한국 사회 안에서 마음의 병을 얻은 딸 지영을 본 엄마의 마음은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다. 자신도 겪었을 그 차별을 고스란히 딸에게 물려줬다고 생각하니 그 자신이 원망스럽고 딸의 고통은 나 몰라라 막내아들만 챙기는 남편이 그렇게 미울 수가 없다. 그렇게 자책하고 원망하는 감정으로 불합리한 상황을 감내해왔던 엄마는 딸만큼은 부조리한 현실의 희생양이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지영을 향해 “너 하고 싶은 거 해” 그 자신도 바랐지만, 평생을 속에만 담아두었던, 늦긴 했어도 지금이라도 해야 내가, 내 딸이, 한국사회의 여성이 숨통을 트고 원하는 대로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의 출발‘점’에 설 것만 같다.
두 개의 트랙으로 이뤄진 출발’선’ 한쪽에 서 있어야 하는 건 ‘82년생 김지영’의 아빠일 수도, 남편일 수도, 오빠일 수도, 사돈 총각일 수도, 직장 동료일 수도, 그저 스쳐 가는 인연일 수도 있을 세상의 모든 ‘대현’이다. 그리고 ‘나’다. 골인해야 하는 지점은 모두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평등 사회다. 그러니까, 이건 남자와 여자가 편을 갈라 내가 뛰어나니, 네가 부족하니 눈에 쌍심지를 켜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서로를 짓밟는 경쟁이 아니다. 선을 그어 편을 나눈 트랙을 하나의 운동장으로 만드는 여정이다. 서로 내딛는 발걸음의 보폭이 달라, 달리는 속도가 둘 다 맞지 않아 힘들지라도 발맞추려 배려하고 양보하고 함께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82년생 김지영>이 포스터 전면에 새긴 문구는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몰랐던 당신과 나의 이야기다.’ 여기서 안다는 감각은 ‘당신과 나’를 포괄하지 않는다. ‘당신’을 배제한 안다는 것의 인식은 차별과 배제와 조롱과 혐오의 순환에 가담하는 미필적 고의에 해당하는 행위다. 대현이 지영이 받는 고통을 “다 안다고 생각했습니다.” 말하면서도 문장의 꼬리를 내리는 이유는 자신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아니라고 생각한 그 자체만으로 실은 이 사회의 불평등에 가담하고 말았다는 뼈 아픈 자각이기도 하다. 나의 앎을 당신을 향한 공감으로 확장하고 우리가 함께하는 행동으로, 출발선이 아닌 출발’점’ 안에 하나 되는 것. 그것은 특정 성을 역차별하는 것도, 특정 세대를 억울하게 하는 것도, 결코 아니다. 당신과 나와 우리 모두를 위한 일이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YES24 채널예스
영화에 대해 글을 쓰고 말을 한다. 요즘에는 동생 허남준이 거기에 대해 그림도 그려준다. 영화를 영화에만 머물게 하지 않으려고 다양한 시선으로 접근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