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세계] ‘싸움’은 우리를 다른 세계로 이끌었다
“관성과 탄성의 ‘다시’를 무력하게 만드는 건 결국 새로운 세계의 도래를 포기하지 않는 ‘다시’이므로”. ‘다시 쓴다’는 건, 결국 ‘이야기’를 다시 쓰는 일이다.
2020.02.19










물론 페미니즘 운동에도 딜레마는 있다.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획일화된 범주를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가 그 과제다. “성별에 대한 자각 없이 살았던 여성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그에 가해지는 억압과 부조리와 싸우기 시작했다”는 건 분명 눈에 띄는 변화이자 하나의 혁명이었으나, 동시에 그 자각은 여성들에게 “또다시 두려움을 주입하여 ‘생물학적 여성’이라는 획일화된 범주 안에 고착되게 했다는 점에서” 반동적인 측면도 있었다. 이것이 바로 ‘강남역 10번 출구’라는 추모의 시공간이 갖는 이중의 의미다.
-
다시, 쓰는, 세계손희정 저 | 오월의봄
혐오와 배제로 가득한 이 세계의 이야기를 페미니스트 지혜와 상상력으로 다시 쓰자고 제안한다. 그 ‘다시 쓰기’란 우리 사회에서 주변으로 내몰리는 여러 소수자의 관점을 불러들이는 일이며, 그때 페미니즘은 비로소 ‘생물학적 여성’의 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확장해나갈 수 있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0개의 댓글
추천 기사
추천 상품
다시, 쓰는, 세계
출판사 | 오월의봄
필자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김이삭 칼럼] 문자와 문자를 잇고, 사람과 사람을 잇는 희곡 번역](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9/20250909-d9cb953b.jpg)
![[구구X리타] 미래의 백과사전](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8/20250819-c2e023a6.jpg)

![[에디터의 장바구니] 『노가다가 아닌 노동자로 삽니다』부터 『절대 진공 & 상상된 위대함』까지](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5/20250512-0311a97d.jpg)
![[여성의 날] 『딕테』와 함께 읽기 좋은 책](https://image.yes24.com/images/chyes24/article/cover/2025/03/20250307-54a3593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