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미래기업의 성공키워드

글쓴이: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 - 시리우스 | 2014.01.15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유치원시절,혹은 유년시절 우리는 모두 창조자이며 예술가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 역시 내 자신의 어린시절을 떠올려보았다. 방안의 벽면을 캔버스 삼아 온갖 그림들을 그리고, 심지어는 식탁밑으로 기어들어가 낙서로 도배를 했었다. 그럴때마다 엄마한테 혼났던 기억이 난다. 친구들을 만나면 종이인형놀이를 한답시고, 스케치북에 온갖 캐릭터들을 잔뜩 그려서, 오리고 온 방안을 난장판으로 만들었던 기억도 난다. 부모입장에서는 나라는 존재가 말썽꾸러기에 집안을 엉망으로 만드는 골칫덩어리였을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난 지금 그때의 나는 내 안의 창조본능을 일깨워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표현하고자 했던 것인데, 어느 순간부터 그런 창조본능은 내가 성장하면서 내면의 깊숙한 곳으로 숨어버렸다. 우리나라 교육현실이, 그리고 이 자본주의 사회가 결국 우리들을 그렇게 성장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크라운해태 윤영달 회장은 그렇게 우리안에 숨어버린 인간의 창조본능을 일깨워 기업경영에 도입한 주인공이다. 그는 그러한 창조본능을 AQ(Artistic Quotient) 예술지능이라 명명한다. AQ예술지능이라함은 예술가처럼 자신의 삶에서 만난 모든 것에서 창조감성을 느끼고, 모든 상황과 사물을 활용하여 내면의 창조 욕망을 만족시키는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지능을 말한다. 그 핵심은 총 5가지인데, 미학,초월,몰입,소통,유희이다. 그렇다면 윤영달 회장은 왜 AQ예술지능에 주목하고 강조를 하는가? 그것은 바로 우리 인간의 본능이고, 더 나아가 고객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하는 그 무엇이기때문이다. 인간은 생존과 창조라고하는 두 가지 본능을 가지고 있다. 생존은 말 그대로 살기위해 인간이 치뤄내야하는 가장 기본적인 본능이다. 사냥을 하고, 전투 및 전쟁을 하고, 지배를 하고 지배를 당하고 그야말로 끝임없이 투쟁하는 전사의 이미지이다. 반면 창조란 벽을 허물어 소통을 하고, 모험을 즐기며, 유희와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며, 유에서 새로운 유를 창조해내는 예술가의 이미지이다.


 


우리 인간은 오랜 역사를 통해 문명이 발달하고, 고도의 기술혁명을 이뤄내면서 생존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그러자 우리안에 잠들어 있던 창조본능이 눈을 뜨기 시작한 것이다. 더 싸고, 더 빠르고, 더 크고, 더 강력하고, 더 양이 많은 것 등으로 무장한 상품들로는 더 이상 고객들의 눈길을 끌 수가 없게 된 것이다. 그것은 기본이고, 그 위에 보다 새로운 어떤 것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아름답고, 고객의 창조욕구를 불러일으키고, 감성에 호소하고, 감동을 주며, 스토리가 있는, 고객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또한 고객을 단순히 관람객이나 교환관계, 어떤 하나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 함께 성장할 능동적인 주체로 바라보고, 기업의 상품기획 및 디자인 등등에 동참하기도하고, 기업의 창조적 플렛폼을 통해 오감으로 체험도 하는 조체로써의 동반자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아직도 전자의 사고방식으로 고객을 바라보고 경영하는 기업들은 향후 미래사회에 도태될 가능성이 있음을 윤영달 회장은 이야기하고 있다. 윤영달 회장은 후자의 사고방식을 선택한 경영인이며 본인 스스로가 예술가이기도하다.


 


예술이라는 것을 단순히 관람만하는 수동적인 존재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예술가가 되기 위해 수많은 예술가들로부터 교육을 받고, 공부하고, 직접 창조를 하기도 했다. 본인뿐아니라, 회사내부의 고위직부터 말단직원까지 모두 협업하여 예술을 이해하고 예술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조각, 유리공예, 국악 등등 그들은 스스로 1차적인 관람객에 머물지 않고, 예술가가 된 것이다. 그래야 고객들 가슴속 깊이 숨어있는 창조본능을 일깨워, 창조적 욕구와 열망들을 더 절실하고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기때문이다. 그런 마인드와 경영방식은 다른 기업인들에게 '쓸데없는 짓거리'로 치부되어 비난을 받았지만, 크라운해태는 그러한 비난을 상쇄할 정도로 예술경영에 힘입어 크게 도약할 수 있었다. 국내뿐아니라 예술경영은 해외 기업들에게서도 엿볼수있다.


 


'단순함'을 강조한 아름다움 미학의 대표주자인 애플, 모든 사람들이 창조자가 되고 예술가가 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 구글의 유투브, 현실과 판타지를 분명하게 구분지었지만, 판타지를 떠나서도 현실을 즐겁고 유쾌하게 보내고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든 디즈니사, 고객들을 기업의 동반자로 생각하며 그 고객들과 함께 라이딩의 초월적 가치를 통해  재기에 성공한 할리데이비슨, 스스로 제품을 만들고, 디자인하고 창조주로써의 재미를 느끼게 해준 레고 등등 이미 해외 유명 기업들은 예술경영을 토대로 고객들과 하나가 되어 성장하고 있다. 더 이상 고객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이제는 창조자로써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한때 일부 소수계층들만이 향유했던 예술은 이제 대중에게도 확산되며 예술가와 비예술가의 경계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누구라도 예술가가 될 수 있는 세상이 온 것이다. 그것이 바로 우리 인간의 창조본능인 것이다. 더 이상 기업의 일방적인 광고에 현혹되는 고객이 아니다. 때문에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이제 기업들은 이러한 고객들의 움직임과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의 낡은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물론 예술없는 전사는 난폭한 모습의 전사일 뿐이며, 전사없는 예술은 공허한 허상일 뿐이다. 때문에 전사와 예술가가 함께 공존하며 기존체제를 발판삼아 새로운 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 가운데 핵심이 바로 예술지능이며 그것이 바로 미래기업의 성공키워드가 될 것이다.

전체목록보기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