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 속의 그대’, 착각은 자유
안티 오바마
YES24에서 검색되는 오바마 관련서는 100종을 웃돈다. 찬양 일색은 아니어도 절대 다수가 긍정적이다. 오바마를 비판한 책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우리는 미국 대통령을 ‘짝사랑’해 왔다. 그중에도 민주당 소속 대통령에겐 헛된 기대감이 지나쳤다. 자국 이익을 최우선하는 것이나 호전성은 외려 공화당 출신을 뺨치는데 말이다. 착각의 시작은 제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John Fitzgerald Kennedy, 1917~1963)다. 그가 과연 쿠바 사태를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여부와 그의 ‘밝힘증’은 논외로 하자.
『성문 종합영어』 독해 지문으로 처음 접한 그의 대통령 취임 연설문 일부는 수상쩍었다. 그의 격언이 된 구절은 특히 그랬다. “그리고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조국이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묻지 말고, 여러분이 조국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And so, my fellow Americans: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사이먼 마이어?제레미 쿠르디, 『위대한 연설 100』, 이현주 옮김, 쌤앤파커스, 2010, 216쪽)
진보 성향의 리버럴한 대통령이 멸사봉공(滅私奉公)을 강조하다니! 미국에서도 ‘케네디 신화’는 많이 퇴색한 모양이다. 하지만 신화는 계속된다. 2008년 11월 4일 미국의 제44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버락 H. 오바마(Barack Hussein Obama, 1961~)는 ‘검은 케네디’다. 오바마 진영의 선거구호는 “우리는 할 수 있습니다(Yes, we can)”였다.
YES24에서 검색되는 오바마 관련서는 100종을 웃돈다. 찬양 일색은 아니어도 절대 다수가 긍정적이다. 오바마를 비판한 책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이마저 오바마와 그의 팬들을 꼼짝 못하게 할 수준은 아니다. 진보와 보수, 양편에서 오바마의 실체를 해부한 책 두 권은 각기 뚜렷한 한계를 보인다.
보수우파 색채가 짙은 저널리스트 미셸 말킨의 『기만의 정권(Cuture of Corruption)』(김태훈 옮김, 시그마북스, 2010)은 일관된 저자의 당파성이 몹시 거슬린다. 그런데도 책을 다 읽은 게 신기할 정도다. 한국어판 『기만의 정권』은 표지부터 문제가 없지 않다. 헤드카피 “탈세와 부정으로 얼룩진 오바마 정권의 이면”은 오바마 정부를 부패한 집단으로 몰아가려한다는 점에서 다소 선정적이다.
세상에 탈세와 부정으로 얼룩지지 않은 정부가 어디 있는가. ‘부패한 (정치)문화’라는 폭넓은 의미의 원제목을 특정 정권만을 지칭한 것처럼 협소하게 의역한 것은 저자의 의도를 거스른다. 미셸 말킨은 권말에다 63쪽에 걸쳐 논거의 출처를 나열할 만큼 ‘영악하다’. 논거에 덧붙인 그녀의 말본새는 때로 고약하다. 또한 같은 말은 반복하는 전술을 구사한다.
미셸 말킨의 표적은 오바마 대통령이라기보다 미국 민주당이다. 미 공화당을 대놓고 편들진 않지만, 그러는 게 더욱 거슬린다. 그녀는 자신이 지지하는 공화당의 일부 극소수 정치인을 ‘쪼다’로 여기는 것 같다. 한데 제43대 대통령 조지 부시에 대해선 매우 정중하다. 그만한 대통령이면 괜찮다는 듯이. 그녀에게 로널드 레이건은 완전 ‘짱’이다.
미셸 말킨은 후보자가 낙마를 거듭한 오바마 정부의 첫 내각 인선을 비꼰다. “반면 <내셔널 저널(National Journal)>에 따르면 전임 대통령들의 경우 빌 클린턴은 8년에 걸친 재임기간 동안 여섯 번, 조지 W. 부시는 두 번, 조지 H. 부시와 로널드 레이건, 지미 카터는 한 번의 고위직 지명철회를 기록했다.” 오바마의 공약 불이행에 대해선 질타를 주저하지 않는다.
내 거부감은 미셸 말킨의 싸잡은 비난이 부당한 까닭이다. 미셸 말킨은 오바마가 국가정보위원회 위원장으로 지명한 찰스 프리먼이 “이스라엘의 방어정책이 테러리즘의 주된 원인이라는 시각을 가진 과격한 반이스라엘주의자”라는 <내셔널 리뷰(National Review)> 기사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인다.
에릭 홀더 법무장관이 법무부 관료일 때, 푸에르토리코 민족해방군 테러리스트를 사면하는 데 관여한 것은 장관 임용의 심각한 결격 사유란다. 테러범을 변호한 “급진좌파 변호사”를 맹비난하는 건 약간 어이가 없다. 그러면 미국의 이라크 침략은? 아직 노조 설립과 가입의 자유가 미흡한 우리로선 그녀가 강조하는 “노조에 가입하지 않을 권리”는 나중 문제다.
