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날에는 페미니즘 책을 다시 보자
전무후무한 대국민통합을 이루기 전, 2016년 무더운 날씨 속에서도 어른들과 보이지 않는 큰 권력들에게 끝까지 투쟁하고, 아무도 보호해주지 않는 가운데 서로의 손을 놓지 않고 <다시 만난 세계>를 불렀던 이화여대 학생들에게 고마움과 존경을 전한다.
글 : 김유리(문학 MD)
2017.03.10
작게
크게

girl-619689_960_720.jpg

출처_pixabay.com

 

3월 8일은 여성의 날이다. 이를 맞이해 나온 기사들과 여러 글을 여러 해 동안 읽으며, 착잡하면서도 동시에 눈앞에 보이지 않은 이들과의 연대감을 느낀다. 상반되는 이 감정들은 슬프게도 해가 갈수록 견고해져 간다. 어떤 해에는 3월 8일이 아무 날도 아닌 것처럼 기사들이 적게 나오기도 했고, 어떤 해는 오히려 상처만 남은 글들을 목격했었다. 무엇보다 가장 씁쓸했던 건 읽는 즉시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반응들. 나는 지인들과 차라리 인터넷 기사의 댓글 창이 사라져 버렸으면 좋겠다는 소원을 농담마냥 주고받았다. 2016년 예스24 연말 결산에 따르면 페미니즘 도서 판매량은 전년 대비 132.6%로 두 배 이상 늘었고, 20대 여성의 구매 비중이 2015년 10.7%에서 2016년 26.0%로 상승했음에도 말이다.


다행히 2017년 여성의 날에는 많은, 그리고 훌륭한 글들을 많이 읽었다. 2016년 사회적 이슈로 페미니즘이 떠오르고, 항상 있었지만 드러나지 않았던 상흔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 속에서 많은 이들의 사랑과 믿음, 그리고 의지들이 보였다. 한쪽에서만 일어난 미동이 아니었다. 곳곳에서 변화하고 싶다고, 변화해야만 한다는 목소리들이 터져 나왔다. 비명 혹은 울음 같기도 했지만, 단단했고 흔들림 없었다. 그 목소리들에 밀려 나와 여럿이 페미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책들 목록을 써본다. 여전히 가슴을 아프게 하는 댓글을 읽으면서.

 

L.jpg

 

『이갈리아의 딸들』


중고교 시절, 학교에서나 밖에서나 문학을 좋아하는 학생으로 나름 포지셔닝하고 있었던 나에겐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했던 의문이 하나 있었다. 왜 한국문학에서는 여자의 몸을 가지고 남성작가들이 도구화하여 글을 쓰는 일이 많을까? 굳이 이 소설의 맥락에서 이 장면이 필요할까. 혹은 어떤 시가 불러오는 상징에서의 불편함이 가끔 찾아왔다. 몇몇 친한 국어 선생님께서 여러 책을 추천해주시기도 했지만, 기존 문단에서 칭송받는 어른들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말 그대로 ‘찝찝’했다. 그러다가 처음으로 학교에 사서 선생님께서 부임해오셨다. 한강 소설가 책을 추천해주기도 하셨던 깊은 내공의 그분께서는 나에게 『이갈리아의 딸들』을 꺼내주셨다.


소설은 가상 국가 이갈리아를 배경으로 한다. 패러디 기법을 사용한 이 페미니즘의 고전소설에서는 남녀역할이 싹 바뀌어있다. 여성은 움(wom), 남성은 맨움(manwom). 사뭇 호칭의 길이부터 다르지 않은가. 현실 세계에서는 남성은 맨(man), 여성은 우먼(woman). 우리의 사고세계를 지배하는 언어부터 바뀐 그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읽으면 읽을수록 웃프다. 남성들에게 “입장 바꿔 생각해보자.”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소설. 소설이니까 가능한 세계이기도 하다. 지금까지도 웃픈 감정이 그대로인 걸 보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하나도 나아진 건 없는 걸까.

 

L (1).jpg

 

『무엇이 아름다움을 강요하는가』


매일 아침 살이 얼마나 쪘는지, 44 혹은 55 모델 사이즈에 집착하게 한다면 한번쯤 읽어보라 권하고 싶은 도서. 우리가 정말 원해서 ‘몸’에 집착하게 되는 걸까? 우리나라에 조금 늦게 소개된 것 같아서 아쉽지만, 여전히 저자 나오미 울프의 물음은 유효하다. “여성이여, 무엇을 보겠는가?”


아름다움의 신화에서 그 누가 자유로울 수 있을까. 한 번이라도 미(美)에 관한 관심이 식은 적이 있었나. 이토록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상업적, 사회적 배경을 두들기며, 우리의 몸을 ‘옳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는 메커니즘을 헤집는 저자의 실력을 보면 이 책이 28살에 나온 결과물이 정말 맞나 신기할 따름. 책 속에서 인용되고 있는 20세기 중반의 여혐 발언들이 아직도 쭉 이어지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런 문장 말이다. “여성은 계속 아이를 낳는 것 말고는 달리 주인공이 될 수 없다.”(베티 프리단) 아, 여기에 하나 더 해졌다. “여성은 계속 아름다워야 한다.”

 

L (2).jpg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2015년 이 책 덕분에 다른 페미니즘 도서들이 많은 인기를 끌 수 있지 않았을까. 맨스플레인(mansplain)을 작렬하는 설명충에게 제목만으로도 턱, 하고 위압감을 줄 수 있는 책. 좁은 의미에서의 페미니즘이 아니라 이 책에 실린 9편의 에세이들은 페미니즘의 넓은 범주(책 속에서 솔닛은 “페미니즘은 인간 세상 전체를 바꾸려는 노력”이라고 명명한다.)를 고스란히 아우른다. 키득거리면서 웃을 수 있었던 첫 편과는 다르게 솔닛은 젠더와 인종, 그리고 경제, 사회, 환경에 관련된 모든 차별과 억압을 폭로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다른 이를 통제할 수 있다는 권리가 곧 폭력임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폭력은 무엇보다도 일단 권위주의적이라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폭력은 내게 상대를 통제할 권리가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중에서

 

이 글을 쓰던 중 대한민국과 그 안에 살고 있는 국민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던 이가 전(前) 대통령이 되었다. 전무후무한 대국민통합을 이루기 전, 2016년 무더운 날씨 속에서도 어른들과 보이지 않는 큰 권력들에게 끝까지 투쟁하고, 아무도 보호해주지 않는 가운데 서로의 손을 놓지 않고 <다시 만난 세계>를 불렀던 이화여대 학생들에게 고마움과 존경을 전한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여성의 날 #페미니즘 #페미니즘 책 #여성
0의 댓글

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저/<히스테리아> 역

출판사 | 황금가지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저/<김명남> 역

출판사 | 창비

무엇이 아름다움을 강요하는가

<나오미 울프> 저/<윤길순> 역

출판사 | 김영사

Writer Avatar

김유리(문학 MD)

드물고 어려운 고귀한 것 때문에 이렇게 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