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우리들> 침묵하면 다음은 내 차례다

억울함을 방관할 때 자신도 억울해지는 게 세상의 이치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누군가를 위해 “진짜 금 안 밟았어. 내가 다 봤어”라고 말한 적이 있는가.

크기변환_우리들2.jpg

 

 “야. 너 금 밟았어.”
 “나 안 밟았어.”
 “얘 금 밟은 거 봤지? 금 밟았는데 안 밟았다고 하잖아.”
 “너 나가. 금 밟았잖아.”

 

영화 <우리들>은 아이들이 피구를 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피구는 공이 몸에 맞거나 금을 밟으면 퇴장해야 하는 게임이다. “너 금 밟았다”는 한마디는 곧 “너 나가라”는 뜻이다. “금 밟는 것을 내 눈으로 봤다”는 주장이 등장하면 누군가 “금 밟지 않는 것을 내 눈으로 봤다”는 반론을 펴지 않는 한 혐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주인공인 초등학교 4학년 선은 아무도 변호해주지 않는 가운데 금 안에서 밖으로 퇴출된다. 그에게는 또 하나의 혐의가 덧붙여진다. 바로 ‘거짓말쟁이’다.

 

선은 집에선 사랑 받는 딸이지만 학교에 가면 같은 반 보라가 주도하는 ‘왕따’의 대상이다. 아이들에게 선은 그저 놀림 당하고 배척당하는 ‘깨지지 않는 장난감’일 뿐이다. 왕따는 일상에서도 이어진다. 보라와 보라 친구들은 선에게 “냄새 난다”는 혐의를 씌운다. 

 

“무슨 냄새 나는 거 같지 않니?”
“땀 냄새인가?”

 

냄새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남들이 냄새가 난다고 하면 ‘냄새가 나는 것’이다. “냄새 난다”는 지적이 되풀이되면 그 대상이 된 사람도 스스로를 의심하게 된다. 선은 옷을 코에 대고 냄새를 맡는다. 다른 이들이 자신에 대해 갖는 편견을 열등감으로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그런 선에게 희망이 생긴 건 전학 온 지아를 만나면서다. 방학 동안 선과 지아는 서로의 집을 오가며 살가운 사이가 되지만 둘 사이에 균열이 가기 시작한다. 지아가 보라와 어울리면서 선은 다시 외톨이가 된다. 하지만 지아도 보라의 질시를 받으며 왕따의 대상이 된다. 보라는 둘 사이를 끊임없이 이간질하고 싸움을 부추긴다. 선과 지아는 다시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선은 어느 날 “날 때린 친구와 같이 놀았다”고 말하는 어린 동생 윤에게 묻는다.

 

“너 바보야? 같이 놀면 어떡해? 다시 때렸어야지.”
“그럼 언제 놀아? 연우가 때리고, 나도 때리고, 연우가 때리고… 나 그냥 놀고 싶은데.”

 

동생 윤의 지적은 타당하고 정확하다. 서로를 향한 편견과 선입관을 키워가며 치고받기만 거듭하는 한국의 어른들이 귀 기울여야 할 대목이다. 하지만 영화가 여기에 머물렀다면 공감의 울림은 크지 않았을 것이다. 영화는 한 발 더 나아간다.

 

크기변환_우리들.jpg

 

영화 첫 장면에서 선이 피구를 하다 ‘금을 밟았다’는 말을 들은 것처럼 마지막 장면에선 지아가 똑같은 함정에 빠진다. “야, 한지아 너 금 밟은 거 아냐? 빨리 나가”라는 말에 부딪힌 것이다. “나 진짜 안 그랬어”라는 지아의 해명에 “얘는 왜 맨날 거짓말이냐?”고 확인 사살이 이뤄지려는 순간 선이 나선다. 

 

“한지아 진짜 금 안 밟았어. 내가 다 봤어.”

 

아무도 선 자신을 위해 해주지 않았던 말, 선이 가장 듣고 싶었던 말이었을 것이다. 선은 지아에게 그 말을 선사한다. 지아는 선을 바라본다. 선도 지아를 바라본다. 순식간에 일어난 마법에 두 아이 마음은 성큼 성장한다.

