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진짜 나를 알아가기 시작했다』 김현중 저자는 20대 때 별다른 꿈이 없었다고 했다. 그저 남들 눈을 신경 쓰며 냇물에 떠내려가는 종이배처럼 살다가 서른을 맞이하고 ‘현타’가 왔다고 했다. 성실히 지내왔기에 뭐라도 돼 있을 줄 알았는데 정작 아무것도 이룬 건 없었다. 그렇게 찾아온 지독한 서른앓이로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서른앓이로 방황하던 저자는 우연히 지인에게 추천받은 책을 읽으면서 밑줄 긋고 별표 치며 책 속 문장과 교감하며 힐링을 받았다. 그리고 서른 즈음부터 책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관계, 돈, 일 등 답답하게 죄어오는 걱정들에 대한 방향, 결국 그래서 나란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답을 책 속에서 찾아간다.
서른이 되면 얼마만큼 어른스러워져야 하는 건가요? 아직도 스무살 때와 똑같은 것 같지만 서른에는 그러면 안 될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서른살은 스무살과 어떻게 달라야 하나요?
제게 서른은 평범하게 살기 싫은 이상과 평범하게 살고 있는 현실의 괴리를 실감하는 시기인 것 같아요. 심지어 평범하게 살지도 못할까 봐 두려워지더라고요. 서른이 되면 얼마만큼 어른스러워져야 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정답이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고난이 성숙을 위한 촉매제라는 사실이에요. 조개가 고통 속에서 몸부림치면서 진주를 빚어내듯이 우리도 서른앓이를 치열하게 겪어내면서 조금 더 빛나는 존재가 되어가는 것이 아닐까요? 고통과 고민 속에서 진짜 나는 누구인지 알아가고 이상과 현실의 균형을 찾아가며 서른의 시간을 충실히 보낸다면 조금 더 어른스러워진 자신을 발견하리라 확신해요.
나다운 게 뭔가요? 지금껏 나답게 살아본 적이 딱히 없어서 나다운 게 무엇을 뜻하는 건지 어떻게 해야 나답게 살 수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체면문화에서 자유롭지 못한 우리는 어릴 때부터 남들과 비교 당하며 자라요. 자연스레 타인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고 타인의 만족을 위해 자신을 변형시키죠. 타인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지 않을 때 나다운 삶이 시작된다고 생각해요. 즉 나의 삶에서 깊이 만족할 수 있는 나만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것을 용기 있게 실현하며 살아가는 것, 그것이 나답게 사는 게 아닐까요? 그 누구도 어떻게 해야 나답게 살 수 있는지 알려줄 수 없어요. 나의 존재는 우주에서 유일하기 때문이죠. 그렇기에 나 자신과 직면하여 깊은 대화를 나누고 처절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서른이 되니까 내 미래에 대해 희망과 긍정보다는 걱정과 불안 등 부정적인 생각이 훨씬 많이 듭니다. 어떻게 해야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을까요?
부정적인 생각의 가장 큰 원인은 남들과의 비교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쉽게 가지고 있는 것의 소중함을 망각하고 가지지 못한 것을 갈망하죠. 삶에 만족감이 없으면 상실감만 커질 뿐이에요. 긍정적인 생각을 하려면 우선 나만의 방향과 나만의 속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요.
또한, 부정적인 생각을 즉각 없애는 방법은 당장 실행하는 것이에요. 생각만 할 때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두려움이 실제로 부딪치면 눈 녹듯이 사라지는 경험을 여러 번 했어요. 과거의 트라우마에 집착하거나 미래의 공상에 망설이지 말고 현재에 집중해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피부로 느끼자 격렬한 서른앓이가 시작되었다고 하셨는데요. 현실과의 타협과 이상의 추구, 둘 다 놓기 싫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참 어려운 고민이었는데 지금은 현실 속에서 이상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리가 되었어요. 농구에는 공을 잡고 한 발을 땅에 붙인 상태에서 다른 발을 이리저리 움직여도 파울이 되지 않는 기술이 있어요. 이것을 '피벗(Pivot)'이라고 부르는데 서른에도 피벗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주업에 한 발을 붙인 상태에서 짬을 내어 다른 발로 이리저리 관심 분야를 경험해보는 것이죠.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개인의 취미 생활과 자기개발을 통해 어느 정도 수입이 발생하게 된다면 그때는 덩어리 시간을 활용해야 해요. 주업 외에도 생계가 해결될 정도의 부수입이 발생한다면 그때는 주업에서 발을 떼어 관심 분야에 올인하는 것이 지혜롭다고 생각해요. 요즘 너무 무책임하게 '네가 원하는 대로 즐기며 살라'는 식의 조언들이 판치는 것 같아요. 세상에는 절대로 공짜가 없어요. 욜로(YOLO) 좋아하다가 골로 간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듯이 모든 일에는 정당한 값을 치러야만 한다고 생각해요. 저도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책을 내기까지 결코 쉬운 과정은 아니었지만, 땀과 눈물이 있었기에 만족과 기쁨을 더 크게 느끼는 것 같아요.
