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실험실] 마음의 고통과 신체적 고통은 어떻게 같고 다를까?
인간의 정보처리 방식과 기억의 맥락 효과에 관하여
마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9. 07. 05)
사회심리학자 나오미 아이젠버거(Naomi Eisenberger)와 그의 연구팀은 뼈에 금이 갔을 때 느끼는 신체적 고통과, 사회적으로 받은 상처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우리 뇌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흥미로운 연구를 했다.(33쪽) 우리는 마음이 아플 때 ‘가슴에 멍이 든다’거나 ‘심장에 못이 박히는 것 같다’는 등 신체적 고통을 나타내는 표현을 쓰는데, 인간의 이런 언어 습관에 착안해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이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동일할지 모른다는 가설을 세운 것이다. 연구 결과, 언어가 일치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뇌에서 신체적 고통을 처리하는 배측 전대상피질(DACC,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과 전측 뇌섬엽(AI, anterior insula)이 사회적으로 거부당해 정신적인 고통을 겪을 때도 똑같이 활성화됐다.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처리하는 두뇌의 과정이 놀라울 정도로 동일했던 것이다.
‘고통’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의 작용을 과학적 기법으로 측정한 아이젠버거의 심리실험 덕에 우리는 인간이 느끼는 고통의 의미를 조금 새로운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이해하게 됐다. 『마음 실험실』 에는 이처럼 우리가 흔히 느껴온 감정과 정서, 해온 생각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심리실험과 사례가 여럿 담겨 있다. 저자는 책에서 자신의 주요 연구 주제인 ‘시간과 감각’에 관해 직접 진행한 심리실험뿐 아니라, 우리 삶 전반(결혼, 늙음, 죽음, 이타심, 인내심, 모성 등)과 사랑(질투, 불륜, 짝사랑, 이별 등)에 관한 대표적인 심리실험을 풀어내며 마음의 숨은 작동법에 관한 의미 있고 색다른 통찰을 내놓는다.
마음 실험실이고은 저 | 심심
‘심리학은 마음을 읽는 방법을 배우는 학문이 아니’라고 꼬집는다. ‘인간 심리를 간파해 행동을 예측하’는 학문은 더더욱 아니라고도 강조한다. 우리가 어떤 연구 결과를 접하면 쉽사리 인과관계를 말하고 싶어 한다고 꼬집는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이고은> 저13,320원(10% + 5%)
“쓸모없는 마음의 기능은 없다” 다정한 인지심리학자 이고은이 풀어내는 마음의 숨은 작동법 마음의 병이 신체적 고통으로까지 이어질까? 인내심이 높은 아이가 정말 성공한 어른으로 자랄까? 인간이 과거뿐 아니라 미래를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남녀의 질투는 어떻게 같고 또 다를까? 불가해하고 비합리적..
<이고은> 저11,100원(0% + 5%)
“쓸모없는 마음의 기능은 없다” 다정한 인지심리학자 이고은이 풀어내는 마음의 숨은 작동법 마음의 병이 신체적 고통으로까지 이어질까? 인내심이 높은 아이가 정말 성공한 어른으로 자랄까? 인간이 과거뿐 아니라 미래를 기억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남녀의 질투는 어떻게 같고 또 다를까? 불가해하고 비합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