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노승영의 멸종 위기의 나날들] 어린이책을 번역한다는 것

<노승영의 멸종 위기의 나날들> 9화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번역은 누군가에게 말을 거는 일이다. 지금까지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성인 남녀에게 말을 걸었지만 이번에는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을, 어쩌면 그보다 어린 아이들을 떠올리며 작업했다. (2021.10.01)

언스플래쉬

동네에 사는 동료 번역가에게 일감을 소개받았을 때만 해도, 기존 작업 중에 잠깐씩 짬을 내어 용돈이나 벌어볼까 하는 심산이었다.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어린이용으로 출간한 동식물 그림책 시리즈를 국내 출판사에서 영한대역으로 낸다는데, 시리즈 A, B, C 30권은 다른 분이 번역하여 이미 출간됐고, 나는 시리즈 D, E, F 30권을 맡기로 했다. 일전에 래리 고닉의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미국사』(궁리, 2018), 제이 호슬러의 『어메이징 샌드워커』(궁리, 2018), 맷 업슨 외의 『어메이징 인포메이션』(궁리, 2017) 등 학습 만화를 여러 권 번역한 경험도 있고 해서 식은 죽 먹기일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웬걸, 생각지도 못한 복병이 숨어 있었다.

우선 이 책들은 어린이책답게 아이들이 미처 모를 법한 과학 용어를 설명하는데(이를테면 ‘포식자’, ‘갈기’, ‘비늘’),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쓰지 않는 용어가 꽤 되더라는 것이다. “Male giraffes are called bulls. Females are called cows.”라는 문장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까? 영어권에서는 수컷 기린을 ‘불’이라고 부르고 암컷 기린을 ‘카우’라고 부를지 몰라도 우리나라에서는 수컷 기린은 ‘수컷 기린’이고 암컷 기린은 ‘암컷 기린’일 뿐이다(설마 ‘수키린’과 ‘암키린’이려나?).

문화 차이도 극복해야 할 난관이었다. “Eucalyptus leaves smell like cough drops.”라는 문장에서 ‘cough drops’는 우리말로 ‘진해·거담제 사탕’이나 ‘진해정’쯤 될 텐데,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이 단어를 알까? 약국에 가서 둘러보니 가래를 없애준다는 사탕들은 모과나 허브향 제품이 대부분이었다. 문득 롯데제과에서 1988년에 출시한 특정 과일향 사탕이 떠오르는데, 이 제품을 보통명사 격으로 써도 괜찮을까?

“불운은 혼자 오지 않는다”라는 옛말처럼, 위의 두 난관을 더한 다음 문장을 만났다. “A baby koala is called a joey. A joey is the size of a jelly bean at birth.” ‘jelly bean’은 콩 모양 젤리라는데, 내가 아는 ‘젤리빈’은 구글의 스마트폰 운영 체제인 안드로이드 4.1, 4.2, 4.3의 별명이 전부다. 우리나라에서도 젤리빈을 파는지 궁금해서 작업실 아래층 슈퍼마켓에 내려가 물어보니 콩 모양 젤리는 없다고 했다. 대부분 마이구미 같은 과일 모양이나 하리보 같은 곰 모양 젤리였다. 요즘 어린이들은 서양 문물에 친숙하니까 ‘젤리빈’도 먹어본 적 있으려나?



게다가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면 양이 달라진다. 내가 최근에 번역한 버락 오바마의 『약속의 땅』(웅진, 2021)은 영어판이 751쪽인데 반해 한국어판은 919쪽이나 된다. 글자 크기와 줄 간격이 달라서일 수도 있겠지만 ―『약속의 땅』의 경우 판형은 대동소이했다― 숫자만 놓고 보자면 분량이 1.2배로 증가한 것이다. 글자만 있는 책이야 쪽수를 늘리면 그만이지만, 그림책은 정해진 공간 안에 문장을 욱여넣어야 하기 때문에 마치 영화 자막처럼 영어와 한국어의 글자 수를 맞춰야 한다. 이런 탓에 내가 애정하는 옮긴이 주를 하나도 쓸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물론 그랬다면 어린이 독자들의 원성이 자자했겠지만― 애매한 구절을 자세히 풀어 쓸 수도 없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은 약과였으니, 가장 고약한 것은 책마다 서너 개씩 실려 있는 난센스 퀴즈였다. “Q. Why did the koala cross the road? A. Because it was the chicken’s day off.”의 언어유희를 어떻게 번역하란 말인가? 이것은 일종의 허무 개그로, 본디 “닭이 왜 길을 건널까? (상대방: 어리둥절 묵묵부답.) 건너편에 가려고.”라는 (184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 깊은 유머에 빗댄 퀴즈다. 이 위기를 넘어설 방법은 검색뿐. 구글에 들어가 ‘코알라 유머’를 찾아봤으나 나오는 건 지면에 옮기기 민망한 19금 유머밖에 없었다. 어린이책이 내게 무력감과 자괴감을 선사할 줄이야.

