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마흔 고전에게 인생을 묻다
20대의 나와 화해하기 - 밀란 쿤데라, 『농담』
인생의 중대한 순간은 한 번뿐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젊음은 싱싱하고 통통 튄다. 주름과 잡티가 없는 뽀얀 피부, 언제라도 달릴 준비가 되어 있는 탱탱한 다리를 보고 있으면 부럽기까지 하다. 시답지 않은 농담에도 까르르 웃는 젊음은 스스로 빛난다. 그래서 은근히 질투가 난다. 반면에 젊음은 미숙하다. 지금 생각하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고도 자신감이 넘쳤다. 소설 『농담』의 작가 밀란 쿤데라가 “젊음이 주인공일 때 역사는 끔찍했다.”고 표현한 것처럼.
20대는 나에게 무척 힘든 시절이었다. 당시 나는 어서 빨리 20대가 지나가기를 바랐다. 서른이 되면, 마흔이 되면 지금의 고민은 더 이상 두통거리가 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불투명한 것들이 서서히 투명해지고, 안정궤도에 올라서는 것이 나이 드는 것이라 여겼다. 하지만 어느 날 자고 일어났더니 어른이 되었다는 얘기처럼, 나는 마흔이 다 되어서도 여전히 스무 살에 했던 고민을 안고 있다. 젊음의 성숙한 모습이 마흔이라면 좋겠지만 대다수에게 마흔은 그저 젊음이 사라진 시기일 뿐이다.
“그럼 난 다시 20대로 돌아가고 싶은 것일까?”라는 질문을 한 적이 있었다. 그때 나는 ‘젊음’이란 단어를 떠올렸다.
젊음은 싱싱하고 통통 튄다. 주름과 잡티가 없는 뽀얀 피부, 언제라도 달릴 준비가 되어 있는 탱탱한 다리를 보고 있으면 부럽기까지 하다. 시답지 않은 농담에도 까르르 웃는 젊음은 스스로 빛난다. 그래서 은근히 질투가 난다. 반면에 젊음은 미숙하다. 지금 생각하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고도 자신감이 넘쳤다. 소설 『농담』의 작가 밀란 쿤데라가 “젊음이 주인공일 때 역사는 끔찍했다.”고 표현한 것처럼.
밀란 쿤데라의 젊음에 대한 생각에 동의한다. 이는 내가 20대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가 유별나게 행복한 것도 아니고, 나의 젊음이 남들보다 유달리 실수투성이였던 것도 아니다. 그저 내 젊음의 미숙함이 싫다. 그래서 못난 젊음이 흘러가는 것이 그다지 아쉽지 않다. 다만, 내 못난 젊음과 화해를 하고 싶을 뿐이다.
젊음이란 참혹한 것이다. 그것은 어린아이들이 그리스 비극 배우의 장화에, 다양한 무대 의상 차림을 하고, 무슨 말인지도 잘 모르면서, 광적으로 신봉하는 대사를 외워서 읊으며 누비고 다니는 그런 무대이다. 역사 또한, 미숙한 이들에게 너무도 자주 놀이터가 되어주는 이 역사 또한 끔찍한 것이다. 네로라는 풋내기, 나폴레옹이라는 애송이, 흥분하여 날뛰는 수많은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아이들이 흉내 내는 열정이나 간단하게 맡아버린 역할들은 처참하도록 실제적인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인생의 모든 일들을 전부 취소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그 일들 을 초래한 실수들이 내가 한 실수들이 아니라면 무슨 권리로 내가 그것을 취소할 수 있겠는가? 사실, 내 엽서의 농담이 심각하게 받아들여졌을 때, (…) 잘못했던 사람은 누구인가? 이런 실수들은 너무도 흔하고 일반적인 것이어서 세상의 이치 속에서 예외나 잘못도 될 수 없고 오히려 그 순리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누가 잘못한 것이란 말인가? 역사 자체가? 그 신성한, 합리적인 역사가? 그런데 왜 그런 실수들이 역사 탓이라고 해야만 할 것인가? 인간으로서의 나의 이성에만 그렇게 보일 뿐, 만일 역사가 자기 고유의 이성을 가지고 있다면, 무엇 때문에 그 이성이 인간들의 이해를 신경 쓸 것이며 여선생처럼 꼭 진지해야 하는가? 그리고 만일 역사가 장난을 한다면? 그 순간 나는, 나 자신이 그리고 내 인생 전체가 훨씬 더 광대 (나를 넘어서는) 하고 전적으로 철회 불가능한 농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상, 나 자신의 농담을 완전히 무화시켜 버릴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 ||
그렇다, 갑자기 모든 것이 선명하게 보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 가지 헛된 믿음에 빠져 있다. 기억(사람, 사물, 행위, 민족 등에 대한 기억)의 영속성에 (행위, 실수, 죄, 잘못 등을) 대한 믿음과 고쳐볼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그것이다. 이것은 둘 다 마찬가지로 잘못된 믿음이다. 진실은 오히려 정반대이다. 모든 것은 잊히고 고쳐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무엇을 (복수에 의해서 그리고 용서에 의해서) 고친다는 일은 망각이 담당할 것이다. 그 누구도 이미 저질러진 잘못을 고치지 못하겠지만 모든 잘못이 잊힐 것이다. | ||
|
|||||||||||||
관련태그: 밀란 쿤데라, 농담, 마흔 고전에게 인생을 묻다
이경주
열심히 살면 행복하다는 신념을 가진 전형적인 워커홀릭. 마흔을 앞두고 열심히 뿐 아니라 잘 살고 싶다며 고전을 들었다. 속독과 다독을 통해 며칠이고 마음을 빼앗길 명문장을 캐내는 것을 즐긴다. 현재 서울신문 경제부 기자. 연세대에서 영문학·심리학을 전공했고, 동국대학원에서 광고홍보학 석사를 받았다. 2012년 7월부터 1년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UNC) 저널리즘대학에서 방문연구원(visiting scholar)으로 지내고 있다.
우경임
읽기를 놀이 삼아 자랐다. 그러나 이번에는 절박한 학습이었다. 딱히 잘못된 것은 없는데 인생의 실타래가 꼬인 것만 같았다. 이리저리 용을 써 봤자 더욱 복잡해질 뿐이었다. 행간에서 답을 찾고자 빨간 줄을 정성껏 그어가며 읽었다. 정독을 즐기는 작가는 현재 동아일보 사회부 기자. 연세대에서 사회학·심리학을 전공했고, 연세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를 받았다.
14,400원(10% + 5%)
12,600원(10% + 5%)
13,500원(10% + 5%)
13,500원(10% + 5%)
12,420원(1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