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의 남자, 그가 생각하는 생의 경계 - 조정치 外 양요섭, 좋아서 하는 밴드
무한도전 덕에 최근에야 대중적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지만, 조정치는 2010년부터 꾸준히 대중의 귓가를 두드린 신인 아닌 기타리스트입니다. 그의 새로운 앨범의 제목은 아이러니하게도 ‘유작’입니다. 그가 표현하는 생의 경계는 어떤 모습인지, 진지하게 들으며 사유의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2013.02.20
작게
크게
공유
무한도전 덕에 최근에야 대중적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지만, 조정치는 2010년부터 꾸준히 대중의 귓가를 두드린 신인 아닌 기타리스트입니다. 그의 새로운 앨범의 제목은 아이러니하게도 ‘유작’입니다. 그가 표현하는 생의 경계는 어떤 모습인지, 진지하게 들으며 사유의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비스트의 메인보컬 양요섭의 솔로 미니앨범과 어쿠스틱 음악의 아기자기한 매력이 돋보이는 좋아서 하는 밴드의 정규 1집도 함께 만나보세요.
조정치 < 遺作 >
사전적 정의로 유작은 ‘죽은 사람이 남기는 작품’ 또는 ‘생전에 남긴 작품’을 달리 말하는 단어이다. 그렇기에 유작이라는 이름을 내건 작품이 있다면 그 내용은 실로 진중해질 수밖에 없다. 기타리스트 조정치의 신보가 바로 그러한 작품이다. < 遺作 >(이하 < 유작 >)이라 명명된 이 두 번째 정규 앨범의 중심에는 삶과 죽음, 그리고 그 경계에 서있는 이들을 담은 테마가 자리한다.
데뷔 앨범이었던 전작 < 미성년 연애사 >가 뇌리에 남아있다면 이번엔 잠시 기억의 회로를 닫아놓는 편이 좋겠다. 삶과 죽음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기엔 아무래도 지난번의 명랑하고 새침한 음색은 도통 어울리지 않으니 말이다. 단조 풍의 음률이 자아내는 불안정한 떨림에 건조하게 구성된 편곡과 보컬, 허무함으로 향해가는 가사까지, 듣는 이들의 마음을 다소 불편하게 하는 무거운 요소들이 이번 작품의 전체에 배태되어있다.
떨어지는 꽃잎에 청춘을 비유한 「꽃」이나 독백을 빌려 헤어진 이에게 말을 건네는 「겨울이 오면」과 같은 곡들은 앨범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트랙들이다.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로 이루어진 간략한 구성에 흔들리는 듯한 현악 연주를 더하며 내면을 그린 두 곡은 음반 전체에 흐르는 분위기를 조성함과 동시에 < 유작 >에 내포된 컨셉을 일차적으로 구현한다.
테마와 감정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편곡자로서 조정치의 훌륭한 역량이다. 진행과 구성의 측면 면에서 어떤날의 「오후만 있던 일요일」을 떠올리게 하는 어쿠스틱 곡 「나의 허세 (Feat. 김C)」와 현악 콰르텟의 연주에 메이트 소속 정준일의 보컬이 어우러지는 「겨울이 오면 (Feat. 정준일)」에서는 형식미에 있어 각기 다른 매력을 전하고, 불규칙한 전개를 바탕으로 한 스트링 세션과 음향 효과가 두드러지는 「치유」는 편곡을 제외하고선 논의될 수 없는 음반의 가장 특징적인 트랙이다.
이런 점에 있어 조정치의 두 번째 정규 앨범 < 유작 >은 내면의 이야기를 투영하겠다는 아티스트의 목적을 잘 나타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아홉 개의 각 트랙에는 작품에 내포된 공통의 테마가 각기 다른 내용과 편곡이라는 개별의 내러티브로 적절히 배치되어있으며, 청춘을 이야기하는 (인트로를 제외한) 첫 트랙 「꽃」에서부터 마지막으로 남기는 「유언」까지의 음반 전체에는 서사성의 특색 또한 드러나 있다. 컨셉 앨범으로는 아쉬움이 없는 결과물이다.
삶과 죽음. 생각하고 있으면 어디엔가 마음 한 구석을 무겁게 짓누를 것만 같은, 그렇기에 고개를 돌리고만 싶은 불편한 존재이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일생의 마지막에서 받아들여야만 하는 운명의 담론이기도 하다. 그래서 언젠가 한번은 제대로 마주하려 했던 그 이야기를, 조정치는 사람들의 눈앞으로 가져다 놓았다. 앨범의 소재가 실로 무겁다. 생(生)의 경계 위에 떠있는 생각들이 이번에는 음악의 형식을 입었다. 여태껏 피하기만 했던 이 제재(題材)를 이번만큼은 여유 있게 곱씹어 볼 수 있을 것 같다.
