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많이 읽었던 시기는 대학원 논문을 쓸 때입니다. 독서가 중요한 이유는 경험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죠. 결국 세상을 바로 알고 제대로 살자는 것이 인생인 만큼, 책을 통하지 않고는 제한된 삶을 살 수 밖에 없습니다. 사회를 바꿀 수 있는 책이라면 닥치지 않고 읽는 편입니다. 세상을 꿰뚫어보는 데 도움이 되는 인식의 전환, 감성의 전환, 주체적인 자각과 행동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작업하고자 합니다. 역사적 자리가 없는 작품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명사의 추천
![]() |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아르놀트 하우저 저/백낙청, 염무웅, 반성완 역 | 창비
미술이란 울타리를 벗어나게 해주었다. 예술의 사회사적 의미를 깨닫게 해준 책.
![]() |
서양미술사
에른스트 H. 곰브리치 저 | 예경
이야기로 풀어 쓴 미술사. 미술사의 지평이 넓혀줬다.
![]()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도스토예프스키 저/김연경 역 | 민음사
인간 내면을 들여다보는 소설적 재미와 감동의 시간을 안겨준 최초의 소설.
![]() |
만인보
고은 저 | 창비
인간에 대한 사랑과 연민을 이렇게도 그릴 수 있는가. 우리 문학의 금자탑이다!
![]() |
전환시대의 논리
리영희 저 | 창비
한쪽 눈으로만 보았던 반공이데올로기의 실체와 박정희 정권의 속내를 속속들이 알게 되었다. 드디어 해방되었다.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신화섭(스튜디오 무사)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