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LIGHT]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조권, 확신에 가까운 믿음 [No.116]
글ㆍ사진 배경희
2013.05.27
작게
크게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의 헤롯 역에 2AM의 조권이 이름을 올렸다.
조권은 뮤지컬에 어울릴 것 같은 아이돌 중 한 명이었지만, 좀체 무대에서 볼 수 없었다.
그동안 많은 작품 제의를 고사했던 그가
공연 중 딱 한 장면 등장하는 감초 역할 헤롯을 선택한 것이다.
헤롯 역은 그동안 록커 앨리스 쿠퍼와 유명 토크쇼 MC 크리스 모일즈가
출연하는 등 이색 캐스팅으로 유명하다.
크리에이티브 팀이 완벽한 캐스팅이라고 자부하고 있는 헤롯 역의 조권을 만났다.

 

  

 

 장소협찬 | 브라운 하우스(070-4060-8239)


<font color="#9b014f">요즘 드라마 촬영으로 무척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들었어요. 드라마 출연은 처음인데 어때요?</font>
처음엔 긴장을 많이 했어요. 조권이 정극 드라마를 한다고 이슈가 됐거든요. 아이돌이 연기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도 있고, 연기로 혹평을 받았던 아이돌도 많았으니까, 긴장했죠.


<font color="#9b014f">사람에 따라 연기를 잘하기도 하고, 못하기도 하는 건데, ‘아이돌’이라고 통째로 묶여 평가되기도 하죠.</font>
<직장의 신> 제작 발표회에서 아이돌이 연기하는 것에 대해 색안경을 끼고 보지 말아달라고 말했다가, 네가 그런 말할 자격이 있냐는 악플이 엄청 달렸어요. (웃음) 솔직히 냉정하게 이야기하면 아이돌 중에서 연기 못했던 분들 꽤 있었다고 생각해요. 열의 없이 회사에서 시켜서 연기를 하면 결국 결과가 좋지 않더라고요. 그런 분들 때문에 아이돌 전체의 이미지가 나쁘게 비치는 것 같아서 저는 그게 속상해요.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하려는 아이돌도 많으니까요. 근데 어쨌거나 잘하면 칭찬받고, 못하면 욕먹는 것 같아요. 제일 중요한 건 실력이죠.


<font color="#9b014f">그럼 조권의 연기는 어떤 것 같아요?</font>
자연스럽게 연기하고 있다는 걸 제가 느껴요. 제 역할이 신입사원이어서, 계경우(극 중 역할)의 마음가짐과 실제 조권이 이 드라마에 임하는 마음가짐이 같아요. 촬영할 때의 긴장과 떨림, 어색함, 소심함, 그런 감정들을 캐릭터에 이입할 수 있어서 생각보다 잘하고 있는 것 같아요. 촬영하는 내내 즐겁게 하고 있어요.


<font color="#9b014f">연기에 대한 생각은 언제부터 했어요? </font>
연습생 때는 가수가 꿈이었으니까 연기의 ‘연’자도 생각해 본 적 없어요. 그런데 데뷔를 하고 나니 욕심이 생겼어요. 본업은 가수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끼가 얼마큼인지 확인해 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고요. 드라마든 뮤지컬이든 전 예체능계에 종사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많은 경험을 해볼수록 좋다고 생각해요. 이쪽 길을 선택한 이상 후회하지 않은 삶을 살아야겠다는 게 저의 궁극적인 목표이기 때문에, 좋은 기회가 있을 때 열심히 해보고 싶어요.


<font color="#9b014f">지금까지 드라마나 뮤지컬 출연 제의가 많았을 텐데, 작품 선택에 굉장히 신중했나 봐요. </font>
제 대중적인 이미지가 ‘깝권’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드라마는 항상 재미있고 웃긴 역할이 많이 들어왔어요. 사람들이 느끼기에 낯설 만큼 큰 변신을 하고 싶진 않지만 그래도 좀 더 진중한 캐릭터를 하고 싶어서 좋은 작품을 기다렸어요. 뮤지컬은 드라마보다 훨씬 부담이 많았고요. 전부터 뮤지컬을 하고 싶었고, 잘할 자신도 있었는데, 선뜻 하겠다는 말을 못하겠더라고요. 혹시나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여주면 제 자신한테 너무 실망하게 될 것 같아서요.


<font color="#9b014f">아무래도 라이브로 공연된다는 점 때문에, 뮤지컬에 큰 부담을 느꼈던 건가요? </font>
네, 혹시라도 대사를 까먹거나 음 이탈을 하면 어쩌지 하는 부담감이 컸어요. 완벽주의자는 아닌데, 무언가 할 땐 완벽해야 한다는 신념이 있기 때문에 실수하면 스트레스를 진짜 많이 받아요. 사람들의 평가도 중요하지만, 전 제 자신의 평가가 더 중요하거든요. 남들이 잘했다고 해도 제 마음에 안 들면 소용없어요. 그런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요.


<font color="#9b014f">그러다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의 헤롯이라는 적역을 만나게 된 거군요. 헤롯은 딱 한 장면만 나오지만, 굉장히 임팩트 있는 역할이잖아요. 솔직히 무척 영리한 선택이라고 생각했어요. </font>
처음에 헤롯 역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땐, 아빠한테 혼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어요. (웃음) 아빠가 독실한 크리스천이시거든요. 저는 이 뮤지컬을 본 적이 없어서 대본을 보고 ‘헤롯은 어떤 캐릭터지?’ 궁금해서 공연 영상을 찾아봤는데, 배우마다 이미지가 너무 다른 거예요. 뚱뚱한 분도 있고, 마른 분도 있고, 심지어 여배우가 헤롯을 한 적도 있었대요. 배우 개성대로 할 수 있는 색깔이 다양한 캐릭터라고 하더라고요. 이거 내가 하면 잘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처음으로 확 들었어요. 제가 뭐가 됐든 감초 역할은 잘하거든요. (웃음) 고민 없이 한 번에 ‘오케이’  했죠.