양요섭 < The First Collage >
음악을 넘어 영화, 드라마, 예능까지 진출하는 아이돌은 국내 연예계의 복합체다. 각자의 강점을 살려 뻗어나가는 이 현상은 대중의 폭넓은 사랑을 유도하지만 때로는 진실성에 대한 비판과 단축된 수명을 피하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룩한 지오디 출신 김태우의 롱런과 씨스타의 효린은 그 근본에 충실했기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
양요섭 역시 현재 남성 아이돌 군의 특출한 보컬리스트이다. 비스트의 메인 보컬인 그는 약 3년 동안 각종 OST를 통해 소리꾼으로서의 실력을 확인받으며 독자적인 활로를 닦았다. < 보이스 코리아 키즈 >의 멘토로서 서인영, 윤상과 동등한 위치에 앉아있는 모습은 그것을 인정받는 증좌다. 그렇게 그룹 내 솔로 활동 출격의 1번 주자가 될 수밖에 없던 그는 적기에 데뷔 음반 < The First Collage >를 발표했다.
5곡의 미니 앨범이지만 그 안에는 가수 양요섭의 열성적인 모습이 묻어있다. 음악의 장르와 음반의 연출 선택에 직접 참여하여 애정을 담았고, 활발한 작곡 활동을 보여주는 동료 용준형의 도움으로 안정적인 호흡을 이루었다.
그루브한 리듬 위에 용준형과 보컬의 고저를 양분한 타이틀 곡 「카페인」은 알엔비와의 높은 호환성을 자랑한다. 특히 LP의 노이즈와 스팅의 「Shape of my heart」가 떠오르는 기타 사운드를 삽입한 것은 이별의 쌉쌀한 잔향을 남기는데 적절했다. 무엇보다 「그래도 나는」에서 양요섭의 능력이 폭발한다. 브라스와 베이스가 제조한 점성의 박자와 수준급 가성은 신선함 뿐만 아니라 성숙미까지 발산한다. 펑크(Funk)와 신스팝의 트렌디한 작법과 브루노 마스가 연상되는 창법이 담긴 「그대는 모르죠」 또한 준수하다.
그러나 첫 시도인 만큼 섬세하지는 못했다. 일렉트로니카를 차용한 곡들은 형식적으로 대세만 따랐을 뿐 융화되지 못했다. 「Look at me now」에선 양요섭의 귀여운 이미지를 부각하려 밝은 색체를 썼으나 과용하였고, 키보드를 다용도로 사용한 「하던 대로 해」는 풍요로운 사운드를 구축하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천편일률적으로 변해 옥의 티가 되었다.
현실에서 기본은 일차적인 것임에도 지키기가 힘들다. 무대에 올라선 사람은 그곳에서 성실해야 생존할 수 있다. 갈수록 짧아지는 아이돌의 수명에서 양요섭은 < The First Collage >로 미숙하지만 미래를 대비하는 보험을 든 셈이다.
좋아서 하는 밴드 < 우리가 계절이라면 >
‘좋아서’ 라는 단순명료한 말은 동경의 대상이자, 시샘의 상대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우리 스스로가 뭔가를 ‘좋아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슬픈 증표일지도 모른다. 이런 순수한 동기와 에너지는 ‘일단은 준석이들’, ‘회기동 단편선’을 탄생시키는 도화선이 되기도 했다. 본의 아니게 도발적인 이름으로 길 위를 무대삼아 공연을 감행하는 밴드가 첫 정규앨범을 발표했다. 길 위에서 만난 이들과 노래하는 음악은 태생적으로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버스킹 밴드의 생존무기는 밝고 간결한 멜로디와 재치 있는 가사, 정확한 전달력이다.
이런 라이브형의 음악이 스튜디오형의 음반으로 옮겨지자 혹독한 평이 쏟아지기도 했다. 그동안 이들이 발표했던 EP들은 ‘순수하지만 유치하다’, ‘어린이용 뮤지컬’, ‘자기복제’ 등 몇 개의 고정적인 걸림돌이 존재했다. 5년여의 활동 동안 자신의 한계를 직시한 이들은 극복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가장 매진한 것은 조준호(퍼커션), 손현(기타), 안복진(아코디언), 백가영(베이스) 네 멤버의 평등이었다. 공연에서 가장 말과 노래가 많은 조준호의 비중을 줄이고 다른 멤버들의 활약을 늘렸다. 물론 이런 체제가 가능한 것은 ‘자기가 쓴 곡은 자신이 부른다’는 밴드의 방침 덕분이다. 조준호는 ‘좋아서 하는 밴드’의 얼굴로 시원시원한 보컬을 가지고, 안복진은 아름답고 섬세한 멜로디라인을, 백가영은 담백하고 안정적인 보컬을, 손현은 아기자기하고 편안한 가사를 품었다. 이렇게 4명의 싱어송라이터는 자신의 색을 배반하지 않으면서도 앨범의 균형을 유지한다.
