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입학 전, 읽기와 셈은 반드시 가르치자
                국어와 언어 능력을 세분해 보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도 이것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국어 능력들은 서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지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2014.03.14
                
                박성철
                    
                            초등 엄마 교과서
                            박성철
                    
             
            
            
            
                
                진정한 학부모가 되기 위해 해야 할 일 
                교육 전문가들은 농담 반으로 “초등학교 1학년의 엄마는, 초등학교 1학년 수준의 사고를 한다.”라고들 한다. 자녀는 그냥 클 것 같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내 아이의 심리와 발달 단계를 이해하고 있는 부모는 아이를 훨씬 잘 키울 수 있다. 즉, 부모도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다. 학(學)부모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2014.03.07
                
                박성철
                    
                            초등 엄마 교과서
                            초등 교육
                            박성철
                            초등학생
                    
             
            
            
            
                
                부모 아닌, 선생님 입장에서 내 아이 이해하기
                학교는 내 아이의 생활의 절반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즉 가정과 비슷한 정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이기에 아이의 인생에 결정적 영향이 미치는 곳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부모의 입장이 아닌 선생님의 입장에서 내 아이를 이해하고, 내 아이를 교육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2014.02.28
                
                박성철
                    
                            박성철
                            초등 교육
                            초등 엄마 교과서
                    
             
            
            
            
                
                1학년 아이들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입학을 앞둔 학부모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글자를 익히고, 셈을 익히고 영어를 하는, 그런 것들일까? 사실 이것들보다도 더 중요하지만 부모들이 잊고 있는 사실이 있다. 그것은 바로 내 아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 그리고 1학년 아이들의 특성을 아는 것이다. 1학년 아이의 특성은 어떤 것이 있을까? 아이들의 특성에 맞추어서 입학을 앞둔 내 아이를 어떻게 키울까를 함께 살펴보자.
                
                    2014.02.21
                
                박성철
                    
                            초등 엄마 교과서
                            박성철
                            초등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