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글씨는 안녕하신가요?
글쓰기도 힐링 됩니다. 단, 짧은 글 위주로
전지전능한 스마트폰의 시대. 어쩌면 이런 손글씨 타령이 촌스러운 일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의 인류가 결국 이렇게 진화한 것에는 ‘문자’라는 위대한 발명이 있었던 것이고, 문자가 예술이 되어 문학이 되고, 그 문학이 또 음악이 되고 그런 거 아니겠는가?
처음으로 글씨를 배우던 꼬꼬마 시절, 그 땐 하얀 도화지가 너무나도 사랑스러웠고 색색의 연필과 크레파스만 봐도 든든함이 느껴졌었다. 고사리 같은 손으로 꾹꾹 눌러가며 썼던 내 이름 석자, 아빠 이름, 엄마 이름, 동생 이름. ‘철수야, 안녕?’, ‘아주머니, 안녕하세요?’ 이런 문장들도 열심히 따라 썼던 기억이 난다. 초등학교에 처음 입학해 쓰던 네모난 깍두기 노트에 또박또박 한 가득 글씨를 쓰고, 글씨 참 잘 쓴다는 칭찬을 받을 때마다 우쭐하기도 했었다.
내 글씨가 이렇게 생겼구나. 개인적으로 ‘ㄹ’ 쓰는 게 어렵다. 제 각각의 ‘ㄹ’들.
감성 넘치던 여중, 여고시절은 어땠던가. 칠판 빽빽한 필기를 굳이 색색깔의 필기구들로 정성껏 받아쓰곤 했었다. ‘제목은 검정, 내용은 파랑, 중요한 건 빨강’ 내 나름의 법칙과 함께. 그 뿐 아니다. 그 시절 어찌나 친구들에게 열심히 손 편지를 적어줬던지. 가지고 있는 펜 중에서 가장 예쁜 색을 골라 세상에 이런 친구 또 없습니다…싶은 우정 편지를 나누던 그 때.
그랬다. 손글씨를 참 많이 쓰기도 했고, 글씨를 예쁘게 쓰려고 노력도 했었고, 글씨 쓰는 취미도 제법 있었다. 하지만 학교 졸업 이후, 나의 ‘글씨’라는 건 그냥 끄적임 정도에 머물게 된지 오래. 오늘의 할일, 중요한 업무, 회의나 미팅 시간에 긴박하게 메모한 것들 위주인 나의 글씨는 나 말고는 그 누구도 해석 불가한 상형문자 수준으로 퇴화하고 있었던 것 같다.
오랜만에 바깥 구경하는 만년필. 무슨 욕심에 두 개나 샀었는지. 이제라도, 제대로 잘 써보고 싶다.
사실 몇 년 전, 누군가 쓰고 있던 만년필이 왠지 멋있어 보여 따라서 산적이 있었다. 왠지 아날로그 하면서도, 만년필을 쓰는 사람은 조금 더 깊이(?) 있어 보이는 느낌이었다고 할까? 시크하게 빠진 펜촉이며, 직접 잉크를 넣어 쓸 수 있는 그 감성적 아이템은 약간의 허세심 가득한 내가 꽂히기 딱 좋은 아이템이었다. 다른 펜보다 조금 더 비싸긴 했지만, 충분히 그럴 가치가 있는 거라고 생각했었다. 열심히 쓰면, 그 만한 가치는 뽑고도 남으리라!
그래서 만년필을 열심히 쓰고 있냐고? 그럴 리가. 그저 끄적이는 글씨에 만년필은 도무지 어울리는 아이템이 아니었다. 쓰다 보면 금새 닳아버리는 잉크, 주기적으로 관리해 줘야 함은 물론, 조금만 사용하지 않아도 잉크가 굳어 잘 나오지 않는 만년필은 사용할수록 귀찮은 아이템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역시, 나에겐 사치였어. 이 불편한 만년필을 왜 쓰는 거지? 그렇게 만년필은 서랍 깊숙히 들어가게 됐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 ‘나의 제멋대로 휘갈김 체’를 보며 기분이 묘해졌다. 내 글씨가 어쩌다 이렇게 됐지? 꼭 성격 못되고 마음 급한 사람이 쓴 꽁한 글씨 같이 보이는 것이다. 물론, 누구에게 보여지는 글씨가 아니기도 하거니와 글씨 못 쓴다고 뭐라고 할 사람도 없지만 이대로 내 글씨가 못난이 체로 굳어져버리기 전에 제대로 된 나의 글씨를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박또박, 예쁜 글씨를 쓰며, 스스로 뿌듯해하고 신났던 그 때의 기억을 상기하며.
글쓰기도 힐링 됩니다. 단, 짧은 글 위주로!
그리고 아주 오랜만에 만년필이 다시 책상 위로 나왔다. 굳은 잉크를 없애고, 펜촉을 닦아주고, 안 쓰던 잉크를 채우느라 좀 번거롭긴 했지만, 왠지 모를 설렘이 생기더라. 컬러링 북 대신 선택한 라이팅 북에 좋은 글들을 따라 적어내려 가는데, ‘아, 내 글씨가 이렇게 생겼었구나’ 하는 반가움 마음도 들고, 글씨를 쓰는 동안의 그 짧은 여유가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는 듯도 했다. 아… 이래서 옛 선비들이 그렇게 붓글씨를 썼던 걸까? (그래도 난 붓글씨까지 가진 않으련다. 만년필로 만족!)
전지전능한 스마트폰의 시대. 어쩌면 이런 손글씨 타령이 촌스러운 일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의 인류가 결국 이렇게 진화한 것에는 ‘문자’라는 위대한 발명이 있었던 것이고, 문자가 예술이 되어 문학이 되고, 그 문학이 또 음악이 되고 그런 거 아니겠는가? 손톱만한 스마트폰 자판을 두드리는 피로에서 벗어나서, 가끔은 진짜 내 글씨로 자유로운 ‘쓰기’를 해보는 일도 작지만 큰 보람을 주는 일이 아닐까 싶다. 지금도 자판을 두드리며 이 글을 ‘치고’ 있지만, 다시 찾은 ‘쓰기’의 뿌듯함을 당분간 계속 즐겨보련다.
마음 한 줄, 쓰다 이대영 편 | 별글
이 책은 저자가 자신의 마음을 사로잡은 글 중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 100개를 엄선해 직접 필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그는 독자들이 명언, 시, 세계명작 등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글을 손수 쓰고 그 글을 오롯이 자신만의 것으로 받아들여 평화를 되찾고, 상처받은 마음이 치유되기를 바란다.
[추천 기사]
- 거지 같은 취향 따지기
- 나는 보신주의자입니다
- 혼자 뽑아보는 주관적 베스트 소설
- 내 인생을 바꾼 음반 한 장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철저한 프리덤 속에 살던 ‘유여성’에서 ‘유줌마’의 삶을 살며 본능을 숨기는 중이다. 언젠가 목표하는 자유부인의 삶을 꿈꾸며.
예스24 홍보를 맡고 있다.
<이대영> 편10,800원(10% + 5%)
읽으면서 한 번, 쓰면서 한 번. 마음에 꼭 새기고 싶은 아름다운 글 100편. 시인 안도현은 ‘글도 고추장을 찍어 먹듯 손맛을 봐야 맛을 안다’라고 말했다. 또한 장석주 시인은 “자신이 좋아하는 글을 베껴 쓰면 작가가 문장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섬세하게 이해할 수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 같은 유명 작가도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