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오늘의 우리를 만든 시간을 기억하는 것

『기억극장』 편집 후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제목으로도 짐작 가능하겠지만, 이 책은 ‘기억’에 관한 책이다. 침대 밑 어두컴컴한 곳에 밀어 넣고 잊어버린 먼지처럼, 눈에는 안 띄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과거를 발굴해내는 작업이다.

19025256_1364925026895631_295392046856730390_o.jpg

 

“기억하겠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세월호 이후 마음에 깊이 새겨진 한마디다. 한편으로는 ‘기억한다’는 것이, 이렇게 다짐하고 또 다짐해야 할 만큼 쉽지 않은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괴로운 일은 잊고 싶기 마련이고, 어떤 이들은 더 나아가 실상을 뒤틀고 뒤집어 ‘잘못 기억하게’ 만드는 데까지 나아가기도 한다. 지난 몇 년간, ‘그만하면 이제 되지 않았느냐’ ‘적당히 좀 하라’며 질책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졌던 것이 어쩌면 가장 끔찍한 기억이고, 이제 다시 ‘기억하겠다’는 목소리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는 것이 가장 다행스러운 기억으로 남을 것 같다.

 

제목으로도 짐작 가능하겠지만, 이 책은 ‘기억’에 관한 책이다. 침대 밑 어두컴컴한 곳에 밀어 넣고 잊어버린 먼지처럼, 눈에는 안 띄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과거를 발굴해내는 작업이다. 그 작업의 시작은 지은이가 어느 날 우연히 마주친 한 장의 사진이었다고 했다. 사진은 1979년, 세월호의 아이들이 가려던 바로 그 바다에서 찍힌 것이다. 우비를 입은 네 명의 여성이 바다 쪽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모습을 담은 흑백사진. 언뜻 보면 아무것도 아닌 장면이고 초점마저 어긋나 흐릿해 보이기까지 하는 사진이다. 그런데 지은이는 이 사진을 보고 3년 전 그날을, 그리고 여전히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고 했다. 나도 그랬다. 우리 모두 그럴 것이다.

 

평택, 1988.jpg

평택, 1988

 

제주, 1979.jpg

제주, 1979

 

이 사진은 사진가 이갑철의 초기작으로, 우연찮게도 사진가는 이것이 자신을 이 길로 들어서게 한 사진이었다고 회상했다. 그리고 책 속에는 이 사진작가가 1980년대에 찍은 사진들이 이어진다. 처음 사진가와 만났을 때 그는 자신의 사진을 본 내 느낌을 궁금해했다. 말을 고르다가 “날카로웠어요”라고 답했다. 흑백 콘트라스트가 강한 사진들은 무심코 보아 넘길 수 없게 잡아채는 발톱 같은 날카로움이 있었다. 이 과거의 한 순간을 찌르듯 보여주는 사진들 위에 지은이는 자신의 기억을 겹쳐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해내고 맥락을 만들어준다. 지은이가 재구성한 사진에 얽힌 이야기들을 따라가다 보니 오래 잊고 있던 내 기억들이 스멀스멀 피어올랐다. 그게 끝이 아니었다. 오래전 사진인데, 자꾸 오늘의 우리 모습이 겹쳐 보였다. 사진가의 날카로운 눈과 손이 포착한 장면에 작가의 기억과 나의 기억 그리고 오늘의 현실이 여러 겹의 층을 만들어냈다.

 

지은이와 『대한민국 부모』, 『애완의 시대』를 함께 쓴 이승욱 선생은 이 책을 읽고 “김은산의 사소설(사적인 작은 사건들과 이야기들)은 이갑철의 사진들 한복판에서 시작되며, 기억이라는 이름의 현재를 말하고 있다”고 썼다. 과거의 사진을 놓고 자신의 기억을 겹쳐 올리는 지은이의 글은 아주 개인적인 글이면서도 우리가 겪어 온, 혹은 우리의 현재를 구성하고 있는 역사의 단면들을 보여준다.

 

달력을 들춰 보니 이 책의 기획안을 처음 보고 지은이를 처음 만난 것이 작년 10월이었다. 그리고 5월 끄트머리에 책이 나왔다. 이 책을 만들던 시기가 긴 터널과도 같던 탄핵 정국과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 것이 운명처럼 느껴지기까지 한다. 이 책은 나에게 앞으로도 오래도록 2016년 겨울과 2017년의 봄으로 기억될 것이다. 당연하게도 이 시기를 지나며 책의 내용도 조금 바뀌었다. 에필로그를 제외하면 마지막 글인 ‘미래라는 낱말’은 처음 기획안에 없던 것인데 나중에 붙었다. 이 글이 덧붙을 수 있었던 것은, 그래서 ‘미래’라는 낱말을 말할 수 있게 된 것은, 긴 터널 끝에 빛이 보인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 속 사진에는 작은 소녀가 있다. 소녀는 달려 나가려는 자세 그대로 사진 속에 결박당했다. 하지만 소녀를 잡아두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팽팽하게 긴장한 다리 근육으로, 소녀는 금방이라도 튀어 나갈 것처럼 보인다. ‘미래’라는 이름의 소녀가 성공적으로 탈출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 P.S. 한 달에 한 권의 책만 판매하는 서점 림에서 이 책에 실린 이갑철 작가의 사진들 일부를 6월 한 달 동안 전시하고 있다. 근처를 지나시는 분들은 한 번쯤 들러보셔도 좋겠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손희경(아트북스 편집장)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지만 졸업 후 붓을 잡은 적이 없다. 재학 시절 잡지를 만들었던 경험이 편집자로 사는 오늘에 이르게 했다. 미술을 전공한 것이 미술 책을 주로 만드는 출판사에서 일하는 데 어쨌든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고 있다.

오늘의 책

수학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엄마표 유아수학 공부

국내 최대 유아수학 커뮤니티 '달콤수학 프로젝트'를 이끄는 꿀쌤의 첫 책! '보고 만지는 경험'과 '엄마의 발문'을 통해 체계적인 유아수학 로드맵을 제시한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수학 활동을 따라하다보면 어느새 우리 아이도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로 자랄 것이다.

나를 바꾸는 사소함의 힘

멈추면 뒤처질 것 같고 열심히 살아도 제자리인 시대. 불안과 번아웃이 일상인 이들에게 사소한 습관으로 회복하는 21가지 방법을 담았다. 100미터 구간을 2-3분 이내로 걷는 마이크로 산책부터 하루 한 장 필사, 독서 등 간단한 습관으로 조금씩 변화하는 내 모습을 느끼시길.

지금이 바로, 경제 교육 골든타임

80만 독자들이 선택한 『돈의 속성』이 어린이들을 위한 경제 금융 동화로 돌아왔다. 돈의 기본적인 ‘쓰임’과 ‘역할’부터 책상 서랍 정리하기, 용돈 기입장 쓰기까지, 어린이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로 자연스럽게 올바른 경제관념을 키울 수 있다.

삶의 주인공은 내가 아니야

저마다 삶의 궤적이 조금씩 다르지만 인간은 비슷한 생애 주기를 거친다. 미숙한 유아동기와 질풍노동의 청년기를 거쳐 누군가를 열렬하게 사랑하고 늙어간다. 이를 관장하는 건 호르몬. 이 책은 시기별 중요한 호르몬을 설명하고 비만과 우울, 노화에 맞서는 법도 함께 공개한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