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걸어오는 정물 -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를 통해 본 상징과 알레고리
정물화의 탄생과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유럽의 다른 나라에 비해 풍속화와 정물화가 대대적으로 유행했다. 본격적인 의미에서의 풍속화와 정물화가 탄생한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네덜란드에서 풍속화와 정물화가 발전한 것은 그들의 종교와 관련이 깊다.
정물화는 영어로는 ‘스틸 라이프still life’, 프랑스어로는 ‘나튀르 모르트nature morte’라고 한다. 움직이지 않는 생명 또는 죽은 자연이란 뜻을 담고 있는 정물화는 움직이지 않는 사물과 생명이 없는 사물만 모아놓고 그린 그림을 총칭한다. 정물화는 인물화나 풍경화에 비해 그 탄생이 매우 늦었다. 인간이나 역사가 아닌 꽃과 과일 같은 사소한 대상이 화면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데는 좀 시간이 필요했던 모양이다. 물론 고대에 정물화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고대의 폼페이 벽화나 로마의 모자이크에서도 나무, 꽃, 과실 등을 그린 경탄할 만한 수준의 것이 남아 있다. 그러나 중세에서는 거의 답보 상태였다. 정물이 화면을 가득 채운 그림이 나타났던 것은 불과 16~17세기의 네덜란드에서였다. 정물화라는 용어를 만든 것도 18세기 네덜란드의 미술사학자 후브라켄이었다.
왜 네덜란드였을까? 우리는 네덜란드 하면 보통 바다보다 낮은 땅을 일군 개척정신, 아름다운 튤립과 풍차를 떠올린다. 경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유니레버, 필립스, 하이네켄, 셸 등 네덜란드 태생의 다국적 기업을 떠올릴 것이다. 네덜란드 문화에 좀 더 깊은 관심이 있다면 매춘과 마약, 안락사와 동성애자들의 결혼이 공식적으로 허용된 극단적으로 진보적인 나라라는 사실을 알고 있을 것이다. 미술애호가들에게 네덜란드는 반 고흐와 렘브란트 판 레인, 루벤스 그리고 몬드리안이 태어난 나라이며,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시대에 기묘하게 극사실 예술인 ‘네덜란드 회화’ 혹은 ‘플랑드르 회화’를 창조한 나라로 다가올 것이다.
네덜란드가 정물화를 비롯한 예술작품의 풍성한 보고가 되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15세기 중반 플랑드르 지방(지금의 벨기에와 네덜란드, 프랑스 북부에 걸친 지역으로 통상적으로 옛 네덜란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에겐 영어식 발음으로 익숙한 『플란다스의 개』라는 동화의 배경이기도 하다)의 기도서는 일일이 사람이 손으로 쓰고 그려 만든 필사본이었다. 그 필사본에는 성서의 내용을 그린 삽화가 들어갔고, 가장자리는 여러 가지 과일 문양 등으로 장식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성 모자나 성 가족과 같은 성화에 석류나 사과, 나이프 등이 거의 정물화에 가깝게 사실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이런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디테일들이 정물화로 독립해가는 과정 중 일부로 파악한다. 이렇게 발전한 네덜란드 정물화는 크게 꽃 정물화, 과일 정물화, 음식(식사) 정물화, 바니타스 정물화, 오감 정물화 등으로 나뉜다. 물론 모든 정물화가 이렇게 명쾌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이 소재들은 서로 많은 부분이 끊임없이 중첩된다.
| |||||||||||||
관련태그: 정물화, 네덜란드, 얀 브뤼헐, 칼뱅교, 아트 살롱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학을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시각예술과 정신분석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뉴욕 대학교에서 예술행정전문가 과정을 수료했다. 수년간 미술잡지 기자와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현재는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면서 ‘유경희예술처방연구소’를 운영하며 예술과 인문학을 통한 상상력과 창의력, 힐링과 멘토링에 관한 글쓰기, 상담, 특강 등을 기획ㆍ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예술가의 탄생』 등이 있다.
13,500원(10% + 5%)
19,000원(5% + 2%)
18,000원(10% + 5%)
17,100원(5%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