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의 눈썹 : 지금 우린 무엇을 소비하고 있는 걸까
사람들이 백종원에게서 정말 소비하고 싶은 건 무엇일까? 적어도 지금으로선 아무리 봐도 “상황이 나아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희망”을 주는 광경이 아니라, 권위를 지닌 사람이 모두가 흔쾌히 미워할 만한 ‘빌런’ 하나를 잡아 박살을 내고 ‘참교육’하는 광경인 것만 같다.
글ㆍ사진 이승한(TV 칼럼니스트)
2018.12.10
작게
크게

제목 없음.png

 

 

백종원은 절실하다. 위기에 처한 요식업계 자영업자들에게 사업윤리와 장사비결을 컨설팅 해주는 프로그램인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백종원은 고집불통의 사장들을 상대하며 자주 눈썹을 찌푸리고 뒷목을 잡는다. 살아남기에는 허점이 많지만, 백종원이 제시하는 솔루션을 받아들이기엔 자존심이 강한 사장들을 설득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백종원은 “시장 원리에 따라 도태될 수밖에 없는 자영업자는 도태”되는 게 맞다고 믿는 냉정한 사업가다. 그리고 <백종원의 골목식당>에 출연하는 자영업자 중 태반은 당장 내일 도태되어도 이상할 게 없는 수준의 업장을 유지하고 있다. 굳이 저렇게까지 괴로워해가며 설득을 해야 하는 걸까.

 

 

하지만 백종원은 냉정한 사업가이기 이전에, 자기 자신도 IMF 때 사업 실패로 빚더미에 올랐다가 식당 하나로 일어선 경험을 공유한 사람이다. 그런 그가 한국에 자영업자들이 많은 이유를 모를 리가 없다. 그가 “어쩔 수 없이 오픈한 분들은 잘못된 부분을 고쳐서 지금보다 상황이 나아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희망을 전해드리고 싶다”(이상 국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 중, 2018년 10월 12일)고 말한 건,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혈압을 올려가며 사람을 설득하는 건 그 때문이리라.
 
그러나 백종원의 절박한 선의와는 별개로, 프로그램은 백종원이 분노하는 순간들을 기점으로 성장해왔다. 공덕동 라오스식 쌀국수집처럼 모범적인 점포나, 신포국제시장 타코야키집처럼 어쨌거나 백종원의 솔루션을 듣고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성공한 집들은 큰 화제가 되지 못하는 반면, 충무로 국수집처럼 육수를 우리는 법을 놓고 백종원과 끝까지 싸운 집이나, 해방촌 원테이블처럼 염불보다 잿밥에 더 관심이 많은 집, 뚝섬 경양식당처럼 마지막까지 백종원과의 불화를 풀지 못한 집들이 등장할 때면 관련 기사가 쏟아져 나왔다. 사람들은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고 부정하고 싶겠지만, 백종원이 분노하고 언성을 높이며 사자후를 토해내는 순간들이야말로 사람들이 <백종원의 골목식당>을 보는 진짜 이유다. 백종원이 순간이나마 방송이란 사실마저 잊고 점주들에게 역정을 내면서 “이래서는 나 방송 안 한다”고 선포하는 순간, 요즘 유행하는 표현으로 ‘백종원이 불량점주 참교육’하는 순간들 말이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을 보는 게 점점 불안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포방터 홍탁집을 컨설팅하며, 백종원의 눈썹은 좀처럼 즐겁게 호를 그리지 못했다. 음식이나 접객 분야에 컨설팅을 해주면 되는 상황이었던 이전 점포들과 달리, 이 집은 장사할 의욕이 없어 어머니에게 기생하는 아들의 됨됨이를 컨설팅해줘야 했다. 백종원이 늘 미간 쪽이 말려 올라간 눈썹을 한 채 연일 사자후를 토해내는 동안,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9개월만에 다시 시청률 7%대를 돌파하는데 성공했다. 사람들이 백종원에게서 정말 소비하고 싶은 건 무엇일까? 적어도 지금으로선 아무리 봐도 “상황이 나아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희망”을 주는 광경이 아니라, 권위를 지닌 사람이 모두가 흔쾌히 미워할 만한 ‘빌런’ 하나를 잡아 박살을 내고 ‘참교육’하는 광경인 것만 같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백종원의 골목식당 #백종원 #이승한
1의 댓글
User Avatar

sheep37

2018.12.27

그 참교육에 골목식당 보는 재미를 더하고 있던 시청자로서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글 고맙습니다!
답글
0
0
Writer Avatar

이승한(TV 칼럼니스트)

TV를 보고 글을 썼습니다. 한때 '땡땡'이란 이름으로 <채널예스>에서 첫 칼럼인 '땡땡의 요주의 인물'을 연재했고, <텐아시아>와 <한겨레>, <시사인> 등에 글을 썼습니다. 고향에 돌아오니 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