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은 ‘순정한 사람’
소설 『불멸』은 추상적인 영웅이 아닌, 인간적인 한 남자의 초상을 보여준다. 시대와 외세의 흐름을 읽는 데 실패하기도 하고, 사업에서 좌절을 겪기도 하며, 의병을 끌고나간 싸움터에서 여지없이 패하기도 하는 안중근.
2010.02.18
작게
크게
공유
안중근이 이문열의 소설로 찾아왔다. 조국의 운명을 안고 온 가슴으로 고뇌하다가, 만주 땅에서 불꽃처럼 타올라 30년 6개월 남짓의 짧은 생애를 마친 안중근. 올해는 그가 뤼순 감옥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지 100주기가 되는 해이기도 하다.
소설 『불멸』은 추상적인 영웅이 아닌, 인간적인 한 남자의 초상을 보여준다. 시대와 외세의 흐름을 읽는 데 실패하기도 하고, 사업에서 좌절을 겪기도 하며, 의병을 끌고나간 싸움터에서 여지없이 패하기도 하는 안중근. 그의 삶은 이러한 인간적 나약함을 딛고 일어서는 위대함을 보여준다.
“안중근의 생애와 동양 평화의 큰 뜻을 21세기적 의미로 재해석하고, 때로는 테러리스트로 폄하되기까지 하는 하얼빈 의거의 정당한 의미를 돌이켜 보기 위해서” 이 작품을 썼다고 밝힌 작가는,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을 기다리는 안중근의 모습을 ‘모색하는 인간’으로 그려냈다.
2010년 2월 2일 세종 벨라지오에서 장편소설 『불멸』 출간 기념 간담회가 열렸다. 이문열은 “완전히 실존 인물을 픽션화한 소설을 생각하고 집필했지만 시간적 근접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픽션 요소가 사라지고 평전에 가까운 형식이 되었다”고 이 소설을 설명했다. 간담회는 아래와 같이 질의응답으로 진행되었다.
서문에서 안중근 의사에게 찍힌 ‘봉인’에 대해 언급했다. 그중 가장 염두에 둔 것은 무엇인가?
일제의 봉인을 가장 염두에 두었다. 그중에서도 안 의사의 유해를 찾을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상징이 아닌가 싶다.
한국 사회 내부에서 바라본 왜곡의 봉인은 무엇일까?
일본인들의 왜곡 때문에 영향을 받았겠지만, 은연중에 우리 안에서도 안 의사를 협객 정도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무장 투쟁에 대해 백안시하는 부분도 그런 경향 때문일 것이고, 애국 계몽 운동에 대한 이해 부족 탓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언제나 안 의사에 대한 이미지는 ‘하얼빈에서 저격하는 모습’으로 고착화되어 있는데, 이 역시 하나의 봉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작가 이문열이 『불멸』에 녹인 안중근 의사의 성격을 묘사해 달라.
타이틀을 정하면서부터 굉장히 고민한 부분이다. 개인적으로 제목을 정하지 않으면 작품을 집필하지 못한다. 안중근 의사에 대한 기존 이미지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자객이고, 다른 하나는 제도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했으나 국가적 범주 안에서 장군, 군사적 영웅 같은 느낌,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신화적 영웅과 같은 초상이다. 나는 그 세 가지 모두 안중근 의사를 그려 내기에 적합한 상이 아니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불멸’이라는 제목을 정했다.
앞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고귀한 가치 하나에 모든 것을 바친 한 사람의 인간을 떠올렸다. 불멸이라는 개념은 마지막 순간 그가 자신의 목숨을 바치게 된 데 기인한 조국에 대한 사랑, 지상으로서의 민족애를 형상화한 것이다. 장군이나 영웅이나 자객 등 활동에 집중한 인간상이 아닌, 자신의 실존으로 설정한 하나의 신념, 즉 ‘관념’에 헌신한 인간으로서의 안중근을 그리고 싶었다.
조선일보 연재 원고와 단행본 원고의 차이는?
많은 부분 수정하지 않았으며, 10% 정도 윤문과 가필 수정이 있었다. 원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불가피한 부분만 손보려고 했다.
