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음악 > 주목, 이주의 앨범
대세는 힙합, 상반기를 뜨겁게 달구다 - 에픽하이 & 데프콘 & 장필순
2009년에 이어 올해도 ‘후크송’의 인기는 계속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인트로에 나온 4마디를 끊임없이 반복하는 이 후크송의 시작이 사실은 힙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2009년에 이어 올해도 ‘후크송’의 인기는 계속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인트로에 나온 4마디를 끊임없이 반복하는 이 후크송의 시작이 사실은 힙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랩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는 힙합 트렌드를 댄스 곡의 후크에 실어 반복하는 데서 발전된 것이죠. 이 매력적인 힙합 비트의 진수를 보여줄 그들이 돌아왔습니다. 바로 ‘에픽하이’와 ‘데프콘’이죠. 특히, 레이싱 모델 ‘구지성’이 피처링한 ‘데프콘’의 「래퍼들이 헤어지는 방법」이 눈에 띄네요.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포크 음악의 든든한 버팀목인 ‘장필순’의 ‘CCM(크리스천 컨템퍼러리 뮤직)’ 앨범도 함께 들어보세요.
에픽 하이(Epik High) - <Epilogue> (2010)
부드럽고 무른 노래들을 모아 놓은 작품이지만, 한편으로는 굳어져 있고 딱딱하다는 느낌이 가시지 않는다. 투컷의 입대로 당분간 듀오가 된 에픽 하이(Epik High)의 신작 <Epilogue>에 수록된 10편의 곡은 대체로 유약하고 나긋나긋하다. 안에 담은 성질은 그러할지라도 골격이 되는 힙합 비트, 전자음악을 가미한 리듬 등은 이제는 너무 익숙하고, 몇 년 동안 그룹의 음악에서 꾸준히 나타나던 것이었기에 식상한 감이 적지 않다. 표현하는 스타일이 응고되는 것만 같다.
이들은 새천년 이후 대중음악의 코드가 된 전자음악의 기운을 불어넣어 많은 사람의 인기를 얻는 데 성공했으며 또한 건반과 현악기를 주된 소스로 사용해 랩 음악 본연의 무게감과 거칢을 줄여 대중성을 확충했다. 이는 에픽 하이가 마니아층을 벗어나 이 시대의 스타로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이었다. 래핑으로 내보이는 훅보다는 완전한 선율로 코러스를 단장해 순하게 만든 것도 다수가 이들의 음악을 즐기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방식이 3집 <Swan Songs>부터 익기 시작했고 타이틀곡과 후속곡에서 일반화됐다. 그러한 형태를 띤 노래들은 모두 흥행했다.
이번 앨범의 타이틀곡 「Run」에서도 특유의 편곡은 이어진다. 여가수의 코러스가 없을 뿐 건반악기의 리드와 후렴쯤 등장하는 스트링 삽입은 여전하다. 빠른 템포로 진행되는 일렉트로니카 비트도 마찬가지로 동행한다. 과거부터 경험한 전형적인 구성에 몇몇은 시틋함을 느낄 것 같다.
신예 보컬 범키(Bumkey)가 찬조 출연한 「바보」도 그와 유사하다. 댄서블한 리듬을 내재하면서도 몽롱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반주와 연약함을 강조하는 코러스로 곡은 한층 감상하기에 편안한 상(像)을 완성한다. 노래를 여는 코러스가 5집의 「우산」을 연상시키는 「Coffee」 역시 에픽 하이가 이제껏 드러내 온 서정성에 바짝 닿아 있다. 이와 같은 스타일이 대중으로부터 호응을 고루 얻는 것들이지만 슬슬 물리는 것도 사실이다.
「비늘」과 「Wordkill」은 각각 기타 리프와 건반 프로그래밍을 통해 감정 상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며 「잡음」은 록과 힙합, 일렉트로니카를 조합해 신선함을 전달한다. 그러나 노래 사이마다 껴 있는 인스트루멘틀이 또 다른 판에 박은 듯한 모양새를 이루고 있다. 블루 스카이 블랙 데스(Blue Sky Black Death)나 블록헤드(Blockhead) 같은 앰비언트, 트립 합풍의 연주음악은 타블로와 페니(Pe2ny)가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 이터널 모닝(Eternal Morning)으로 보여 줬고 에픽 하이 앨범으로는 4집부터 지속해 온 탓에 전혀 색다른 멋을 제조해 주지는 못한다.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서랍」과 「숲」, 중간에 위치한 「Blossom」은 그룹의 악곡 스타일이 이런 식으로 정착되고 있음만 시사하며 그 이상의 장점을 마련하는 데에는 부족해 보인다.
이미 국내에서 상업적 성공의 안정권에 들어섰을 뿐만 아니라 아이튠즈 힙합 앨범 차트 1위를 할 정도로 에픽 하이의 인기는 더욱 상승세를 타고 있다. 안에서의 흥행은 많은 사람이 좋아할 만한 정취를 힙합에 투여했기에 가능했고 미국, 또는 서구 주류의 힙합과는 조금 다른 구조를 띠었기에 나라 밖 마니아들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히트의 연혁과 지위 성장을 떼고 봤을 때 안타깝게도 그룹의 음악은 서서히 재미없어지고 몇 가지 방식에 들러붙는 상태다. 신작은 그러한 문제를 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술가라면 마땅히 고착화를 경계해야 한다.
9,800원(18% + 1%)
11,000원(19% + 1%)
11,900원(2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