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스페인 건축은 '아이'다!

글쓴이: 책읽는 사랑방 | 2014.04.14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나는 중남미하면 떠올리게 되는 아이콘에는 체 게바라, 탱고, 이구아수 폭포 그리고 브라질 축구가 있다. 그렇다면 스페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나는 우선 돈 끼호떼, 플라멩고, 산티아고 순례 그리고 가우디를 떠올리게 된다.

영국에 공부하고 있을 무렵인 200912월 스페인에 다녀 왔다. 아내와 아들 이렇게 셋이서 열흘간 일정이었다. 차를 고속 페리에 싣고 영국 플리머스에서 스페인 산탄데르까지 꼬박 하루 걸려 도착했다. 발야돌리드, 세고비아, 마드리드, 톨레도, 라 만차, 발렌시아를 거쳐 바르셀로나에 도착했다. 이어 다시 돌아오기는 길에 사라고사와 빌바오를 들렀다. 당시 스페인 여행의 메인 테마는 돈 끼호떼와 가우디였다.

이 책을 쓴 김희곤은 건축가다. 그는 2001년 나이 마흔 다섯에 마드리드대학에 유학을 떠났다. 아마도 자기 전문 분야이기도 하고 스페인 건축에 대한 주체할 수 없는 호기심으로 공부하는 내내 현장을 열정적으로 누비고 다녔을 것이다. 책에는 이런 저자의 열정과 발품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게다가 보는 재미는 말할 것도 없겠지만, 글 솜씨도 능준하여 읽는 재미도 제법 쏠쏠하다.

여기서 잠시 스페인 건축에 대한 저자의 전문적인 식견과 미적 감성을 이해하기 위해 아래 구절로 숨을 고르는 것도 좋겠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경쟁하고 공존하는 그들만의 공동체 문화는 건축을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었다. 이슬람의 향기가 지워지지 않는 남부 안달루시아 문화, 중세유적이 화석처럼 박혀 있는 마드리드 카탈란 문화, 바르셀로나 민족주의의 산실 카탈루냐 문화, 독립투쟁의 화신 칸타브리아 바스코 문화와 대서양 연안의 갈리시아 문화가 모두 스페인 건축문화를 두툼하게 살찌웠다. - 300

저자의 시선은 우선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로 향한다. 여기에는 다양한 광장과 푸른 공원 그리고 프라도 미술관과 왕궁, 중앙역 그리고 레알 마드리드의 홈구장 등 현대적인 건물이 잔뜩 포진해 있다.

소통하는 사회에는 어디나 광장이 열려 있기 마련이다. 마드리드에는 세르반테스와 돈 끼호테 동상이 반기는 에스빠냐 광장, 언제나 찬란한 태양이 내리쬐는 솔 광장, 모든 축제가 시작된다는 시발점 마요르 광장 등이 있다.

맘 닿는 광장에서 지친 심신을 잠시 쉬고 나면, 무리요, 벨라스께스, 고야, 피카소 등 명작을 감상할 수 있는 프라도 미술관에 발길이 닿는다. 배고프면 하몽을 먹을 수도 있고 저녁이면 플라멩고를 즐길 수도 있겠다. 우리도 1725년에 문을 열었다는 유서 깊은 까사 보띤에서 하몽을 먹었더랬다. 담백했지만 약간 밋밋했던 맛으로 기억한다. 가격은 쎄다! 뭐 좋다. 추억 값이라고 해두자.

톨레도는 1560년까지만 해도 스페인의 수도였던 곳이다. 프랑스의 카르카손처럼 지금까지도 중세의 모습을 완벽하게 보존하고 있다. 여기에는 톨레도 대성당과 엘 그레코의 그림이 있다.

톨레도가 수도이던 시절 대성당은 스페인 가톨릭의 중심이었으니 그 위용이 얼마나 대단했을까? 웅장하고 화려한 멋은 지금도 그대로다. 저자는 대성당의 심장은 뭐니뭐니해도 성가대석과 제단이라고 극찬한다.

한편 톨레도에서 활약했던 엘 그레코의 고향은 그리스 크레타 섬이었다. 그의 이름, 엘 그레코는 그리스 사람이라는 뜻. 그는 궁정화가 자리를 놓고 벨라스케스와의 경쟁에서 패하자 이곳으로 물러나서 온전히 그림에 몰두했다. 그레코와 벨라스케스, 두 사람은 활동했던 무대가 달랐던 만큼 그림의 주제나 화풍에서도 차이가 컸다. 비교해서 감상해 봐도 좋겠다.

