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은 없다] 문화는 어떻게 비정상의 낙인을 만들어내는가
정신 질환의 낙인을 만들고 지탱하고 변화시키는 역사적, 문화적 힘들에 대한 깊이 있고 매혹적인 탐구
글 : 출판사 제공
2022.07.27
작게
크게


'낙인'은 세상 어디에나 어떤 형태로든 존재한다. 하지만 시간과 장소에 따라 그 대상이 달라진다. 『정상은 없다』는 ‘자본주의’, ‘전쟁’, ‘의료화’ 세 가지 측면에서 정신 질환과 장애에 대한 낙인의 역학을 탐구한다. ‘생산성’에 따라 인간 가치를 평가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떤 몸들이 배제되고 소외되었는지, 군진정신의학(military psychiatry)이 정신의학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망가진 뇌 모델, 생물학적 모델이 정신 질환과 장애의 낙인을 어떻게 강화하는지 추적한다.

항정신병 의약품 개발과 탈시설화 등은 정신 질환의 낙인을 감소시키고, 정신의학이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준 요인이다. 이상 행동과 정상 행동은 하나의 스펙트럼상에 있지만, 정도의 차이로 보는 신경 다양성 관점 등 낙인을 해체하기 위한 사회 운동의 지속적인 노력도 있다. 이 밖에도 『정상은 없다』는 북미,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대한 비교 문화적 접근으로 낙인을 없애기 위한 역사 문화적 노력과 성과를 소개한다.



정상은 없다
정상은 없다
로이 리처드 그린커 저 | 정해영 역
메멘토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채널예스 # 예스24 # 카드뉴스 #정상은없다
0의 댓글

정상은 없다

<로이 리처드 그린커> 저/<정해영> 역

출판사 | 메멘토

Writer Avatar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