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 권력에 맞서 자유의 증언을 계속해온 양심적인 행동인 김지하는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영일(金英一)이다. 아호로 노겸, 노헌(勞軒), 우형(又形), 묘연(妙衍)이 있다. 필명 ‘지하(地下)’가 굳어져 이름처럼 사용되자 ‘지하(芝河)’라 하게 됐다. 1953년 산정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목포중학교에 입학했으나, 1954년 강원도 원주로 이사하면서 원주중학교에 편입했다. 1956년 원주중학교를 졸업하고 1969년 중동고등학교를 나와 1966년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등 5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64년 대일 굴욕 외교 반대투쟁에 가담해 첫 옥고를 치른 이래 ‘오적 필화 사건’, ‘비어(蜚語) 필화 사건’, ‘민청학련 사건’ 등으로 8년간의 투옥, 사형 구형 등의 고초를 겪었다. 1980년대에는 생명운동 환경운동을 펼쳐왔다. 199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학생들의 분신자살이 잇따를 때 「죽음의 굿판을 당장 걷어 치워라」라는 제목의 글을 조선일보에 기고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지하는 생명에 대한 존중에서 비롯된 비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결과적으로 노태우 정부를 돕게 된 결과를 낳아 많은 이들의 비난과 원성을 샀다. 이 일을 계기로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직과 회원자격 정지 결정을 당하기도 했다.
아시아 아프리카 작가회의로부터 ‘로터스 특별상’(1975)을, 국제시인회의로부터 ‘위대한 시인상’(1981)을 받았다. ‘크라이스키인권상’(1981), ‘이산문학상’(1993), ‘정지용문학상’(2002), ‘만해문학상’(2002), ‘대산문학상’(2002), ‘공초문학상’(2003), ‘영랑시문학상’(2010)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는 『황토』, 『타는 목마름으로』, 『오적』, 『애린』, 『검은 산 하얀 방』, 『이 가문 날의 비구름』, 『별밭을 우러르며』, 『중심의 괴로움』, 『화개』 등이 있다. 이 밖에도 『밥』, 『남녘땅 뱃노래』, 『살림』, 『생명』, 『생명과 자치』, 『사상기행』, 『예감에 가득 찬 숲그늘』, 『옛 가야에서 띄우는 겨울편지』, 『남』, 『김지하 사상전집』(전3권), 『김지하의 화두』, 『동학 이야기』 등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김지하 작가의 대표작
화개
김지하 저 | 실천문학사
『중심의 괴로움』 이후 8년 만에 선보이는 김지하의 신작 시집. 1995년에서부터 1997년 사이(1부에서 3부의 시편들), 1999년에서 2000년 사이(4부의 시편들)에 쓰인 작품들로 시인이 옛 원고를 정리하다 찾아낸, 까맣게 잊고 있거나 잃어버렸던 원고들을 모았다. 시인 자신의 말처럼 ‘탈중심으로 변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생태적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난 듯 『화개』의 시편들은 어떠한 고집이나 강요도 없이 삶, 생명, 우주에 대한 고요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부드럽게 전달한다. 2002년 ‘제10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수상작이다.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김지하 저 | 천년의시작