물론 ‘자신의 곡은 자신이 제일 잘 표현할 수 있다’는 이상적인 표방을 잠시 접어두면, 몇몇 멤버의 보컬은 귀에서 자꾸 걸린다. 곡 분위기에 따라 보컬 감정도 달라지기 마련인데 표현력의 부족으로 버거움마저 느껴진다.
‘거리의 악사’들이 사람들의 발걸음을 멈추고,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하는 힘은 바로 평범한 듯 평범하지 않은 가사다. 어쿠스틱이라는 일정한 자원과 형식 안에서 친밀하고 공감도 높은 가사가 반짝거린다. 노랫말은 샤워, 보일러, 뽀뽀, 여행 등 일상적인 소재를 따뜻한 위로와 사랑으로 빚어낸다. 게다가 아름다운 단어로 치장을 하지 않아 말갛고 솔직하다. 빛 좋은 성(性)이 난무하는 시대, 이렇게 사람의 이야기가 담긴 음악이 얼마만이던가. 지금까지의 궤적처럼, 정규 앨범 또한 청춘의 건강함으로 그들의 길을 새롭게 일군다.
조정치 < 遺作 >
데뷔 앨범이었던 전작 < 미성년 연애사 >가 뇌리에 남아있다면 이번엔 잠시 기억의 회로를 닫아놓는 편이 좋겠다. 삶과 죽음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기엔 아무래도 지난번의 명랑하고 새침한 음색은 도통 어울리지 않으니 말이다. 단조 풍의 음률이 자아내는 불안정한 떨림에 건조하게 구성된 편곡과 보컬, 허무함으로 향해가는 가사까지, 듣는 이들의 마음을 다소 불편하게 하는 무거운 요소들이 이번 작품의 전체에 배태되어있다.
떨어지는 꽃잎에 청춘을 비유한 「꽃」이나 독백을 빌려 헤어진 이에게 말을 건네는 「겨울이 오면」과 같은 곡들은 앨범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트랙들이다.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로 이루어진 간략한 구성에 흔들리는 듯한 현악 연주를 더하며 내면을 그린 두 곡은 음반 전체에 흐르는 분위기를 조성함과 동시에 < 유작 >에 내포된 컨셉을 일차적으로 구현한다.
테마와 감정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편곡자로서 조정치의 훌륭한 역량이다. 진행과 구성의 측면 면에서 어떤날의 「오후만 있던 일요일」을 떠올리게 하는 어쿠스틱 곡 「나의 허세 (Feat. 김C)」와 현악 콰르텟의 연주에 메이트 소속 정준일의 보컬이 어우러지는 「겨울이 오면 (Feat. 정준일)」에서는 형식미에 있어 각기 다른 매력을 전하고, 불규칙한 전개를 바탕으로 한 스트링 세션과 음향 효과가 두드러지는 「치유」는 편곡을 제외하고선 논의될 수 없는 음반의 가장 특징적인 트랙이다.
이런 점에 있어 조정치의 두 번째 정규 앨범 < 유작 >은 내면의 이야기를 투영하겠다는 아티스트의 목적을 잘 나타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아홉 개의 각 트랙에는 작품에 내포된 공통의 테마가 각기 다른 내용과 편곡이라는 개별의 내러티브로 적절히 배치되어있으며, 청춘을 이야기하는 (인트로를 제외한) 첫 트랙 「꽃」에서부터 마지막으로 남기는 「유언」까지의 음반 전체에는 서사성의 특색 또한 드러나 있다. 컨셉 앨범으로는 아쉬움이 없는 결과물이다.
삶과 죽음. 생각하고 있으면 어디엔가 마음 한 구석을 무겁게 짓누를 것만 같은, 그렇기에 고개를 돌리고만 싶은 불편한 존재이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일생의 마지막에서 받아들여야만 하는 운명의 담론이기도 하다. 그래서 언젠가 한번은 제대로 마주하려 했던 그 이야기를, 조정치는 사람들의 눈앞으로 가져다 놓았다. 앨범의 소재가 실로 무겁다. 생(生)의 경계 위에 떠있는 생각들이 이번에는 음악의 형식을 입었다. 여태껏 피하기만 했던 이 제재(題材)를 이번만큼은 여유 있게 곱씹어 볼 수 있을 것 같다.
