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움과 괴로움은 한 나무의 다른 가지다
책을 읽다보면 누군가에게 꼭 권하고 싶은 책이 있다. 책이 담고 있는 내용과 그 사람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사람 사귐이 깊어지는 것처럼 말이다. 이러한 경험은 책이나 저자가 널리 알려진 베스트셀러나 그의 작품이 아니라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사람과 사람을 매개하고 그 사이의 사귐의 깊이와 넓이에 의미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는 그 사람을 만나는 동안 공유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가능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선 듯 책을 권하기가 주저되는 이유가 또한 여기에서 비롯된다. 저자와 책 그리고 독자의 사이를 넘어선 또 다른 관계가 형성되며 그 관계를 그래서 책임이 따르게 된다.
내게 그런 경험을 가져다준 책이 있다. 그중 하나가 강신주의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이라는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주장하듯 철학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의미 있고 긍정적인 영향력과 이를 문학 장르와 결합하여 독자와 만나고자 하는 시도가 너무나 반가웠다. 문학 장르 중에서 시라고 하면 더욱 의미 있게 생각되는 것이 시인이 가지는 독특한 감수성이다. 시인의 눈으로 세상을 만나게 될 때 우리의 삶은 한층 여유롭고 넉넉하며 살아갈 희망을 찾을 수 있을 것이기에 그렇다. 물론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얼마나 객관성을 얻을 수 있는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더불어 철학자 강신주의 적극적인 행보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차에 그의 출간은 매우 기대되는 경우였다. 인문학이 사람의 일상생활과 떨어져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그로인해 인문학의 본래 출발점에서 벗어나게 된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하던 한 사람으로 그가 벌이는 활발한 대중 강연은 반가운 것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현실의 제약으로 인해 그의 강연에 참여하기란 어려운 문제이기에 그의 책이 출간된다는 것이 반가운 것이다.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이후 시와 철학의 절묘한 어울러 짐에서 깊은 사색의 시간들을 가질 수 있었던 경험이 후속작을 기다린 이유가 될 것이다. 이 책이 바로 전작에 이어 발간된 ‘철학적 시 읽기의 괴로움’이다.
‘즐거움’과 ‘괴로움’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살아가면서 이 둘 사이가 아주 동떨어진 개념이 아님을 알게 된다. 이는 일상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삶에서 얻은 교훈이다. 깊은 사색과 자기 성찰의 시간은 보낸 사람들이 그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철학적인 시각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사랑, 돈, 여성, 그리스도, 타자, 자유, 역사, 대중문화, 글쓰기, 감각, 관계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시와 철학 그리고 사람이 사이의 관계에 집중하여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간과하지 말아야할 주제들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책에 언급된 14명의 시인과 철학자들이 저자의 철학적 사고의 범주에서 절묘한 만남을 한다. 인문학의 중심이 사람이듯 당연히 철학의 중심에 사람이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시의 정신을 ‘자유정신’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 자유정신은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철학이 인간의 이러한 자유정신에 대해 멀리 보는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기에 이와 철학 그리고 사람은 이 ‘자유정신’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공유된 자유정신은 인간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이는 부분으로 작용하며 그렇지 못한 환경을 바꾸거나 스스로 자유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자기조건을 확보하려는 것이 바로 사람의 삶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철학과 시가 같은 맥락에서 사람의 삶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에 철학자인 저자가 시에 주목하고 시를 통해 철학의 근본 문제에 인간의 삶을 있는 것이라고 보인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상대적인 세상이다. 이 상대적인 개념들이 모여 만들어가는 세상에 많은 문제들은 상대성을 무시하거나 잃어버리고 살아가면서 발생한다. 사랑도 그 안에는 나와 타자가 공존하지 않으면 발생할 수 없는 것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나와 타자의 개념은 나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게 사람과 그 사람이 살아가는 세상을 바라볼 때 비로써 ‘자유’라고 하는 가치에 의한 타자와의 성숙한 만남이 이뤄지는 것이다. 시인과 철학자의 눈 그리고 독자의 눈이 같은 연속선상의 흐름 속에 존재함을 알게 하는 저자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