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치, 지속 가능한 음악을 추구하겠다는 의지
사운드가 전면으로 나서지 않는 가운데 중추를 맡아야 할 소리꾼들은 물 만난 별주부, 뭍으로 나온 토끼처럼 신나게 뛰어논다.
글ㆍ사진 이즘
2020.07.01
작게
크게


퓨전 국악 팀 씽씽의 주축은 소리꾼 이희문과 어어부 프로젝트 출신의 음악 감독 장영규였다. 팀 해체 후 이희문은 민요와 잡가를 주축으로 하여 재즈, 레게 및 펑크(Funk)를 결합하며 활발히 활동을 이어가는 가운데, 장영규는 2018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의 음악극 <드라곤 킹>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봤다. 이윽고 각기 다른 개성의 다섯 소리꾼, 드러머 이철희, 베이스 정중엽이 한 데 모였다.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인 수궁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들은 조선의 판소리 명창 이날치의 이름을 빌려 신명 나는 한 판을 벌인다.

유튜브 조회수 100만을 넘기며 순항 중인 「범 내려온다」를 통해 신세대 소리꾼의 스타일을 살펴보자. 기타 주자 대신 한 명의 베이스 주자를 더 두며 멜로디보다 리듬에 강점을 두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간결한 리프 아래 잘게 쪼개진 드럼 비트는 국악 장단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얼트 디스코와 신스팝의 비트를 이식한다. 문화재청보다 댄스 플로어와 클럽이 가까운 신세대 소리꾼들의 취향과 장영규의 현대적인 감각이 화려한 비주얼과 대비되는 정제된 형태의 판소리를 만들었고 이 전략은 대단히 성공적이다.

사운드가 전면으로 나서지 않는 가운데 중추를 맡아야 할 소리꾼들은 물 만난 별주부, 뭍으로 나온 토끼처럼 신나게 뛰어논다. 「범 내려온다」의 혼성 교차 코러스가 반복 구조를 지루하지 않게 하고 「좌우나졸」에서 속사포처럼 상황을 묘사하며 앞다투어 앞으로 나서는 모습에는 자유롭되 엄격한 질서와 흐름이 있다. 사이키델릭 풍의 「어류도감」과 느린 템포의 「약성가」에서 여성 소리꾼들과 남성 소리꾼들이 번갈아 중심을 맡으며 감각을 일깨우고, 「호랑이 뒷다리」와 「별주부가 울며 여짜오되」의 재치와 섬세한 감정 표현 역시 판소리의 매력을 전달하기에 손색이 없다.

이처럼 낯선 것들의 조화로운 공존 지대를 구축한 이날치의 세계가 묘하게 아웃사이더적이라는 사실도 흥미롭다. 「Another brick in the wall pt.2」의 핑크 플로이드보다 그 앨범 의 「Comfortably numb」을 경박한 디스코로 리메이크한 시저 시스터스(Scissor Sisters), 「Groove is in the heart」의 이방인 3인조 디라이트(Deee-lite)와 닮았다. 지배층을 조롱하고 기지를 발휘해 살아 돌아온 토끼의 이야기를 흥겹게 노래하는 이날치의 모습은 신나지만 그 아래에는 전통의 보이지 않는 굴레와 설 자리를 잃어가는 젊은 음악인들의 현실적 고민이 도사리고 있다.

언더그라운드로부터 출발한 디스코 비트 위에서 이날치는 현세대와의 소통을 원한다. 수궁가의 원래 이야기 흐름을 따르지 않고 주요 장면만을 포착해 앨범 단위 소리의 유기성을 강화한 요소 역시 판소리의 틀에 연연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음악을 추구하겠다는 의지의 결과다. 무거운 국악 보존의 사명 대신 해체와 재조립으로 ‘힙’의 칭호를 얻어낸 2020년의 「수궁가」는 과감히 내려놓는 것이야말로 생존과 계승의 첫 단계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날치 - 1집 수궁가 [LP]
이날치 - 1집 수궁가 [LP]
이날치
마장뮤직앤픽처스잔파





추천기사



#이날치 수궁가 #수궁가 #이날치 #퓨전 국악
0의 댓글
Writer Avatar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