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강연회]이 시대에 다시 장인 정신이 필요한 이유 - 『우리 시대의 장인정신을 말하다』 유홍준
‘모든 사람이 장인이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장인 정신은 가질 수 있다.’
지난 4월 8일 리움 미술관에서 유홍준 前 문화재청장의 강연이 있었다. 21세기, 더 빠르고 신속한 것이 미덕인 우리 사회 속에서 그는 장인 정신을 말했다.
장인 정신과 작가 정신, 분리되는 것인가?
지난 4월 8일 리움 미술관에서 유홍준 前 문화재청장의 강연이 있었다. 21세기, 더 빠르고 신속한 것이 미덕인 우리 사회 속에서 그는 장인 정신을 말했다. 오랜 시간, 누구보다 자주, 그리고 가까이 예술품을 봐 온 그는 그렇게 결론지었다. 장인 정신이 필요하다. 그러한 주제로 아름지기에서 시리즈 강연을 했고 강의 내용을 토대로, 『우리 시대의 장인 정신을 말하다』를 펴냈다.
저자는 문화재나 미술품을 보면서 생각해 왔던 장인 정신에 대한 고민에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장인 정신은 예술에 있어 언제나 귀한 가치로 여겨지는 덕목이었다. 하지만 아카데미즘에 얽매이고, 매너리즘에 빠져 있는 장인 정신이 아니라, 작가 정신을 중요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좀 더 창의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사람들은 말했다.
“작가주의가 성행하자, 창의라는 이름, 개성이라는 이름으로 불성실이 눈에 많이 띄었다. 과연 어디까지 인정해 줘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생겼고, 그런 의식이 다시 장인 정신을 찾게 만든 것이다. 이는 문화사적인 흐름이다. 아마 장인 정신이 많이 이야기되고 나면, 다시 작가 정신을 찾는 사람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마치 하나의 흐름이나 사조처럼 예술을 대하는 태도 역시 그렇게 장인 정신과 작가주의로 갈라져 이 둘이 마치 다른 것처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지금, 유홍준은 묻는다. “그런데 이 둘이 과연 다른 것인가? 이것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인가?”
ⓒ (재)아름지기 백제금동대향로
“이전에는 장인 정신과 작가 정신을 구분하지 않았다. 그때에는 예술적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움에 대해 얘기할 수 있었고, 작품을 만든 치밀함에서 장인 정신을 볼 수 있었다.” 그는 백제금동대향로 사진을 보여 주었다. “이 금동대향로는 구성이 기발하다. 쓰임새가 아름다움보다 우선한다. 각 구멍에 향을 피우게 되어 있는데, 봉황 가슴에 두 개, 산봉우리에 열 개로 총 향로 구멍이 열두 개다. 향을 붙이면 산에 안개가 피는 것 같은 환상적인 장면이 연출된다.” 이 작품을 두고 우리는 섬세하게 공들인 작가의 장인 정신을 칭송해야 할까, 실용적이면서도 창의적인 작가 정신을 꼽아야 할까?
명품, 명작이라는 호칭을 붙일 만한, 최고의 작품은 장인이 존중되는 시절에 나왔다. “명작의 탄생은 공예가에 대한 존경이 없이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신라 시대 등 예술이 존중받던 시기의 작품을 살펴보면, 작가들에게 박사라는 호칭을 붙이고, 작품마다 참여한 사람들의 관직과 이름을 정확히 밝혀 두었다.” 장인을 예우하는 전통은 중세 시대에서 잘 찾아볼 수 있다. “마스터, 저리맨, 어피렌스 등 엄격한 마스터 체제의 조직이 있었을 뿐 아니라, 당시의 워크숍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자료들도 많은 작품을 통해 남겨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장인들이 어떠한 수련을 거쳤는지 기록을 찾아볼 수 없는 점이 아쉽다."
장인 정신, 결국은 노력
그는 장인 정신을 보여 주는 예술가로 알브레이트 뒤러를 꼽았다. 그 역시 당시의 마스터 과정을 성실하고 철저하게 밟아 온 사람. “사람들은 뒤러가 천재라고만 하는데, 그도 역시 마스터가 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사람이었다. 특히 「멜랑꼴리아」 같은 작품을 보면, 장인 정신을 넘어 작가 정신을 찾아 나아가려는 모습까지 엿볼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이런 작가로는 누가 있을까? 그는 단연 추사 김정희를 꼽았다. “완당이 글씨를 쓸 때 얼마나 피눈물 나는 장인적 수련과 연찬을 보였는가는 범인의 상상을 초월한다. 완당은 ‘70 평생에 벼루 10개를 밑창 냈고 붓 일천 자루를 몽당붓으로 만들었다’고 술회한 적이 있다. 그런 연찬과 수련 속에서 추사체가 나온 것이다.”(p.44)
혹자는 완당의 즉흥적으로 써내려 간 듯한 손글씨를 보고, 혹은 아래와 같은 문장을 보고 스스로 천재성을 이야기했다고 오해하기도 한단다. ‘아무리 9,999분까지 이르렀다 해도 나머지 1분만은 원만하게 성취하기 어렵다. 이 마지막 일 분은 웬만한 인력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이것이 인력 밖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다.’ 석파 난권에 쓴 이 글은, 결국 노력을 강조하는 말이다. 결국 장인 정신은 노력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 더불어 중요한 것만 노력할 것이 아니라, 경중을 따지지 말고 온 힘을 다하라고 강조했다. 여기에는 자기 자신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힘이 필요하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명작은 디테일이 아름답다
|
|
관련태그: 우리 시대의 장인정신을 말하다, 유홍준
<유홍준>, <김영일>, <배병우>, <정구호>, <김봉렬>, <조희숙> 저13,050원(10% + 1%)
장인정신, 찬란한 열정과 실력 이 땅에 진정한 전문가는 있는가? 우리 시대에 장인정신은 살아 있을까? 이 질문 앞에서 당당하게 대답할 수 있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아름다운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고 가꾸는 비영리단체 (재)아름지기는 이러한 고민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이 시대의 장인정신을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