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판권의 뒷면] 누구의 삶도 흔하지 않으니까 -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월간 채널예스> 2023년 2월호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여러분의 명함은 어떤가요. 혹시 명함이 없다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직접 한번 만들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2023.01.31)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는 우리 사회에서 '노인'이라 부르는 여성들의 삶을 '일'의 관점에서 기록한 책입니다. 평생 많은 일을 해왔지만 '집사람'으로 불리거나 '내조 잘한 사람'으로만 여겨진 큰언니들의 이야기를 담아보고 싶었습니다. 누구의 엄마, 아내, 누이가 아니라 한 사람의 직업인으로서 그들이 얼마나 멋지게 일을 해왔는지 보여드리고 싶었어요.

이 책을 기획할 때 가장 많이 든 우려는 '너무 흔한 얘기 아니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네, 맞습니다. 누구나 다 아는 얘기, 집집마다 한 번쯤은 들어봤을 얘기. 우리 엄마, 우리 할머니 고생했다는 바로 그 흔한 얘기입니다.

이 흔하고 흔한 얘기를 써보고 싶다고 생각한 건 6년 전쯤입니다. 아이를 낳고 처음으로 소아과에 갔는데 할아버지 의사가 당부하듯 그랬어요.

"지금 산후 조리원에서 오는 길이죠? 그 여자들 말 듣지 마요. 거기 그 여자들 그냥 동네 아줌마야."

'그냥 동네 아줌마들'이라는 말이 오래 마음에 남았습니다. 그분들만 한 육아 전문가가 있을까. 왜 '동네 아줌마'라는 말은 비하의 표현처럼 들릴까. 혼자 목도 가누지 못하던 아이가 걷고 뛰고 말을 하고 좋고 싫음을 분명히 표현하는 어린이로 성장해 가는 동안, 많은 여성들이 집 안과 밖에서 해온 일들이 어마어마한 '전문가의 영역'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기록하고 싶어졌습니다.

신문 기사에서 출발한 이 책은 언론에서 다루는 기사의 원칙에선 조금 벗어나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책에는 유명한 사람도 없고, 당장 사회적 파급력을 일으킨 사건의 당사자도 없으니까요. 어디서든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평범하고 평범한 분들입니다.

이 흔해 보이는 얘기는 많은 분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아 정식 출간까지 하게 됐습니다.(책은 기사에는 담을 수 없던 이야기가 추가돼, 두 배 이상의 분량이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한 분 한 분의 이야기가 실은 너무나 특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를 바라보는 시선이 진부하고 게으를 뿐, 어떤 누구의 삶도 흔하다는 말로 쉽게 정리할 수 없다는 것을 이번 책을 만들면서 배웠습니다.

이 책은 '명함'을 키워드로 삼았습니다. 명함은 없지만 평생 값진 노동을 해온 주인공들에게 명함을 선물하고 싶었습니다. 명함에 대해 여쭤보며 저희는 종종 얼굴이 빨개졌습니다. 첫 번째 출근길의 주인공 손정애 씨는 명함이 있으시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습니다.

"아뇨. 뭐하러."

다섯 번째 출근길의 이선옥 씨는 "명함에만 머무를까 봐" 명함을 만들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저는 제가 명함이에요. 제 자신이."

책을 만들며 종종 명함을 들여다봤습니다. 형용사도 동사도 없이 명사만으로 가득 찬 가볍고 딱딱한 물체. 책 속 주인공들의 삶을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그분들을 담기에 명함은 너무 작고 너무 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의 처음은 이런 문장들로 시작합니다.

"우리가 만난 여성들은 명함이 없다고 했다. 일을 쉰 적은 없다. 그들의 노동을 사회에서 '일'로 인정하지 않았을 뿐이다."

책 속 주인공들만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이름을 얻지 못한 일, 제값을 받지 못한 노동은 과거의 일이거나 특정 세대만의 문제는 아니니까요.

여러분의 명함은 어떤가요. 혹시 명함이 없다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직접 한번 만들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사회가 정해 놓은 뻔한 직책이나 직위 말고, '나다운 나'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명함을 상상해 봅니다. 누구의 삶도 흔하지 않으니까요.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경향신문 젠더기획팀 저
휴머니스트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1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장은교

<경향신문> 젠더 데스크로 일하며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를 기획하고 썼다. 오래된 명함을 버리고 2023년엔 프리 워커의 길을 선택했다. 마감이 없어도 늘 무언가 쓰고 있다.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경향신문 젠더기획팀> 저16,200원(10% + 5%)

“나쁜 일이 파도처럼 밀려왔지만 도망가지 않았다” 인생 자체가 명함인 6070 큰언니들 인터뷰집 일하는 나를 돌보고 자부심을 느끼는 법 민주언론시민연합 이달의 좋은 보도상,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창간76주년 경향대상, 텀블벅 1422% 초고속 달성 화제작! 세상이 ‘일’로 인정하지 않았..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ebook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경향신문 젠더기획팀> 저12,600원(0% + 5%)

“나쁜 일이 파도처럼 밀려왔지만 도망가지 않았다” 인생 자체가 명함인 6070 큰언니들 인터뷰집 일하는 나를 돌보고 자부심을 느끼는 법 민주언론시민연합 이달의 좋은 보도상,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창간76주년 경향대상, 텀블벅 1422% 초고속 달성 화제작! 세상이 ‘일’로 인정하지 않았..

  • 카트
  • 리스트
  • 바로구매

오늘의 책

다양한 관점으로 맛있게 먹는 괴상한 경제 이야기

전작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이후 10년 만의 신간이다. 저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통해 편견을 넘어 생산성을 높이고 함께 잘 살기 위한 경제학을 이야기한다. 다양한 음식과 재료에 대한 놀라운 식견과 저자가 생각하고 연구해온 그의 진짜 경제 이야기를 만나보자.

가족에 관한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할 때

정상가족 해체, 비혼 인구 증가, 비친족 가구 확대. 새로운 가족 모델이 필요하다. 『이상한 정상가족』 김희경 저자가 『에이징 솔로』에서 비혼 중년의 삶을 조명한다. 여러 사람과 인터뷰하며 비혼 이유, 홀로 관계를 쌓는 법, 노후에 관한 고민 등을 분석했다.

지구가 멸망해도 우리에게는 사랑이 남아 있다

『재와 물거품』 작가 김청귤이 기후 소설(Cli-fi)로 돌아왔다. 소설 속 지구는 기후 변화로 빙하가 녹아 바다로 뒤덮인 디스토피아 그 자체. 종말의 벼랑 끝에서도 연대하는 인물들을 명징하게 그려냈다. 이번 김청귤표 연작소설은 우리에게 희생과 사랑, 그리고 용기를 가져다 줄 것이다.

봄을 부르는 코딱지들의 벚꽃 나들이

허정윤 작가가 빚어낸 유쾌한 코딱지 세상, 그 새로운 이야기! 코딱지 코지와 코비가 난생처음 봄을 맞았어요. 처음 느껴보는 보드라운 봄기운에 설레는 코딱지 가족. 그들의 떠들썩한 벚꽃 소풍에 따라나서봅니다. 벚꽃만큼이나 아기자기하고 향긋한, 코딱지들의 반짝이는 봄 소풍 이야기.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