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만에 다시 만나는 김승옥 작가의 처음이자 마지막 수필집
청년 김승옥의 수필집 『뜬 세상에 살기에』가 오랜 시간을 건너와 다시 독자들을 위로합니다.
글 : 이동진
2017.03.16
작게
크게

ㅇㅔㄷㅣㅌㅓㅌㅗㅇㅅㅣㄴ.jpg

 

안녕하세요, 김승옥 작가의 수필집 『뜬 세상에 살기에』다시 만든 위즈덤하우스 편집부 정지연입니다.

 

김승옥은 문학도들이 가장 먼저 필사하고 싶어 하는, 한글의 아름다움을 가장 잘 보여주는 소설로 평가받는 「무진기행」을 비롯해 주옥같은 작품들을 써낸 우리 시대의 전설적인 작가입니다.

 

『뜬 세상에 살기에』는 그런 그가 청년 시절에 처음 출간한 수필집이고, 아마도 마지막 수필집이기도 할 것입니다.

 

이 책의 초판 복간본과 개정판 작업이 우연히 저한테 맡겨졌을 때 판권 부분부터 살펴봤습니다.


제가 태어난 그해 그달에, 이 책도 태어났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40여 년 전입니다.

 

그때 김승옥 작가는 「서울의 달빛 0장」으로 제1회 이상문학상을 받았고, 그것을 기념하여 당시 지식산업사에서 책을 만들던 최하림 시인이 그동안 여러 매체에 실린 김승옥 작가의 잡문들을 모아 한 권의 수필집으로 펴내줬습니다.

 

이 책에는 김현, 김치수 등과 함께 활동한 동인지 《산문시대》 이야기부터 자작에 대한 작가 자신의 흥미진진한 해설, 문학과 시대에 대한 청년 시절 작가의 순수와 열정과 고민, ‘자유민주주의’가 뭔지도 모르면서 가르치는 걸 공부해 제대로 알고 실천했던 학생들의 4?19 혁명 이야기까지 거침없는 육성이 진솔하게 담겨 있습니다.

 

『뜬 세상에 살기에』는 청년 김승옥을 다시 만나러 갈 수 있는 유일한 타임머신입니다.


40년 전 작가의 역할을 고민하는 청년은 제1회 이상문학상 수상식장에서 감동적인 연설을 합니다.

 

자신이 줄 것은 ‘고통’과 그것에서 비롯하는 ‘초라한 상상’밖에 없다고, 고통을 함께하는 인간끼리는 행복하므로 말입니다. 이 절실한 진심만큼 시대와 사회에 끊임없이 지치고 상처 입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말이 또 있을까요. 청년 김승옥의 수필집 『뜬 세상에 살기에』가 오랜 시간을 건너와 다시 독자들을 위로합니다.

 

ㅅㅗㄹㅣㄴㅏㄴㅡㄴㅊㅐㄱ.jpg

 

야릇

 

누군가 나를 뒤집어쓰고 있어

 

병을 불러 아픈 날
곁에 누워 얼굴을 쓰다듬는 계집아이
돌아보면 할머니가 꽃을 안고 웃고 있다

 

어느 저녁엔
내 몸에 살림 차린 이들
밥물 끓는 소리

 

등본은 발급되지 않고
번지수가 없어
오늘도 짐 풀지 못한 채
마루 끝에 앉아 있다

 

누가 불러 나갔는데
나무들 무얼 숨기고 있는지
이파리 하나 흔들거리지 않고
누가 깨워 눈떴는데
벽지 꽃무늬 사이로
사라진 옷자락만

 

오래 집 비우고 돌아온 날
후다닥 숨는 기척
커튼 뒤의 수군거림

 

어둔 창에서 나를 바라보고 있는
나를 닮은 이 있네
문득 나 또한 누군가의 몸에 세 든 것을 알았네

 

- 나는 잠깐 설웁다』 (허은실/문학동네) 中에서



 

 

 

 

빨간책방.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뜬 세상에 살기에 #김승옥 #수필집 #작가
1의 댓글
User Avatar

susunhoy

2017.03.16

번역 해 다오/ 최승자


침묵은 공기이고
언어는 벽돌이다
바람은 벽돌담 사이를
통과할 수있다
나는 네 발목을 붙잡고 싶지 않다
지금 내 손은 벽돌이지만
내 발은 공기다
통과하라. 나를.
그러나 그 전에 번역해 다오 나를
내 침묵을 언어로
내언어를 침묵으로
그것이 네가 내 인생을 거쳐가면서
풀어야 할 통행료이다

.
.


절실한 진심은 '내 인생을 거쳐가면서'
'꽃을 안고 웃'는 사랑으로 완성하겠지요


나를 닮은 이는 자신이 가진 것 중에
가장 좋은 것을 나누면서
나와 사람들을 위로합니다*
답글
0
0

뜬 세상에 살기에

<김승옥>

출판사 | 예담

나는 잠깐 설웁다

<허은실>

출판사 | 문학동네

Writer Avatar

이동진

어찌어찌 하다보니 ‘신문사 기자’ 생활을 십 수년간 했고, 또 어찌어찌 하다보니 ‘영화평론가’로 불리게 됐다. 영화를 너무나 좋아했지만 한 번도 꿈꾸진 않았던 ‘영화 전문가’가 됐고, 글쓰기에 대한 절망의 끝에서 ‘글쟁이’가 됐다. 꿈이 없었다기보다는 꿈을 지탱할 만한 의지가 없었다. 그리고 이제, 삶에서 꿈이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되물으며 변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