『오바마의 아프팍 전쟁』(차승일 옮김, 책갈피, 2009) 필자들의 성향은 알렉스 존스보다 더 왼쪽이다. 이들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 대한 압축된 논의는 순도가 높다. 아프팍(AfPak) 전쟁은 미국과 파키스탄 합동 군사작전의 결과 발생한 전쟁을 오바마 정부 관리들이 편의상 부르는 명칭이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분쟁은 서로 떼어 내 생각할 수 없다.”(제프 브라운, 「파키스탄- 미국 제국주의의 취약한 고리」)
영국의 아동문학가 조너선 닐의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선한’ 전쟁인가?」는 현지 체류 경험이 밑바탕을 이룬다. 닐은 인류학자로서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현지 조사를 벌이며 유목민들과 친분을 쌓았다.
“책과 아프가니스탄 부자들은 아프가니스뫅이 마치 명예로 움직이는 사회인 양 말한다. 그러나 나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내가 알고 지내던 가난한 사람들의 입에서 ‘명예’에 해당하는 단어가 튀어나온 경우를 단 한 번밖에 듣지 못했다. 그들이 입에 달고 살았던 말은 오히려 ‘수치’였다. 정부와 사회가 온통 부패했고 모든 사람들이 이를 알고 있었다.”
닐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은 “과거에 이슬람의 이름으로 영국과 맞서 싸운 세 번의 전쟁(1838년의 1차 아프가니스탄 전쟁, 1878~1880년의 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 그리고 1919년의 3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모두 이겼다.” 1979년 성탄절 소련의 침공으로 시작된 7년에 걸친 전쟁은 4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이다. 소련에 맞선 전쟁에서도 아프가니스탄은 승리한다.
9.11 테러를 빌미로 촉발된 5차 아프가니스탄 전쟁 역시 침략자의 패퇴가 점쳐진다. “이제 아프가니스탄 인들은 미국의 패배를 예견하고 있다. 그들은 영국을 세 차례 격퇴했고 최근에는 소련을 상대로 승리한 기억도 있다. 동시에 이들은 승리의 대가가 엄청나게 비싸리라는 점도 알고 있다.” 조너선 닐이 전하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활동하는 외국계 비정부기구(NGO)의 부패상은 놀랍다.
외국계 NGO는 두 가지 방식으로 해외 원조금을 착복했다. 첫째는 봉급과 수당이다. “고참 NGO 간사들은 아프가니스탄 장관들보다 훨씬 더 많이 번다. 카불의 한 NGO 사무실에서 일하는 외국인 간사 한 명의 월급은 같은 사무실에서 일하는 현지인 스무 명의 월급을 다 합친 것보다 많았다.” NGO의 고위급 외국인 간부들은 공금을 횡령하고 뇌물을 수수하기도 한다.
“서구의 사회주의자, 세속주의자, 페미니스트 일부는 우익 이슬람주의 세력이 저항을 이끌고 있는 점을 걱정한다. 그러나 이는 상황을 거꾸로 이해한 것이다. 우익 이슬람주의 세력이 저항을 주도하는 이유는 좌파들과 세속주의자들이 점령군의 편에 섰기 때문이다. 뒤늦게 저항의 길을 선택한 평범한 아프가니스탄 인들이 처음부터 저항을 호소했던 사람들을 따르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미국의 좌파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화이트하우스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해야 하는 이유」를 보면, 오바마 대통령은 아프팍 전쟁에서 강온 전략을 구사한다. 그러나 ‘개발 원조’라는 당근보다 ‘경량화 군대 증파’라는 채찍에 더 무게가 실린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의 계획은 럼스펠드 사퇴 이후 이미 계속 진행 중인 변화의 연장선에 있다. 오바마는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는 미군의 수를 기존의 3만 명 수준에서 앞으로 2년 안에 5만 명 수준으로 늘리자고 제안했는데, 이 계획은 이미 실행되고 있다.” 그러면 오바마는 어째서 확전을 꾀하는 것일까? 그건 그가 미국의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전쟁의 목적은 여전히 점령 자체다. 미국의 목표는 이 전략적 요충지에 군대를 주둔시키는 것이다.”
“미국이 모든 것이 가능한 나라라는 점을 여전히 의심하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 선조들의 꿈이 우리 시대에도 살아 있는지 여전히 의아해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리고 민주주의가 가진 힘을 여전히 의심하는 사람이 있다면, 오늘 밤이 바로 그 답입니다.”(2008년 11월 4일 미국 대선 승리 수락연설, 『위대한 연설 100』, 293쪽)
4,500원(10% + 1%)
12,600원(10% + 5%)
16,200원(10% + 5%)
14,220원(10%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