표현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평전과 같은 형식을 취했다고 했다. 사실관계에서 벗어난 픽션 부분에서 어디까지 안중근에 가깝다고 생각하는가?
안중근 의사가 ‘분할’되어 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기념 사업회만 해도 4개가 있다고 들었고 그들이 주장하는 ‘우리 안중근’의 상이 저마다 다른 것으로 알고 있다. 총체적인 안중근 상을 하나 만들고 싶다는 것이 글쓰기의 기본 목표였지만,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그 자료들끼리 충돌하는 것을 보면서, 그 속에서의 진의 여부를 고민했다. 최종적으로는 그와 ‘함께했던’ 사람들의 진실성에 의존하게 되었다.
안중근의 인간적, 영웅적 면모 두 부분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았나?
인간적 면모라고 했을 때 일반적으로는 로맨스, 사생활에서의 문제 등의 내용이 될 것이다. 안중근 의사의 삶에 1년간 빠져 있어 보니, 그를 이런 일반적인 개념의 ‘인간적인’ 인간이라는 것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는 상당히 순정한 사람이다. 한 일화로 젊은 시절, 기생들과 놀면서 그들에게 ‘어째서 현모양처로 살지 않고 이런 삶을 사는가?’라고 꾸짖기도 했단다. 그런 일화를 보면서 이 사람의 삶은 이런 식으로밖에 규정될 수 없는 것이구나, 느꼈다. 그는 일탈을 찾아보기 힘든 순진한 인간이었던 것 같다.
자신의 작품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을 꼽자면?
모두 나의 정신적 자식이지만 최근 『호모 엑세쿠탄스』를 떠올리면 어쩐지 사고로 죽은 자식을 보는 것 같은 애틋함이 든다. 최근에 무라카미 하루키의 『IQ84』를 읽으면서 더욱 그 마음이 커졌다. 선수들끼리 알아보는 느낌이 있는데, 하루키는 행복한 나라에 사는 것 같다.
2010년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를 맞아 책을 내는 감상은?
서문에 ‘시의’라는 단어를 적었는데 다음 달 26일이 순국 100주기이다. 그 주기를 맞아 책을 출간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안 의사에게서 민족주의를 빼면 남는 것이 없다고 할 정도로 그의 삶을 논하는 데 민족주의는 중요한 코드이다. 민족주의가 폐기되었다고 하는 중론이 도는 요즘 세상에 안중근의 의의를 이런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새겨보는 것은 소중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사실 ‘불멸’ 외에도 ‘이 사람을 보라’라는 타이틀도 고려했었다.
“안중근의 생애와 동양 평화의 큰 뜻을 21세기적 의미로 재해석하고, 때로는 테러리스트로 폄하되기까지 하는 하얼빈 의거의 정당한 의미를 돌이켜 보기 위해서” 이 작품을 썼다고 밝힌 작가는,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을 기다리는 안중근의 모습을 ‘모색하는 인간’으로 그려냈다.
2010년 2월 2일 세종 벨라지오에서 장편소설 『불멸』 출간 기념 간담회가 열렸다. 이문열은 “완전히 실존 인물을 픽션화한 소설을 생각하고 집필했지만 시간적 근접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픽션 요소가 사라지고 평전에 가까운 형식이 되었다”고 이 소설을 설명했다. 간담회는 아래와 같이 질의응답으로 진행되었다.
서문에서 안중근 의사에게 찍힌 ‘봉인’에 대해 언급했다. 그중 가장 염두에 둔 것은 무엇인가?
일제의 봉인을 가장 염두에 두었다. 그중에서도 안 의사의 유해를 찾을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상징이 아닌가 싶다.
한국 사회 내부에서 바라본 왜곡의 봉인은 무엇일까?
일본인들의 왜곡 때문에 영향을 받았겠지만, 은연중에 우리 안에서도 안 의사를 협객 정도로 생각하려는 경향이 있다. 무장 투쟁에 대해 백안시하는 부분도 그런 경향 때문일 것이고, 애국 계몽 운동에 대한 이해 부족 탓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언제나 안 의사에 대한 이미지는 ‘하얼빈에서 저격하는 모습’으로 고착화되어 있는데, 이 역시 하나의 봉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작가 이문열이 『불멸』에 녹인 안중근 의사의 성격을 묘사해 달라.
