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폴 오스터를 읽게 된 계기
글ㆍ사진 채널예스
2006.07.20
작게
크게


삶, 그리고 인생에 있어 아주 큰 부분은 타인에게서 무엇인가를 배우고, 영향 받으며 깨우치고 성장해나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혼자서 살아가며 깨우치는 자기성찰적인 요소보다는 타인과의 조우로 인해, 사람과 사람이 대립하며 생기는 번뇌와 고충으로 얻어지는 요소가 더 많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구요. 좀 더 다른 의미로는 내가 혼자 얻을 수 있는 지식과 정보보단 타인과 교류하며 얻는 지식과 정보가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더 효율적이란 의미도 됩니다.

요즘같이 방대하게 쏟아지는 책과 음악들에 있어서도 자신한테 큰 의미로 다가올 수 있는,평생을 책장에 두고 한 챕터 한 챕터 소중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찾기란 쉽지 않을 텐데요. 혼자 서점에 가서 또는 음반 가게를 뒤지며 찾는 방법도 좋지만, 자신이 신뢰하고 좋아하는, 자신과 비슷한 취향과 코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좋아하는 책들을 한번쯤 읽어보는 것도 좋은 거 같습니다.

제가 지금 좋아하고 즐겨 읽는 소설들도 많은 부분 이런 경로로 알게 된 경우가 많은데요. 너바나의 리더 커트 코베인이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향수를 읽고 'Scentless Apprentice' 곡을 만들었다고 해서 알게 된 쥐스킨트, 하루키 소설과 에세이집에 너무나도 자주 등장하는 존 어빙과 레이먼드 커버, 커트 보네거트. 자우림의 보컬 김윤아 씨의 페이버릿 도서목록에 있던 위화, 아멜리 노통 등등 정말 많은 작가들을 이런 식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사람들은 아니지만, 그들이 만든 음악과 책 그리고 영상들을 보고 들으며 맹목적으로 생겨났던 '신뢰' 또는 '어쩌면 이 사람들은 나랑 같은 코드인 거 같아'라는 막연한 희망에서 나오는 믿음으로 한치의 주저 없이 손에 들 수 있었던 책이랄까요.

이번 일러스트의 주제가 된 '폴 오스터'도 마찬가지의 경우입니다. 많은 분들이 그렇듯 저도 스노우캣 님 덕분에 알 수 있었던 작가이기 때문이지요. 열린책들의 대표적인 작가 쥐스킨트나 상페, 에코, 베르베르 등등은 전부 알고 있고 좋아하는 작가였지만 이상하게도 폴 오스터에 대해선 전혀 아는 바가 없는 그런 작가였습니다. 하지만, 스노우캣 님이 많은 곳에서 폴 오스터에 대해 언급했기에 '음음 나도 한번 읽어볼까'라며 처음 손에 들고 정신없이 읽은 후 마지막에는 손으로 이마를 탁 치며 '맞아 그런거야.. 아아 이래서 스노우캣 님이 폴 오스터 폴 오스터 하시는거군!!' 하며 경탄을 금치 못했던 때가 있었으니까요.

전 '베스트셀러'에 대해서는 크게 신뢰하는 편이 아니라 특별히 많이 팔리고 있는 책을 찾아보기보단 이렇게 막연한 신뢰를 품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고 있다가 '앗 이거 좋겠군' 하면서 책을 찾아보곤 합니다. 왠지 이렇게 접하게 된 책들은 크게 실망하는 편도 없고 그것이 더욱 재밌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니까요. (제가 이 컬럼을 연재하는 가장 큰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번 칼럼의 일러스트는 폴 오스터의 책 중에서 인상 깊었던 한 컷입니다. 어떤 책인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겠지만, 폴 오스터의 인기작 중 하나이니 읽어보신 분이라면 아주 조금은 알아봐 주실 거라 믿겠습니다. 전 이 책을 읽으면서 이 장면은 꼭 한번 그려보고 싶었을 만큼 상징적인 장소였으니까요.

자 이건 폴 오스터의 어떤 작품일까요?

폴 오스터 (Paul Auster, 1947-)

소외된 주변 인물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으면서도, 감정에 몰입되지 않고 그 의식 세계를 심오한 지성으로 그려 내는 폴 오스터는 그 마법과도 같은 문학적 기교로 <떠오르는 미국의 별>이라는 칭호를 부여받은 바 있는 유대계 미국 작가로 미국에서 보기 드문 순문학 작가이다. 독특한 소재의 이야기에 팽팽한 긴장이 느껴지는 현장감과 은은한 감동을 가미시키는 천부적 재능을 갖고 있는 그는 현대 작가로서는 보기 드문 재능과 문학적 깊이, 문학의 기인이라 불릴 만큼 개성 있는 독창성과 담대함을 소유한 작가이기도 하다. 미국 문학에서의 사실주의적인 경향과 신비주의적인 전통이 혼합되고, 동시에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명상적 요소가 한데 뒤섞여 있기도 한 그의 작품들은, 문학 장르의 모든 특징적 요소들이 혼성된 <아름답게 디자인된 예술품>이라는 극찬을 받은 바 있다. 1947년생인 오스터의 작품으로는 1993년 메디치 외국 문학상을 수상한 『거대한 괴물』 외에 『뉴욕 3부작』, 『달의 궁전』, 미국 예술원의 모톤 다우웬 자블 상 수상작인 『우연의 음악』, 『공중 곡예사』 등이 있고 에세이집 『굶기의 예술』, 시집 『실종』 등이 있다.
19의 댓글
User Avatar

freeist

2015.03.31

오래전 영화 웨인 왕 감독의 "smoke"를 오서터가 썼다는 걸 기억하게 되었다. 뉴욕3부작..내가 소설은 싫어하지만..이건 봐야겠다.
답글
0
0
User Avatar

clearjung

2009.10.09

읽고 싶은 책이네요~~
답글
0
0
User Avatar

시라젠느

2009.04.13

저도 뉴욕3부작같은데요.. 폴오스터의 공중곡예사를 아주 재미있게 읽었어요. 술술 넘어가는 책장, 상상을 해 볼 수 있는 이야기들이 흥미를 돋우게 합니다.
폴오스터책 사서 한권씩 한권씩 마스터해보고 있는 중입니다^^
답글
0
0

더 보기

arrow down

굶기의 예술

<폴 오스터> 저/<최승자> 역

우연의 음악

<폴 오스터> 저/<황보석> 역

달의 궁전

<폴 오스터> 저/<황보석> 역

출판사 | 열린책들

공중곡예사

<폴 오스터> 저/<황보석> 역

출판사 | 열린책들

거대한 괴물

<폴 오스터> 저/<황보석> 역

뉴욕 3부작

<폴 오스터> 저/<황보석> 역

출판사 | 열린책들

Writer Avatar

채널예스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 영화, 공연, 음악, 미술, 대중문화, 여행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