중세의 유산을 간직한 톨레도가 직면한 가장 큰 숙제는 무엇일까? 저자는 오래된 건물의 수명을 다시 살려 새로운 현대기능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직언한다. 아울러 원래 건축물의 구조와 재료와 마감을 있는 그대로 현대적인 기술과 공법으로 그림자처럼 살려내야 한다는 전문가다운 고언도 덧붙인다. 우리 문화재에도 응당 타산지석으로 삼아야겠다.

우리는 톨레도 살바도르 광장에서 미니 기차를 탔었다. 도시를 둘러싼 고지대를 한 바퀴 둘러보는 루트였다. 우뚝 솟은 비운의 요새, 알카사르를 비롯해서 톨레도 전경을 한 눈에 조망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남부지방 안달루시아로 가보자. 이곳에는 이슬람 건축의 백미 알람브라 궁전(저자는 알람브라로 명기)이 소재한 그라나다와 세비야가 있다. 마침 tvN 꽃보다 할배 시즌2 에서 이 곳을 촬영 중이라 스페인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고 있다.

저자는 알람브라 궁전을 보고 “8세기 동안 이슬람의 스페인 지배 선물로 알람브라 궁전 하나면 충분할 것 같다며 감탄한다. 우리는 여행 당시 이곳에 들르지 못해 궁전을 놓친 것이 못내 아쉽다. 나는 언젠가 갈 수 있다면 아벤세라헤스의 홀과 두 자매의 홀 그리고 린다라하의 망루를 오후 햇살 아래 차근차근 둘러보리라. 화려한 모카라베스의 궁륭 앞에서도 한참 동안 눈에 새기도록 보고 싶다.

이제 안토니오 가우디가 있는 바르셀로나로 떠날 때다. 저자는 가우디의 평생 후원자였던 구엘의 이름을 딴 구엘 공원을 먼저 들른다. 이곳은 이슬람의 모자이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트렌카드스 기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아들은 구엘 공원에서 울긋불긋한 타일을 뒤집어쓰고 있는, 괴물 퓨톤(이구아나가 아닌!) 의상을 입은 안내인을 보고 흥미있어 했다. 한 켠에는 거리 악사가 연주를 하고 있었고.

저자에 따르면 가우디는 디자인이란 창조가 아니라 발견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하고 다녔다고 한다. 예술가는 자연을 찾아내어 창조주와 협력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런 원칙을 가장 극적으로 살린 것이 성가족 대성당(사그라다 파밀리아)이 아닐까 싶다.

대성당은 아직도 공사 중이다. 1882년 시작되어 가우디가 전 생애를 건축에 헌신했고, 이제 가우디 사후 100주년이 되는 2026년에 완공될 예정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대성당의 압권은 울창한 숲속을 재현한 듯한 회중석의 천장과 예수 영광의 파사드가 아닐까?

한편 손미나는 대성당을 제대로 보려면 상빠우 병원앞으로 가라고 권한 바 있다. 거기서 뒤돌아서면 대성당의 신비로운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는 것이다. 직접 가게 되면 놓치지 말자.

저자의 안목을 통해 본 대성당의 모습은 바르셀로나의 축제인 인간 탑 쌓기(Castellers)와 닮아 있공동체의 벽돌 한 장이 십시일반 모여 이룩된 거대한 신전이교 신의 조각품이다.” 또 그는 가우디 작품의 디자인 모티프는 모두 어린 시절 자연에서 그가 보고 만지고 경험하고 가지 놀았던 산과 하늘과 나무와 벌레와 곤충과 버섯들을 자신의 감성으로 재해석한 것이라며 포괄적으로 아우른다.

마지막으로 빌바오에 있는 프랭크 게리의 구겐하임 미술관. 저자는 박스공간에서 해방하여 도시의 조각품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였다고 평하며, “건축물과 조각의 한계를 융합하였다고 극찬한다.

저자는 스페인 건축을 둘러본 총평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나도 깊이 공감하는 바이다.

어린이의 천진난만한 심성으로 자유로운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주는 것이야말로 경험으로 얻은 전문가의 한계를 극복하는 유일한 탈출구다. 건축가는 결코 장인처럼 길들여지는 예술가가 아니다. - 293


 


전체목록보기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