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연재종료 > 다시 보고 싶은 책
인간은 유전자의 꼭두각시다! - 『이기적 유전자』
〈C.S.I: 과학수사대〉라는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보편화한 인식 중 하나는 유전자에 대한 인식입니다. 유전자는 모든 사람의 모든 세포 안에 존재하며, 이는 60억 인류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고유한 값을 지닌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 말입니다.
〈C.S.I: 과학수사대〉라는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보편화한 인식 중 하나는 유전자에 대한 인식입니다. 유전자는 모든 사람의 모든 세포 안에 존재하며, 이는 60억 인류 개개인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고유한 값을 지닌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 말입니다.
개개인을 구성하는 세포 단위의 가장 기본 요소 중 하나가 인간 개개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력적인 발견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방구석에 흩어진 물어뜯다 만 손톱, 나도 모르게 부서져 흩뿌려지는 피부의 각질 속에 모두 ‘나’를 말할 수 있는 무언가가 들어있다는 것…. 많은 이는 그 유전자의 존재로부터 개성의 근원을 생각하고, 나아가 존재의 근원까지도 더듬어 갑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의 최종판 - 물론 현재까지입니다 - 이라고 불릴 수 있을 만한 책이 『이기적 유전자』라고 말하는 것은 그리 오만한 선언은 아닐 것입니다.
"생물은 유전자가 스스로를 유지시키기 위한 생존 기계로서 존재한다”
옥스퍼드 대학교 생물학 교수가 70년대에 첫 선을 보인 『이기적 유전자』는 크게 뭉뚱그리자면 위의 한 문장으로 무식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그냥 문장 하나만 뚝 떼어 놓고 보면 별 감흥이 없지만, 주장이 나오게 된 맥락을 더듬어 보면서부터 책은 자신의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를 독자에게 보여 줍니다.
위 문장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생물의 존재’입니다. ‘왜 생물은 존재하는가?’라는 철학적 질문일 수도, ‘생물은 어디서 왔는가?’라는 근원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는 존재론적 질문에 답이 될 수 있는 한 문장인데, 사실 이러한 질문에는 이른바 진화론과 창조론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논지가 각자의 틀 속에서 답을 구축한 상황이었습니다.
그중 진화론은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설을 중심으로 하여 진화의 근거를 두텁게 하는 수많은 이론이 체계를 탄탄하게 갖춰 왔지만 일부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서는 설명이 미진했습니다. 책에서 대표적인 예로 드는 것이 생물이 보이는 이타적 행위입니다.
아프리카 다큐멘터리에서 사자에게 쫓기는 역할로 가장 자주 등장하는 톰슨가젤은 무리 중 가장 점프력이 좋은 녀석이 포식자의 눈을 자기 쪽으로 집중시켜 다른 가젤들이 먹이가 될 확률을 낮추려고 매우 높이 껑충껑충 뛰는 행동을 보입니다.
다윈의 자연선택설을 놓고 볼 때, 이는 어처구니없는 행위입니다. 포식자에 의한 생명의 위기는 톰슨가젤 한 마리 한 마리가 놓인 생존 경쟁의 상황이며, 이 와중에 가장 빠른 개체가 포식자로부터 살아남아 발 빠른 가젤만이 개체군에 남게 된다는 것이 다윈의 이론인데, 이론과 실제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게다가 그 점프 행위는 1인자뿐 아니라 톰슨가젤 전체가 동시에 겅중겅중 뛰는 모습이 됩니다.
이렇게 자연선택설이 무너지는 상황을 저자 도킨스는 주체를 새로 정립하여 해결합니다. 진화란 종 전체도 아니고 생명체 하나하나의 객체도 아닌, 유전자라는 단위가 스스로 살아남고자 가져가는 과정이라는 관점입니다. 톰슨가젤의 가장 빠른 종이 사자의 시선을 돌리는 상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가장 빠른 유전자를 가진 톰슨가젤 1마리가 사자의 추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확률은 일반적인 톰슨가젤보다 높습니다. 사자의 추격을 무리에서 가장 빠른 한 마리가 담당하고, 나머지 무리가 안전하게 도망칠 수 있게 하는 이 행동 패턴은 전체 유전자군의 다양하고 안전한 보존성공 확률을 계산한 결과 중 가장 높은 확률의 행동 패턴이며, 이는 유전자 중심의 진화, 즉 자연선택설을 뒷받침합니다.
생명체의 탄생과 진화, 생존과 경쟁의 이야기는 도킨스의 책을 통해 유전자 중심의 관점으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원시 지구의 걸쭉한 유기물 바다 속에 떠다니던 수많은 유기체 중 형틀과 같은 형태로 자신과 대칭/동일한 형태를 만들어내는 유기체의 출현이 있었고, 이 자기복제 유기체 중 급변하는 원시 바다의 변화 속에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막(후일 세포막이 되는)이 있는 유기체가 살아남아 유기체 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유지합니다. 이 보호막은 점점 발전하여 세포막이 되고, 결국 하나의 세포가 되면서 내부의 유전자를 보호하고 존속할 수 있는 기계로 작용한다는 설입니다.
유전자는 스스로 계속 복제하고 존속하고자 자신을 보존하는 세포 자체를 끊임없이 복제합니다. 또한 이러한 단세포 체계는 더욱 복잡하고 고차원적인 유전자 생존 프로그램을 구현하고자 여러 개의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세포가 군체를 이루어 각자의 고유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세포 생물의 형태로 발전합니다.
(단, 여기서 도킨스의 의인법 비유가 가져올 수 있는 치명적 오독의 우려가 있어 정리하자면, 유전자가 자체의 존속을 위해 의도적으로 어떤 행위를 구상하고 실행한다는 것은 명백한 오류임을 저자도 밝힙니다. 이는 독자의 이해를 도우려는 의인법적 비유일 뿐, 실제 그러한 선택은 유전자 자신이 아니라 환경 또는 여러 가지 내/외부 요인에 의한 확률적 소멸과 생존의 결과값일 뿐임을 명기하여 둡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