글/ 이수호 (howard19@naver.com)
양요섭 < The First Collage >
음악을 넘어 영화, 드라마, 예능까지 진출하는 아이돌은 국내 연예계의 복합체다. 각자의 강점을 살려 뻗어나가는 이 현상은 대중의 폭넓은 사랑을 유도하지만 때로는 진실성에 대한 비판과 단축된 수명을 피하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룩한 지오디 출신 김태우의 롱런과 씨스타의 효린은 그 근본에 충실했기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
5곡의 미니 앨범이지만 그 안에는 가수 양요섭의 열성적인 모습이 묻어있다. 음악의 장르와 음반의 연출 선택에 직접 참여하여 애정을 담았고, 활발한 작곡 활동을 보여주는 동료 용준형의 도움으로 안정적인 호흡을 이루었다.
그루브한 리듬 위에 용준형과 보컬의 고저를 양분한 타이틀 곡 「카페인」은 알엔비와의 높은 호환성을 자랑한다. 특히 LP의 노이즈와 스팅의 「Shape of my heart」가 떠오르는 기타 사운드를 삽입한 것은 이별의 쌉쌀한 잔향을 남기는데 적절했다. 무엇보다 「그래도 나는」에서 양요섭의 능력이 폭발한다. 브라스와 베이스가 제조한 점성의 박자와 수준급 가성은 신선함 뿐만 아니라 성숙미까지 발산한다. 펑크(Funk)와 신스팝의 트렌디한 작법과 브루노 마스가 연상되는 창법이 담긴 「그대는 모르죠」 또한 준수하다.
그러나 첫 시도인 만큼 섬세하지는 못했다. 일렉트로니카를 차용한 곡들은 형식적으로 대세만 따랐을 뿐 융화되지 못했다. 「Look at me now」에선 양요섭의 귀여운 이미지를 부각하려 밝은 색체를 썼으나 과용하였고, 키보드를 다용도로 사용한 「하던 대로 해」는 풍요로운 사운드를 구축하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천편일률적으로 변해 옥의 티가 되었다.
현실에서 기본은 일차적인 것임에도 지키기가 힘들다. 무대에 올라선 사람은 그곳에서 성실해야 생존할 수 있다. 갈수록 짧아지는 아이돌의 수명에서 양요섭은 < The First Collage >로 미숙하지만 미래를 대비하는 보험을 든 셈이다.
글/ 김근호 (ghook0406@hanmail.net)
좋아서 하는 밴드 < 우리가 계절이라면 >
이런 라이브형의 음악이 스튜디오형의 음반으로 옮겨지자 혹독한 평이 쏟아지기도 했다. 그동안 이들이 발표했던 EP들은 ‘순수하지만 유치하다’, ‘어린이용 뮤지컬’, ‘자기복제’ 등 몇 개의 고정적인 걸림돌이 존재했다. 5년여의 활동 동안 자신의 한계를 직시한 이들은 극복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가장 매진한 것은 조준호(퍼커션), 손현(기타), 안복진(아코디언), 백가영(베이스) 네 멤버의 평등이었다. 공연에서 가장 말과 노래가 많은 조준호의 비중을 줄이고 다른 멤버들의 활약을 늘렸다. 물론 이런 체제가 가능한 것은 ‘자기가 쓴 곡은 자신이 부른다’는 밴드의 방침 덕분이다. 조준호는 ‘좋아서 하는 밴드’의 얼굴로 시원시원한 보컬을 가지고, 안복진은 아름답고 섬세한 멜로디라인을, 백가영은 담백하고 안정적인 보컬을, 손현은 아기자기하고 편안한 가사를 품었다. 이렇게 4명의 싱어송라이터는 자신의 색을 배반하지 않으면서도 앨범의 균형을 유지한다.
물론 ‘자신의 곡은 자신이 제일 잘 표현할 수 있다’는 이상적인 표방을 잠시 접어두면, 몇몇 멤버의 보컬은 귀에서 자꾸 걸린다. 곡 분위기에 따라 보컬 감정도 달라지기 마련인데 표현력의 부족으로 버거움마저 느껴진다.
‘거리의 악사’들이 사람들의 발걸음을 멈추고,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하는 힘은 바로 평범한 듯 평범하지 않은 가사다. 어쿠스틱이라는 일정한 자원과 형식 안에서 친밀하고 공감도 높은 가사가 반짝거린다. 노랫말은 샤워, 보일러, 뽀뽀, 여행 등 일상적인 소재를 따뜻한 위로와 사랑으로 빚어낸다. 게다가 아름다운 단어로 치장을 하지 않아 말갛고 솔직하다. 빛 좋은 성(性)이 난무하는 시대, 이렇게 사람의 이야기가 담긴 음악이 얼마만이던가. 지금까지의 궤적처럼, 정규 앨범 또한 청춘의 건강함으로 그들의 길을 새롭게 일군다.
글/ 김반야(10_ban@naver.com)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6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did826
2013.04.30
cute12soul
2013.02.25
특히 메이트 정준일이 피쳐링한 곡이 제일 좋네요.
십일월사람들
2013.02.23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