그렇다고 해서 시리즈의 첫 열 권을 번역하는 동안 마냥 고달프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무엇보다, 지금껏 말의 리듬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한 것이 늘 아쉬웠는데, 이번에 원 없이 구사할 수 있었다. 어린이책 번역의 묘미는 리듬감에 있다. 아이가 혼자 눈으로 읽을 수도 있지만 엄마 아빠가 소리 내어 읽어줄 수도 있기에, 입에 착착 붙게 번역하는 게 중요하다. 똑같은 패턴이 반복되면 지루하니 어휘와 어미에도 변화를 줘야 한다. 흡족하게 번역된 문장을 보고 있노라면 구연동화 선생님이 내 귀에 대고 읽어주는 듯한 환청이 들리기도 한다.



또, 번역은 독자를 저자에게 데려가는 직역과 저자를 독자에게 데려오는 의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세종서적, 2018) 39쪽 참조!], 어린이책 번역은 철저히 저자를 데려오는 번역이어야 한다. 이를테면 아이들이 배워야 할 개념과 원리는 미국 초등학교가 아니라 한국 초등학교의 교과과정에 부합해야 한다. 나의 평소 번역 스타일과 달리, 이번 번역의 목표는 어린이 독자가 이 책이 번역서임을 전혀 의식하지 못한 채 읽게 하는 것이었다. 주의 집중 시간이 짧은 아이들이 책을 끝까지 읽게 만들려면 어떤 장애물도 없이 동식물의 세계에 빠져들도록 해줘야 할 테니까.

번역은 누군가에게 말을 거는 일이다. 지금까지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성인 남녀에게 말을 걸었지만 이번에는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을, 어쩌면 그보다 어린 아이들을 떠올리며 작업했다. 이 아이들이 자라서 나의 다른 번역서들도 읽게 될 거라 상상하니 가슴이 두근거린다. 얘들아! 책 맨 뒤에 판권면이라는 게 있는데, 거기서 아저씨 이름을 찾아서 기억해줘. 다음에 또 만나자!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노승영,박산호 공저
세종서적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노승영(번역가)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을 수료했다. 컴퓨터 회사에서 번역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며 환경 단체에서 일했다.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을 썼으며, 『제임스 글릭의 타임 트래블』, 『당신의 머리 밖 세상』, 『헤겔』, 『마르크스』, 『자본가의 탄생』 등을 번역했다.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노승영>,<박산호> 공저12,600원(10% + 5%)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을 쓴 저자들은 그동안 걸출한 인문 도서를 번역해온 노승영 번역가와, 환상적인 장르 소설을 한국에 소개해온 박산호 번역가다. 노승영은『시사IN』 ‘2014년 올해의 번역가’로 뽑힐 만큼 인정받은 실력파다. 특히 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반면 박산호 번역가는 스릴러 소설을 많이 번역..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ebook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노승영>,<박산호> 공저8,820원(10% + 5%)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을 쓴 저자들은 그동안 걸출한 인문 도서를 번역해온 노승영 번역가와, 환상적인 장르 소설을 한국에 소개해온 박산호 번역가다. 노승영은『시사IN』 ‘2014년 올해의 번역가’로 뽑힐 만큼 인정받은 실력파다. 특히 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반면 박산호 번역가는 스릴러 소설을 많이 번역..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다양한 관점으로 맛있게 먹는 괴상한 경제 이야기

전작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이후 10년 만의 신간이다. 저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통해 편견을 넘어 생산성을 높이고 함께 잘 살기 위한 경제학을 이야기한다. 다양한 음식과 재료에 대한 놀라운 식견과 저자가 생각하고 연구해온 그의 진짜 경제 이야기를 만나보자.

가족에 관한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할 때

정상가족 해체, 비혼 인구 증가, 비친족 가구 확대. 새로운 가족 모델이 필요하다. 『이상한 정상가족』 김희경 저자가 『에이징 솔로』에서 비혼 중년의 삶을 조명한다. 여러 사람과 인터뷰하며 비혼 이유, 홀로 관계를 쌓는 법, 노후에 관한 고민 등을 분석했다.

지구가 멸망해도 우리에게는 사랑이 남아 있다

『재와 물거품』 작가 김청귤이 기후 소설(Cli-fi)로 돌아왔다. 소설 속 지구는 기후 변화로 빙하가 녹아 바다로 뒤덮인 디스토피아 그 자체. 종말의 벼랑 끝에서도 연대하는 인물들을 명징하게 그려냈다. 이번 김청귤표 연작소설은 우리에게 희생과 사랑, 그리고 용기를 가져다 줄 것이다.

봄을 부르는 코딱지들의 벚꽃 나들이

허정윤 작가가 빚어낸 유쾌한 코딱지 세상, 그 새로운 이야기! 코딱지 코지와 코비가 난생처음 봄을 맞았어요. 처음 느껴보는 보드라운 봄기운에 설레는 코딱지 가족. 그들의 떠들썩한 벚꽃 소풍에 따라나서봅니다. 벚꽃만큼이나 아기자기하고 향긋한, 코딱지들의 반짝이는 봄 소풍 이야기.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