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김봉석의 하드보일드로 세상읽기
정부에 속아 정글속으로 내몰린 일본인들 - 『와일드 소울』
패배가 예정된 싸움, 거대한 폭력에 대항하기 위한 소수의 저항
풍토병으로 가족을 모두 잃은 에토는 일본 정부에 항의하기로 결심하고 도시로 떠난다. 겨우 일본 영사관을 찾아가지만 영사는 들은 척도 하지 않는다. 비참한 실태를 본국에 알리려는 계획이 실패한 에토는 악착같이 일하여 성공을 거두어 10여년 만에 마을로 돌아간다. 하지만 마을은 이미 폐허가 되었고, 친구의 아들 케이만이 원주민처럼 살아가고 있었다.
세상을 살다 보면, 억울한 일들이 참 많다. 전철에서 새치기를 당한다거나 가게에서 차별대우를 받는 정도의 사소한 것들부터 사기 범죄의 피해자가 된다거나 열심히 일한 대가도 받지 못하고 회사에서 내몰리는 등 가슴이 찢어지는 억울함까지. 그 중에서도 압권은, 억울함을 하소연조차 하기 힘든 상황에 놓였을 때가 아닐까.
엄청난 불이익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는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상황에 처했을 때. 특히 거대 기업과 정부 그리고 사기꾼들이 그런 불공정, 불공평함을 잘 이용한다. 개인에게 불리한 조건이나 계약 등을 강요하고 되도록 책임은 피해가면서.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어쩔 수 없었다느니, 상황이 그럴 수밖에 없었다느니 등등 핑계를 대면서.
가키네 료스케의 『와일드 소울』에서 브라질에 이민간 일본인들이 처한 상황이 딱 그것이다. 2차 대전 패전국인 일본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한국전쟁이라는 특수가 있었음에도 전쟁에서 패한 후유증은 너무나도 컸다. 일본 정부는 브라질 정부에 요청하여 이민자를 보내기로 약속한다. 경작된 농토와 집을 주고, 삼모작까지 가능한 천혜의 자연이라는 말에 많은 사람들이 꿈에 젖어 이민을 결정한다. 마침내 1960년대 초반, 4만 여명의 일본 이민자들이 브라질 밀림으로 향한다.
그러나 엉터리로 진행된 이주 계획은 사기였다. 외무부 직원은 승진하기 위해서, 알선 업체는 돈을 벌기 위해서, 순진한 농민들을 아무 것도 없는 정글 속으로 밀어 넣었다. 무상으로 주어진 땅과 집은 있었다. 하지만 땅은 강산성이었고, 우기가 되면 모든 것이 떠내려갔다. 풍토병이 돌면 수십 명씩 죽어나갔다. 밀림의 과일과 물고기로 연명한다 해도, 학교 등 기반시설이 아무 것도 없었다. 낙원이 아니라, 정글의 지옥이었다. 일본 정부는 4만 여명의 국민을 밀림 속으로 방기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들에게 주어진 선택은, 밀림에서 원주민처럼 살아가거나, 밀림을 빠져나와 도시에서 빈민으로 살아가거나 뿐이었다. 하지만 밀림을 빠져나오는 것만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풍토병으로 가족을 모두 잃은 에토는 일본 정부에 항의하기로 결심하고 도시로 떠난다. 겨우 일본 영사관을 찾아가지만 영사는 들은 척도 하지 않는다. 비참한 실태를 본국에 알리려는 계획이 실패한 에토는 악착같이 일하여 성공을 거두어 10여년 만에 마을로 돌아간다. 하지만 마을은 이미 폐허가 되었고, 친구의 아들 케이만이 원주민처럼 살아가고 있었다. 에토와 케이가 짐승처럼 생존만을 위해서 살아가고 있을 때, 일본은 승승장구하고 있었다. 눈부시게 발전하는 일본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에토는 결심했다. 우리를 버린, 우리를 속이고 죽음으로 내몬 그들에게 복수하겠다고.
『와일드 소울』은 복수에 대한 이야기다. 1장은 에토의 일대기를 그린다. 그들이 왜 그렇게 비참한 상황에 내몰렸는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를 생생하게 그려낸다. 1장을 읽고 나면, 에토와 케이의 복수에 기꺼이 동참하고 싶어진다. 그들이 피해자라는 것이 너무나 명백하고, 가해자인 일본 정부와 책임자들이 아무 책임도 지지 않고 떵떵거리며 살아가는 꼴이 너무나 화가 나기 때문이다. ‘나는 잘못이 없고, 국가를 위해서 했을 뿐’이라고 말하는 인간, 조직을 보면 너무나도 짜증이 난다. 가키네 료스케는 그런 조직형 인간들을 질타한다.
|
7,650원(10% + 5%)
7,650원(10% + 5%)
67,500원(10% + 5%)
8,820원(10% + 5%)
11,520원(1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