타이틀을 정하면서부터 굉장히 고민한 부분이다. 개인적으로 제목을 정하지 않으면 작품을 집필하지 못한다. 안중근 의사에 대한 기존 이미지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자객이고, 다른 하나는 제도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했으나 국가적 범주 안에서 장군, 군사적 영웅 같은 느낌,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신화적 영웅과 같은 초상이다. 나는 그 세 가지 모두 안중근 의사를 그려 내기에 적합한 상이 아니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불멸’이라는 제목을 정했다.
앞도 뒤도 돌아보지 않고 고귀한 가치 하나에 모든 것을 바친 한 사람의 인간을 떠올렸다. 불멸이라는 개념은 마지막 순간 그가 자신의 목숨을 바치게 된 데 기인한 조국에 대한 사랑, 지상으로서의 민족애를 형상화한 것이다. 장군이나 영웅이나 자객 등 활동에 집중한 인간상이 아닌, 자신의 실존으로 설정한 하나의 신념, 즉 ‘관념’에 헌신한 인간으로서의 안중근을 그리고 싶었다.
|
조선일보 연재 원고와 단행본 원고의 차이는?
많은 부분 수정하지 않았으며, 10% 정도 윤문과 가필 수정이 있었다. 원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불가피한 부분만 손보려고 했다.
표현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평전과 같은 형식을 취했다고 했다. 사실관계에서 벗어난 픽션 부분에서 어디까지 안중근에 가깝다고 생각하는가?
안중근 의사가 ‘분할’되어 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기념 사업회만 해도 4개가 있다고 들었고 그들이 주장하는 ‘우리 안중근’의 상이 저마다 다른 것으로 알고 있다. 총체적인 안중근 상을 하나 만들고 싶다는 것이 글쓰기의 기본 목표였지만,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고 그 자료들끼리 충돌하는 것을 보면서, 그 속에서의 진의 여부를 고민했다. 최종적으로는 그와 ‘함께했던’ 사람들의 진실성에 의존하게 되었다.
안중근의 인간적, 영웅적 면모 두 부분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았나?
인간적 면모라고 했을 때 일반적으로는 로맨스, 사생활에서의 문제 등의 내용이 될 것이다. 안중근 의사의 삶에 1년간 빠져 있어 보니, 그를 이런 일반적인 개념의 ‘인간적인’ 인간이라는 것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는 상당히 순정한 사람이다. 한 일화로 젊은 시절, 기생들과 놀면서 그들에게 ‘어째서 현모양처로 살지 않고 이런 삶을 사는가?’라고 꾸짖기도 했단다. 그런 일화를 보면서 이 사람의 삶은 이런 식으로밖에 규정될 수 없는 것이구나, 느꼈다. 그는 일탈을 찾아보기 힘든 순진한 인간이었던 것 같다.
자신의 작품 가운데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을 꼽자면?
모두 나의 정신적 자식이지만 최근 『호모 엑세쿠탄스』를 떠올리면 어쩐지 사고로 죽은 자식을 보는 것 같은 애틋함이 든다. 최근에 무라카미 하루키의 『IQ84』를 읽으면서 더욱 그 마음이 커졌다. 선수들끼리 알아보는 느낌이 있는데, 하루키는 행복한 나라에 사는 것 같다.
2010년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를 맞아 책을 내는 감상은?
서문에 ‘시의’라는 단어를 적었는데 다음 달 26일이 순국 100주기이다. 그 주기를 맞아 책을 출간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안 의사에게서 민족주의를 빼면 남는 것이 없다고 할 정도로 그의 삶을 논하는 데 민족주의는 중요한 코드이다. 민족주의가 폐기되었다고 하는 중론이 도는 요즘 세상에 안중근의 의의를 이런 방식으로 다시 한 번 새겨보는 것은 소중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사실 ‘불멸’ 외에도 ‘이 사람을 보라’라는 타이틀도 고려했었다.
17개의 댓글
추천 상품
필자
김수영
summer2277@naver.com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중요한 거 하나만 생각하자,고 마음먹고 있습니다.
앙ㅋ
2012.02.07
오월의 신부
2010.04.16
hs63095
2010.04.14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