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함돈균의 시간의 철학

  • 최신 순
  • 인기도 순
  • 9월, 이행기에 관하여

    내 안에 있는 나의 타자에 대해, 우리가 우리의 타자에 대해 성난 얼굴을 부드럽게 바꾸고, 노여운 마음을 누그러뜨릴 때, ‘인간의 시간’으로의 존재 이행기는 시작된다.

    철학 함돈균 등록일: 2015.09.09

  • 차를 마시는 시간

    차의 시간은 대화의 시간이고, 그 시간은 ‘한 잔의 차’로 끝나는 일이 없이 반복됨으로써 유장한 리듬을 만든다.

    시간 철학 함돈균 등록일: 2015.08.27

  • 거리에 비가 내릴 때

    도시의 거리, 도시의 삶에서는 ‘비’ 하나만으로도 사람들 각자가 지닌 내밀한 상처가 환기된다.

    함돈균 철학 시간 등록일: 2015.08.12

  •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간

    전염병은 순리의 이탈이 초래한 결과이며, 공동체의 ‘죄’를 증거하고 현시한다. 속수무책으로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간은 인간 공동체 역시 우주적 순리의 일부라는 사실에 대한 망각을 재인식하는 시간이 된다. 그 인식 하에서 그들은 스스로 죄의 연루를 되묻는다.

    시간 함돈균 철학 등록일: 2015.07.29

  • 유령이 되돌아오는 시간

    셰익스피어의 비극 《햄릿》은 ‘유령’에 관한 드라마다. 유령은 드라마의 처음 무대에서부터 나타나 수시로 출몰한다. 이 수시적인 출몰이 아니라면 사실 그는 유령이 아닐 것이다. 유령은 ‘되돌아오는 것(revenant)’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철학 시간 함돈균 등록일: 2015.05.20

  • 아이의 시간

    그 해 서울(경성)에도 봄꽃은 만개했다. 광화문 뒤편 경복궁에도 봄꽃은 피었다. 오래된 길의 동선을 따라 창덕궁 비원에도, 창경궁에도. 다만 창경궁의 이름은 창경원으로 바뀌었다. 동물원과 공원으로 바뀐 궁에는 맹수의 우리가 생겨났고, 온갖 보지 못한 새들의 집이 만들어졌으며, 궁을 공원으로 바꾼 이들에 의해 가득 심어진 벚꽃으로 봄의 성을 이뤘다.

    아이 시간 시간의 철학 철학 등록일: 2015.05.11

  • 4월과 기억, ‘사건’이라는 시간

    ‘4월은 잔인한 달’이라는 시인의 전언은, 이제 우리에게는 ‘4월의 기억은 잔인하다’는 말과 비슷하게 들린다. 그러나 ‘기억하라’라는 말이 넘쳐나는 가운데, ‘기억’이라는 말은 또다시 여러 상투어와 다르지 않은 무감각한 말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4월 사건 등록일: 2015.04.14

  • 담배를 피우는 시간

    담배는 이중의 아이러니를 내포하고 있다. 담배의 매혹은 일차적으로 담배피우는 사람과 담배 사이에 직관적으로 형성되는 감각의 동형성에서 발생한다.

    담배 시간의 철학 함돈균 등록일: 2015.04.02

  • 찰나, 영원이 깃든 허방

    시간 단위로 쓰이는 말 중 가장 긴 시간에 해당하는 말이 ‘영겁(永劫)’이다. 말이 시간 단위이지 실제 의미는 시간의 시작과 끝, 그러니까 천지가 한 번 개벽했다가 다음에 개벽할 때까지의 까마득한 시간을 말한다.

    찰나 시간 등록일: 2015.03.19

  • 신학기, 사건적인 시간의 봄

    신학기라는 시간은 과거를 모르는 이들이 만나서 잠재적으로 서로의 미래를 탈취하고 선취하며 공유하는 기적이 예비되는 시간이다. 인생의 유연한 시간지평에서 가장 강력하고 싱그러우며 달콤한 타자를 맞이하는 봄, ‘신학기’는 그러므로 3월에 ‘시작’되는 게 맞다.

    함돈균 시간의 철학 신학기 등록일: 2015.03.03

이전 123다음

오늘의 책

고수의 철학과 투자 원칙

베스트셀러 『부의 인문학』을 통해 거장에게 배운 돈의 흐름과 부의 원리를 설파한 우석 저자의 신간이다. 성공한 투자자로 독보적인 혜안을 전해준 우석의 인생철학과 투자 원칙을 담았다. 팬데믹 이후 투자로 다시 일어서는 이들에게 성공을 위한 전략을 전한다.

제1회 위즈덤하우스 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동물이 인간의 언어를 사용하게 만드는 바이러스가 퍼진 지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살처분 위기에 처한 반려견 ‘초코’와, 이를 구하려는 ‘초록이’의 모험이 지금 시작된다. 어린이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서사적 장치와 주제 의식,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낸 문제작.

범람하는 밤에 굴하지 않는 시인의 세계

김소연 시인의 5년 만의 시집. 데뷔 30주년은 김소연 시인이 새롭게 내놓은 풍경은 여전히 다정하지만, 좀 더 단단해졌다. 그녀의 시를 그리워했던 독자들이 반가워할, 올가을을 대표할 만한 시들이 가득하다. 시인과 함께 밤에 굴하지 않고, 주고받을 우정과 연대가 벌써 기대된다.

돈 많으면 행복할까요?

돈을 연구하는 경제학자는 행복을 어떻게 바라볼까? 김희삼 경제학 교수가 쓴 이 책은 돈 버는 방법에 관해 알려주진 않는다. 그보다는 행복을 위해 어떻게 돈을 대해야 할지, 살아야 할지에 관해 논한다. 돈은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 그보다는 관계, 몰입, 덕행에 집중하자.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