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린킨 파크(Linkin Park), 대체 어떤 밴드일까?

그런데 신작은 다르다. 또, 또 다르다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린킨 파크가 돌아왔습니다. 돌아왔는데 앨범은 데뷔 시절 그들의 음악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 때의 음악이 지금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의도가 궁금해지는 신보, < The Hunting Party >입니다.

린킨 파크(Linkin Park) < The Hunting Party >

 

린킨파크.jpg

 

린킨 파크(Linkin Park)는 어떤 밴드일까. 대문을 거의 '걷어차다시피'하며 새천년의 포문을 열어젖혔던 < Hybrid Theory >의 강력함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린킨 파크는 기막힌 하이브리드로 무장한 하드 코어 밴드다. 반면 2007년, 그러니까 영화 < 트랜스포머 >의 「What I've done」의 흥행부터 시작한다면 전자음을 가미하는 얼터너티브 록 밴드로 보일 수도 있다. 데뷔 후 14년 동안 밴드는 본래의 이름이었던 '하이브리드' 이론에 충실하며, 음악 판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무쌍한 행보를 보였다. 비교적 최근에 들어서야 < A Thousand Suns >< Living Things >의 흐름이 정립되며 신디사이저와 일렉트로닉 사운드가 가미된 록 밴드로서의 이미지가 굳어지던 참이었다.



 

그런데 신작은 다르다. 또, 또 다르다. 비장함을 잔뜩 머금은 기타 사운드와 거친 체스터 베닝턴(Chester Bennington)의 그로울링, 마이크 시노다의 랩과 롭 버든 (Rob Bourdon)의 파워풀한 드럼 연주. 설명만 해도 연상 가능한 세기말의 뉴 메탈이다. < Hybrid Theory >< Meteora > 시절에 만들어둔 곡들을 새로 발매한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 The Hunting Party > < Minutes To Midnight >부터 내려온 변화의 기조를 무자비하게 '사냥'한다.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갑자기 '록 레코드'를 만들겠다던 마이크 시노다(Mike Shinoda)의 선언은 허언이 아니었다.

 

과거보다 한 술 더 뜬 하드한 사운드가 곳곳에서 눈에 띤다. 급박한 진행과 단순한 코드 진행의 「War」는 펑크 록에 가까우며 뉴 메탈 밴드 시스템 오브 어 다운(System Of A Down)의 브레인 다론 말라키안(Daron Malakian)을 초빙한 「Rebellion」은 소량의 전자음을 배제한다면 무자비한 강력함이 지배하는 곡이다. 올드 스쿨 MC 라킴(Rakim)과 함께한 「Guilty all the same」은 특유의 비장함으로 꾸며낸 하이브리드 '린킨 파크식 록 뮤지컬' 곡이며 시작부터 청자를 압도하겠다는 의도로 가득한 「Keys to the kingdom」 또한 마찬가지다.

린킨파크

 

변화의 의도를 가늠하긴 어렵지만 강성 록이 거의 매장되다시피 한 현 록 시장의 현실을 생각해보면 환영하는 마음이 앞선다. 허나 돌아온 친구들이 풀어놓는 얘기는 대부분 옛날에 들었던 얘기라 재미가 없고, 근황을 묻자니 아무 대답도 돌아오지 않는다. 사실 이런 식의 하드 코어는 질리도록 들었던 레퍼토리라 지금 상황에서나 새롭지 대단한 '혁신'과는 거리가 멀다. 「Wasteland」나 「All for nothing」 등의 곡들을 들으며 떠오르는 년도가 2004년 즈음이라면 이건 뭔가 이상한 것이다. 지금은 뉴 메탈, 하드 코어가 사멸한 2014년이다.

 

주제 파악이 어려운 점도 문제다. 하드 록으로의 지향이 확고해지나 싶은 순간에 제 2, 제 3의 「What I've done」이나 「New devide」를 꿈꾸는 「Until it's gone」과 「Final masquerade」이 등장하며 혼란을 가중시킨다. 멜로디의 힘은 여전히 매혹적이나 전체적 균형감각의 부분에서 맞질 않는다.

 

 체스터 베닝턴과 마이크 시노다의 음악적 노선 차이가 앨범에도 영향을 끼치는 모양새다. 레이지 어겐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의 톰 모렐로(Tom Morello)를 불러놓고 「Final Masquerade」의 멜로디를 암시하는 정도에 그치는 몽환적인 「Drawbar」같은 실험은 굳이 필요해 보이지 않는다. '강한' 사운드를 늘어놓는 것 자체가 앨범의 목표였는지, 아니면 이를 통해 또 다른 무언가를 추구했는지 선명하지 않다.

 

시계바늘을 거꾸로 돌려보려는 시도 자체는 괜찮았지만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우리는 록 밴드'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는 의미였는지, 아니면 데뷔 시절이 단순히 그리웠는지, 과거 팬들과의 '으리'를 생각한 팬 서비스 용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그 결과물이 과거와 현재의 충돌을 조화롭게 융합하지 못한 애매한 결과물이라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또, 또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된다. 린킨 파크(Linkin Park)는 대체 어떤 밴드일까? 아니, 어떤 밴드가 되고 싶은 걸까?

 


글/ 김도헌(zener1218@gmail.com)

 
 

[관련 기사]

-샘 스미스, 진중하고 매력적인 소울보이스
- 크러쉬, 한국 알앤비 힙합의 미래
- 에드 시런만의 색깔을 만드는 과정
-잭 화이트, 록의 틀을 깨는 천재 괴짜들
-태양, 아이돌의 한계를 넘어선 음악성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3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오늘의 책

이토록 매혹적인 외국어 공부

인간은 언어를 구사하는 존재다. 우리가 언어를 배우는 이유는 보다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해서다. 외국어 공부는 보다 넓은 세계도 보여준다. 『숲속의 자본주의자』 박혜윤, 응용언어학자 김미소 두 저자가 쓴 글을 읽으면 미치도록 외국어 공부가 하고 싶어진다. 영어, 일어 모두.

배우 문가영이 아닌, 사람 문가영의 은밀한 기록

배우 문가영의 첫 산문집. 문가영은 이번 에세이를 통해 ‘파타’라는 새로운 얼굴을 통해 자신의 내밀한 언어들을 선보인다. 자신을 경계인으로 규정하며, 솔직한 생각과 경험을 형태와 시공간을 뛰어넘어 실험적으로 다뤄냈다. 앞으로의 그녀가 더 기대되는 순간들로 가득 차 있는 에세이.

자유롭고 행복한 삶

좋아하는 일을 하며 자유로운 삶에 도달한 68만 유튜브 크리에이터 드로우앤드류의 신간이다. 남에게 보이는 삶을 벗어나 온전한 나의 삶을 위해 해온 노력과 경험을 들려준다. 막막하고 불안한 20-30대에게 자신만의 삶을 방식을 찾아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다.

사교육의 나라에서 흔들리지 않고 중심잡기

단돈 8만 원으로 자녀를 과학고에 보낸 엄마가 알려주는 사교육을 줄이고 최상위권 성적으로 도약하는 법! 고액의 사교육비와 학원에 의존하는 대신, 아이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위해 부모가 가정에서 어떻게 올바른 학습 환경을 마련하고 노력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려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