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다시 보고 싶은 책
특수성을 넘어서는 보편성의 향연 - 성경
성경은 비단 그리스도교 신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과연 보편적 사랑이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해 주는 고전의 반열에 오를 책이 아닐 수 없을 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은 무엇일까요? 집계년도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누적으로 친다면 성경만 한 책도 없을 것입니다. 세계 3대 종교 중에서도 늘 제일 먼저 언급되는 그리스도교의 경전인 성경은 구텐베르크가 인쇄기를 발명하면서 처음 찍어낸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아시다시피최초의 목판인쇄물은 한국의 불교인쇄물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고, 최초의 활판 인쇄물은 역시 한국의 불교인쇄물 ‘직지심경’입니다.)
이미 <다시 보고 싶은 책>에서는 3대 종교 중 하나인 이슬람교의 경전 ‘코란’을 다룬 바 있습니다. 종교는 인류가 의식이라는 관념을 갖기 시작하면서부터 존재해 온 태초의 개념이고, 그 수천 년을 인류와 함께 지내왔다는 점에서 현대인에게도 여러모로 스승이 되는 개념입니다. 3대 종교 중에서도 가장 큰 교세를 자랑하는 그리스도교의 경전을 읽어보는 것은 바로 그런 의미에서입니다. 단, 본 코너가 종교적 색채를 띠는 코너가 아니고 대상으로 하는 독자 또한 특정 종교집단이 아니기 때문에 이야기의 초점은 ‘성경’이라는 텍스트에 한정하는 점은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리스도교의 출현 배경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의 중동 지방에서 출현한 그리스도교는 그 출발점을 유대교와 같은 곳에 두고 있으며, 그렇기에 그리스도교의 뿌리를 살피는 과정은 유대교의 출발을 살피는 것과 같습니다.
유대교는 지금의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살아가던 유대민족의고유 종교입니다.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하여 단일민족 중심의 왕조를 유지하던 유대민족은 기원전 6세기경 신바빌로니아의 왕 네브캇네자르 2세의 침공으로 멸망하고, 민족의 지도층이 상당수 점령국 수도인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가는 형국을 맞이합니다. (바빌론 유수, B.C. 597)
유대 민족은 본래부터 원시 종교의 형태로 창조주에게바지는 일종의 제사 형태를 지내고 있었습니다. 이른바 번제燔祭라고 불리는 이 방식은 신에게 바치는 제물을 현물 그대로가 아니라 통째로 불에 태워, 그 타는 향과 연기로 신을 만족시키는 제의 형태였습니다. 그러나 바빌론 유수로 바빌론으로 끌려간 유대민족은 이러한 고유의 제의를 금지당했고, 종교지도자들이 있는 회당에서 주요 교의와 내용을 설교하고 이를 기도로 예배하는 형태로 서서히 변해가게 됩니다.
이후 중동 지방의 정세는 급변해서, 신바빌로니아는 페르시아 키로스 2세의 정벌로 인해 무너집니다. 키로스 2세는 바빌론에 묶여 있던 유대민족을 풀어 주고, 이들은 신이 약속한 땅,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 이미 폐허가 된 유대 왕국의 재건을 시작합니다. 건설과 복구는 물리적인 도시와 공간에서뿐만 아니라 의식과 종교 분야에서도 일어났는데, 원시 종교 형태의 희미한 전승을 발전시킨 유대 신학자들은 유대 민족이 겪은 역사를 신을 중심으로 새롭게 정리해 나가기 시작합니다. 이 내용이 바로 유대교의 경전, 일명 토라Tora라고 불리는 구약의 모태가 됩니다.
이후 이집트에 포로로 끌려갔던 모세 일행의 가나안 귀환을 다루는 모세 5경, 그 이후 주요 선지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 등이 추가되면서 유대 민족의 경전은 지금 우리가 구약이라고 부르는 내용의 대부분을 갖추게 되는데, 이를 대략 B.C 1세기 경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구약을 중심으로 하는 유대교의 중심 교리는 어렵지 않습니다. 창조주 야훼와 유대 민족은 계약에 의해 맺어진 관계입니다. 유대 민족은 오직 단 하나의 신, 야훼만을 섬기고 그 외의 신에게는 일체의 경배를 드리지 않으며, 이에 대한 보답으로 야훼는 유대 민족만을 보살핌의 대상으로 선택했다는 것입니다. 이 기본 뼈대를 중심으로 하여 유대교는 최후의 종말이 다가왔을 때 신으로부터 구원받는 것은 오직 유대민족뿐이라는 종말의 개념을 포함한 종교로 인류 사회에 등장하며, 이 교리의 핵심 고리인 신과 인간의 계약을 ‘구약’이라고 부릅니다.
신과의 약속이 ‘구약’인 이유는 새로운 약속이 등장하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 새로운 약속이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시작되며,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분기점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시작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말 그대로 신과의 계약을 새롭게 재정의하는데, 이는 유대교의 고전적 교리와 상당히 다른 부분을 보여 줍니다. 구약의 개념이 ‘여러 신 중 단 하나, 야훼만을 섬기는 여러 민족 중 단 하나, 유대민족만이 구원받는다’는 개념이라면, 신약은 ‘신은 오직 단 하나, 그리고 구원은 그 신을 믿는 모든 이에게’라는 형태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면서 민족종교가 아닌 범인류적 종교로 새롭게 태어난 그리스도교는 이쓈 그리스도의 행적을 다룬 경전, 그리고 그 제자들에 의해 초대 교회가 형성되는 과정, 컀류의 종말을 담은 묵시록까지를 포함하는 성경 전체의 모습을 서서히 갖춰 나가게 되며, 이러한 내용들이 구약을 포함하여 최종 정리된 본이 지금 우리가 읽을 수 있는 성경의 모습입니다.
여러 판본의 성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