20대 때까지는 주어진 삶에 맞춰 살았던 것 같습니다. 서른이 되고서부터는 내 삶을 살고 싶은데요, 나에게 맞는 삶의 방식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실제로 제가 썼던 방법인데요. 저를 잘 아는 지인 30명에게 저의 강점과 그것이 잘 발휘되었던 사례를 물어보았어요. 지인들의 피드백을 종합해보니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저의 강점을 발견할 수 있었어요. '따듯한 말과 글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사람'이라고 정리가 되자 가슴속 깊은 곳에서 꿈틀거림을 느꼈어요. 그래서 스스로 검증하기 시작했어요. 제가 진짜 소통에 강점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직장에서 소통의 관점으로 일하면서 성과가 나는지 피드백 했어요. 그 결과, 소통 관련 전문 부서로 이동도 할 수 있었어요. 퇴근 후에는 글쓰기 강좌를 들으며 언론사에 기고도 해보았어요. 원고료를 받게 되자 자신감이 붙었고 책 쓰기에도 도전할 수 있었어요. 몇 년간 스스로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를 확신하게 되었고 지금은 직장인 작가로서 살아가며 전업 작가를 꿈꾸고 있어요.
서른의 사랑은 결혼을 염두에 둘 가능성이 커서 그런지 20대때처럼 만남과 헤어짐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랑이 더 어려워진 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 내 인연을 만날 수 있을까요?
나이가 들수록 현실적인 조건을 따지느라 점점 더 결혼이 어려워지는 것 같아요. 저도 결혼 전에는 상대의 조건에 관심이 많았어요. 어느 날 책을 읽었는데 '배우자의 조건 30가지를 놓고 기도하지 말고 내가 좋은 배우자가 되기 위한 30가지를 놓고 기도하라'는 내용에 충격을 받았어요. 결혼을 통해 사랑은 상대의 조건이 아닌 나의 인격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결혼할 때 검은 머리 파뿌리가 되도록,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사랑할 것을 서약하잖아요. 상대의 조건에 따라 변하는 사랑은 껍데기일 뿐이지만, 내가 상대의 부족함을 채워줄 수 있는 품격을 갖춘다면 그 사랑은 지속되지 않을까요? 나의 행복에 집착하면 상대까지 상처를 입지만, 나의 성숙을 지향하면 상대까지 행복해지는 것이 사랑이라고 생각해요.
마지막으로 서른앓이를 잘 이겨내는 방법으로 뭐가 있을까요?
아이들은 아프고 나면 쑥쑥 큰다고 하는데 실제로 아이들이 병치레를 한 후 훌쩍 커버린 것을 실감할 때가 많아요. 아무런 고민도 없는 삶은 냄비 속 개구리처럼 죽어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아프니까 청춘'이 아니라 '아프면서 어른'이 된다고 해야 할까요? 저는 갑자기 찾아온 서른앓이에 당황하여 사춘기 때보다 훨씬 더 심한 방황을 했어요. 다이내믹한 시간을 견디고 나니 서른앓이가 어른이에서 어른으로 나아가는 변곡점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물론 어른이 되기 위해 가야 할 길은 아직도 멀다고 느끼지만요. 서른앓이를 통해 그동안 달려오기만 한 나를 잠시 멈춰세우고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가면 어떨까요? 그 과정이 당장에는 힘들어도 길게 보면 분명 삶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거라 믿어요.
*김현중 나의 기쁨과 너의 필요가 만나는 곳의 행복을 찾는 84년생 직장인.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했으나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유통에 흥미를 느껴 온오프라인 MD로 직장 생활을 한 지 12년차가 되었다. 이랜드에서 백화점 플로어 매니저, 리테일 MD, 그룹사 커뮤니케이션 전략기획 등 다채로운 경험을 쌓았고 현재 쿠팡에서 로켓배송 MD로 재직 중이다. |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