 

 

                         

 


<font color="#9b014f">무엇보다 퍼포먼스가 강한 캐릭터니까 조권에게 어울리는 역할이죠. 인터뷰 준비를 하면서 조권의 솔로 활동 영상을 다시 봤는데, 대단하던데요. 그 무대는 정말이지 자신감이 없으면 절대 할 수 없을 것 같아요.
</font>
아휴, 쑥스럽게. 조권 솔로 활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굉장히 높았어요. 다른 가수들이 저의 활동 시기를 피했을 정도로요. 근데 제 솔로 앨범은 대중가요로 다가가기엔 파격적이었죠. 남자 솔로는 파워풀하고 멋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보통이고, 사람들도 그런 걸 좋아하는데, ‘애니멀’에선 뒷굽이 없는 힐까지 신고 나왔으니까 낯설었을 거예요. 대중에게 인기와 호응을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게 조권이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거든요. 어쨌든 굉장히 재미있었던 활동이에요. 이런 건 조권이 아니면 누가 하겠냐고 인정도 받았고요. 아, 그런데 이번에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공연 영상을 보면서 전 세계에 저처럼 끼를 부리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 알았어요. (웃음) 남자인데 굉장히 요염하잖아요.


<font color="#9b014f">헤롯을 연기한 배우들이 대체로 게이 느낌을 강하게 표현했죠. </font>
맞아요. 성 정체성이 왔다 갔다 할 만한 캐릭터예요. 예수를 능멸하는 환락에 빠진 왕이기 때문에 배우마다 가지각색으로 표현을 하는데, 솔직히 말해서 다 게이 필이에요. 작은 손짓 하나도 굉장히 여성스러워요. 이거 제가 아니면 누가 하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전 굉장히 요염한 헤롯이 될 것 같아요. 사실 지금까지 연배가 있는 분들이 헤롯을 맡아왔는데, 전 젊은 세대만의 건강함, 당당함, 자신감을 표현하고 싶어요. 최연소 헤롯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가지고 새롭게 표현해보려고요.


<font color="#9b014f">조권에게 여성스러운 이미지가 있는데, 이 역할이 부담스럽지 않았어요? </font>
그런 부담감은 전혀 없었어요. 이지나 연출님도 제 캐스팅에 대해 자신 있어 하세요. 연출님 연예인 캐스팅 역사상 역할과 가장 잘 맞는 캐스트라고 좋아하셨어요. 그래서 연습 때도 저한테 뭘 많이 안 시키세요. ‘어느 날은 요염하게, 어느 날은 터프하게, 또 어느 날엔 섹시하게, 매회 다르게 해라. 너는 다 할 수 있을 거다’ 라고 엄청 믿어주세요.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 정말 감사하면서 책임감도 커지죠. 조권으로 다시 태어난 헤롯이라는 타이틀을 붙이고 싶어요.


<font color="#9b014f">이 작품은 록 뮤지컬이잖아요. 이번에 새로운 발성을 기대해봐도 될까요?</font>
가요와 뮤지컬의 발성은 엄연히 달라요. 그렇기 때문에 노래를 진짜 잘하는 가수라고 해서 다 뮤지컬 노래를 잘하는 건 아니거든요. 저도 연습 초반엔 지적을 좀 받았어요. 발성은 2AM의 조권과는 사뭇 다를 것 같아요. 훨씬 더 파워풀하고 풍부하고, 아마 예전과는 무척 다른 보컬이지 않을까 저도 기대해요.


<font color="#9b014f">첫 뮤지컬 무대에 서는 조권의 각오는 뭐예요? </font>
캐스팅 발표되고 나서 ‘헤롯이 조권이라고? 말도 안 돼!’ 같은 부정적인 말도 굉장히 많았어요. 그런데 오히려 그런 반응들이 저를 굉장히 자극시켜요. 주위 사람들에게 장담을 했어요. 분명히 시간이 좀 지나면 내가 하는 헤롯을 궁금해할 거라고요. 공연 때 제가 어떻게 하는지 눈에서 레이저를 쏘면서 보는 관객들도 있을 텐데, 저는 그분들을 웃게 만드는 게 목표예요. 첫 회 때 그런 반응을 얻어내면 그다음부턴 걱정 안 해도 술술 잘될 것 같고, 그게 안 되면 될 때까지 열심히 해야죠. (웃음)


<font color="#9b014f"><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를 시작으로 더 다양한 무대에서 만날 수 있겠죠? 혹시 언젠가 꼭 해보고 싶은 작품 있어요?</font>
<캣츠> 해보고 싶어요. 대성 씨가 했던 역할(럼 텀 터거) 정말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팀에서 유일하게 혼자 서서 걸어 다니는 잘난 척이 심한 캐릭터인데, 그 고양이의 요염함과 섬세함을 잘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가 어디 가서 이 이야기하면 사람들이 다 웃어요. 진짜 잘 어울린다고요. 그런데 무얼 하든 처음에 인정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단 헤롯으로 인정을 받았으면 좋겠어요. 그런 다음 계속 좋은 작품을 하고 싶어요.

 

 

* 본 기사는 월간 <더뮤지컬> 통권 제116호 2013년 5월호 게재기사입니다.

* 본 기사와 사진은 “더뮤지컬”이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으며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어길 시에는 민, 형사상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Writer Avatar

배경희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