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진정 그녀가 없애고 싶었던 것은 무엇?

글쓴이: 冊을 읽어야 知 | 2013.08.05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1. 무릇 생명이 있는 것은 '유효기간'이라는 것이 있다. 우리 모두 유한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 생명력을 오래 유지하고 싶다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지만, 마음 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유한의 생명력'을 생각해본다.


 


2. "그러니까 금요일 밤 시간대의 전철이란 으레 그렇다." 소설의 첫 문장이다. 그 지하철 속에 이 소설의 주인공인 65세의 여성이 마치 삼림 속 나무 한 그루처럼 묘사된다. 퇴근 길 평범한 그림 같지만 서장부터 사건이 일어난다. 여인의 이름은 조각(爪角)이다. 그리고 그녀의 직업은 킬러이다. 그들끼리 통하는 언어로는 방역업 종사자이다.


 


3. 손톱 '조'(爪), 뿔 '각'(角). 가명이지만, 이름부터가 심상치 않다. 어찌하다보니, 아니 운명처럼 그녀에게 주어진 일은 결코 평범하다고 볼 수 없다. 하긴 평범하다면 이야기거리도 되지 않을 것이다. "매력적인 일이라고 생각 안 해. 누군가는 꼭 해야 하기 때문에 차라리 내가 하고 만다는 핑계도 대지 않아. 개개인의 정의 실현이라면 그거야말로 웃다 숨넘어갈 소리지. 하지만 말이다, 쥐나 벌레를 잡아주는 대가로 모은 돈을, 나중에 내가 쥐나 벌레만도 못하게 되었을 때 그런대로 쓸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그리 나쁜 일은 아닌 것 같구나."


 


4. 이 소설의 작가 구병모는 1976년 서울생이다. 제2회 창비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한 '위저드 베이커리'는 신인답지 않은 안정된 문장력과 매끄러운 전개, 흡인력 있는 줄거리로 심사위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구병모라는 작가의 이름은 필명이라고 한다. 예전부터 습작하면서 남성적이거나 중성적인 이름을 쓰고 싶었고, 소설의 분위기도 좀 남성적으로 가려고 필명을 그렇게 지었다고 한다. 이 소설의 전체적인 주제와 분위기, 스토리 전개의 박진감에 잠시 작가가 여성이라는 것을 잊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인공 여인인 '조각'의 섬세한 심리 상태 묘사에선 역시 여성 특유의 감각이 들어있다.


 


5. 주인공에게 '조각'이란 가명이 붙게 된 것은, 날카롭고 빈틈없으며 조금의 끈적거림이나 미적거림도 없이 깔끔한 뒷마무리에 이르기까지의 업무 처리 능력에 감탄한 팀매니저가 농담처럼 부르기 시작한 것이 그리 굳혀졌다고 한다. 소설이 전개되면서 이미 적지 않은 나이에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몸을 던지는 그녀를 보며, '이젠 그만 은퇴하시잖구.'라는 마음이 일어났다. 그 후에 뭔가 변화된 삶을 기대해보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도무지 그럴 생각이 없어보인다.


 


6. 어느 날이었다. 그녀는 문득 냉장고 야채 박스를 열고 복숭아가 뭉그러진 채로 담겨 있는 것을 본다. 잊고 있었던 그 과일 봉지를 집어 올리자마자 그것은 그녀의 손안에서 그대로 부서져 흘러내린다. 그것을 마저 치우다가 문득 콧속을 파고드는 시지근한 냄새를 맡으며 눈물을 흘린다. 얼마쯤 지나 그녀 어깨가 흔들리고 신음이 새어나오기 시작했다. 좀체로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던 여인의 마음이 무너지는 순간이기도 했다.


 


7. 파과(破果)에서 그녀는 그녀의 몸과 마음이 이젠 예전같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다. 그리고 그녀가 당차게 달려온 삶의 시간들에 묻고 싶었을 것이다. 내가 해야 할 일이라고 했지만, 과연 남은 것은 무엇인가. 지금 이렇게 내가 뭉그러진 복숭아를 치우듯 결국 나의 몸도 그리 되고 말 것이라는 암시를 받게 된다.


 


8. 과연 그녀는 진실로 무엇을 없애고 싶었을까 묻고 싶다. 그녀의 불운했던 어린 시절이었을까? 그 마음 안에서 끝도 없이 일어나던 차가운 기운이었을까? 소설이 전체적으로 흐름이 빠르지만, 특히 끝부분은 매우 스피디하면서도 리얼하다. 투우라고 불리우는 그 젊은 동역자와의 만남 역시 숙명이다.


 


9. 소설은 범죄 스릴러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작가는 보다 깊은 질문을 던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대의 생명력은 지금 어떤 상태인가. 무언가 버려야 될 것을 금지옥엽 움켜쥐고 있지는 않는가. 마지막 장면에 그녀가 네일 숍에서 손톱을 내맡기는 것은 아니러니하다. 평소 그녀의 생각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손톱을 단정하게 자르고 매니큐어를 바르지 않는 것은 한 사람이 자신의 부피와 질량을 감추는 수백 가지 소극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다. 철저하게 검박한 손톱은 고무찰흙에조차 상처를 낼 수 없을 것처럼 보여 손톱주인에게 내재한 공격성을 가리는 역할도 한다." 이미 상실된 부분이 있을지라도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하는 그녀의 최후의 외침일지도 모른다. 손톱에 정성을 들이는 것은..

전체목록보기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