 

선과 지아의 이야기는 한국 사회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무슨 일이 있었다는 것은 쉽게 증명할 수 있지만 무슨 일이 없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그간 “당신, 금 밟았어”, “분명히 냄새가 나는데”라는 손가락질 하나로 수많은 이들이 심판대에 섰다. 일부는 간첩사건이나 국가보안법 사건 같은 형사 사법의 법정에 섰고, 일부는 사회에 위험한 인물로 찍혀 여론 재판의 법정에 섰다. 이렇게 금 밟았다는 진술과 냄새를 증거로 삼을 때 용기를 갖고 “아니다”고 말한 제3의 목격자는 많지 않았다.

 

침묵의 문화는 침묵이 자신을 보호해줄 것이란 믿음 위에 서 있다. 하지만 침묵은 잠시 시간을 늦출 뿐이고, 결국 침묵하는 자도 희생될 수밖에 없다. 억울함을 방관할 때 자신도 억울해지는 게 세상의 이치다. 이제 ‘침묵은 금(金)’이라는 격언은 수정되어야 한다. 침묵은 금이 아니다. 침묵은 다른 사람과 나를 해치는 흉기가 될 수 있다.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누군가를 위해 “진짜 금 안 밟았어. 내가 다 봤어”라고 말한 적이 있는가. 왕따 당하고 마녀사냥 당하는 이를 위해 “그 사람이 무엇을 잘못했느냐”고 변호한 적이 있는가. 불이익을 감수하고 진실을 말할 자신이 있는가. 유죄 추정의 원칙을 깨는 건 양심과 용기다. 선이 나섰던 건 지아와 다시 친구가 되고 싶었기 때문만은 아닐 거라고, 나는 믿는다. ‘지금 내가 말하지 않으면 억울한 희생은 이어진다’는 진실을 깨달았기 때문 아닐까. 그 선의(善意)가 지아를 변화시키고 선 자신도 변화시키지 않을까.

 

우리는 선에게서 배워야 한다. 침묵하면 그 다음은 내 차례란 것을. 내가 침묵하면 나 자신도 꼼짝 없이 금 밟은 사람, 냄새 나는 사람이 되고 만다는 것을.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5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권석천(중앙일보 논설위원)

1990년부터 경향신문 기자로 일하다가 2007년 중앙일보에 입사해 법조팀장, 논설위원 등을 지냈다. 앞에 놓인 길을 쉬지 않고 걷다 보니 25년을 기자로 살았다. 2015년에 <정의를 부탁해>를 출간했다. 이번 생에는 글 쓰는 일에 최선을 다하며 살고 싶다.

오늘의 책

산업의 흐름으로 반도체 읽기!

『현명한 반도체 투자』 우황제 저자의 신간.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며 실전 투자가인 저자의 풍부한 산업 지식을 담아냈다.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반도체를 각 산업들의 흐름 속에서 읽어낸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산업별 분석과 기업의 투자 포인트로 기회를 만들어 보자.

가장 알맞은 시절에 전하는 행복 안부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는 사람, 작가 김신지의 에세이. 지금 이 순간에 느낄 수 있는 작은 기쁨들, ‘제철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1년을 24절기에 맞추며 눈앞의 행복을 마주해보자. 그리고 행복의 순간을 하나씩 늘려보자. 제철의 모습을 놓치지 않는 것만으로도 행복은 우리 곁에 머무를 것이다.

2024년 런던국제도서전 화제작

실존하는 편지 가게 ‘글월’을 배경으로 한 힐링 소설. 사기를 당한 언니 때문에 꿈을 포기한 주인공. 편지 가게에서 점원으로 일하며, 모르는 이와 편지를 교환하는 펜팔 서비스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성장해나간다. 진실한 마음으로 쓴 편지가 주는 힘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소설.

나를 지키는 건 결국 나 자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물질적 부나 명예는 두 번째다. 첫째는 나 자신. 불확실한 세상에서 심리학은 나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무기다. 요즘 대세 심리학자 신고은이 돈, 일, 관계, 사랑에서 어려움을 겪는 현대인을 위해 따뜻한 책 한 권을 펴냈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