‘살아 있는 생명의 알맹이’로서 ‘생명령(生命靈)’이나 ‘영적인 생명치 유력의 실체’를 이르는 말인 ‘산알’을 예찬했던 김지하 시인.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에서 시인은 동서양의 학문을 총체적으로 아우르며 근원적인 인식의 변화와 구체적인 실천의 방법론을 제안한다. 그에게 ‘산알’이란 삶의 일부이자 일체이며 정화제이고 수련이며,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흐름이다. 이번 시집의 화두는 “흰그늘의 고통의 시대인 네오 르네상스로부터 산알의 생명이 새롭게 태어난다”는 것으로, 거대한 생명의 바다의 선두에 서서 생명에 대한 무한한 긍정과 애정을 노래하는 시 세계 속에서 새로운 생명과도 같은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
흰 그늘의 길
김지하 저 | 학고재
시인 김지하가 자신의 일생을 낱낱이 털어놓은 회고록이다. 굴곡진 성장사가 뼈대를 이루는 가운데 짙은 음영이 드리워져 있고, 때로는 기괴한 이문(異聞)들로 채워진다. 연대기적 사실의 건조한 나열이나 자기 연민에 빠진 여느 회고록과는 다른 점이다. 실제로 유년과 청소년 시절에 대한 시인의 회상은 마치 지괴(志怪)소설을 방불케 한다. 책 곳곳에서 보이는 이(異)세계와의 감응과 교통, 초절한 이미지들의 충돌은 현실과 비현실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기도 한다. 온갖 모순과 착종을 뚫고 나아가는 예지에 찬 시선도 번뜩인다. 이러한 아우라는 시인의 신명 넘치는 서술과 은근히 잠복한 위트와 유머, 급격한 압축 문채(文彩) 등에 힘입은 바 크다. 문학도로서의 단련과정은 흥미롭고, 시인이 흡수한 다양한 사상의 지류들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지한 진술도 있다. 한마디로 시인 김지하를 생성해온 모든 것을 온전히 체험할 수 있다.
절, 그 언저리
김지하 저 | 창비
수묵시화첩 『절, 그 언저리』는 2001년 봄부터 2002년 가을까지 여러 문예지에 발표한 절 순례 시편 32편에 매화, 난초, 달마를 주제로 한 수묵화들을 붙여 엮은 것이다. 김지하 시인은 이미 수 차례의 전시회를 통해 시적 서정성과 명상성이 어우러진 묵화의 세계를 선보이면서 문사철(文史哲)을 아우르는 동양적 문사의 맥을 이어왔다. 선암사, 금산사, 화엄사, 내소사, 운주사, 쌍계사, 구룡사 등 남도의 절을 두루 순례하며 그곳에 깃든 선사들의 자취를 좇고, 깨어 있는 시혼으로 그 정신과 대화하는 시편들에서, “선적(仙的) 숭고함과 불적(佛的) 심오함”을 아우르고자 하는 시인의 지향을 읽을 수 있다. 이런 시인의 순례는 초탈을 위한 고고한 형이상학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계의 고통을 상생(相生)의 마당으로 풀어내려는 시도이다. 힘 있는 사색의 시어들이 화법(畵法)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유로운 붓 놀림으로 그려낸 매화, 난초, 달마의 형상과 어우러져 지예(至藝)의 격조를 발한다.
유목과 은둔
김지하 저 | 창비
사상가, 생명운동가 등의 큰 이름들에 가려 잘 드러나지 않던 생활인으로서의 김지하의 모습이 담백한 시어와 매임 없는 형식에 담겨 고요한 감동을 전한다. 1부의 시들에서 보이는 한 자식의 부모이자 한 부모의 자식으로 살아가는 모습, 일산의 고층 아파트에 홀로 앉아 아내를 기다리고 고향 후배들과의 문학 강연에서 열변을 토하거나 시인으로서의 초발심을 회상하며 나이 듦을 아쉬워하는 모습들은, 인간의 숙명인 생로병사에 대한 깊은 성찰과 함께 보편의 굴레에 대한 슬픔과 연민으로 확장된다. 9.11 사태, 동북공정 문제 등 사회현안에서 촉발된 사유가 녹아 있는 시편들, 선가와 불가의 정신을 아우른 미학을 추구하는 시편들이 함께 묶여 크고 오롯한 정신의 깊이를 실감케 한다.
[추천 기사]
- 신경림, 민중의 삶을 노래하는 시인
- '눈길'을 걸어온 소녀의 '귀향'
- 작가들은 어떤 책을 읽을까?
- 신달자, 여성적 감성으로 실존적 고뇌를 표현한 시인
- 완독을 하지 못한 자의 변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
꿈의대화
2016.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