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냥 본 TV] 그럼에도 사랑하는 사람 <알쓸인잡>

예능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인간 잡학사전>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심채경의 이야기를 들으며 깨달았다. '더할 나위 없어서' 나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나를 사랑하는 것, 그것이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일임을. (2022.12.16)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인간 잡학사전>(이하 <알쓸인잡>)이 시작됐다. <알쓸신잡>과 <알쓸범잡>의 뒤를 잇는 세 번째 시리즈다. 이번에는 영화감독 장항준과 방탄소년단 RM이 공동 진행을 맡았다. 두 사람과 함께 지적 수다의 향연을 펼칠 이들은 김영하 소설가, 김상욱 물리학자, 이호 법의학자, 심채경 천문학자다. 제작진은 "서로 다른 시각으로 세상의 모든 인간을 탐구하며 나조차 알지 못했던 '나'를 발견하는 시간"이 펼쳐질 것이라 예고했다. 

지난 12월 2일 방영된 <알쓸인잡>의 첫 회, 출연진은 '내가 영화를 만든다면 주인공으로 삼고 싶은 인간'이라는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심채경은 화성에서 헬리콥터를 띄우는 데 성공한 NASA 우주탐사 연구원 미미 아웅(Mimi Aung)을, 김영하는 허균을, 김상욱은 찰스 다윈을 이야기했다.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것은 심채경의 말이었다. 미미 아웅에 대한 소개를 듣고 장항준이 물었다. 만약 화성에 헬기를 띄우는 데 실패했다면 미미 아웅은 언급도 되지 않았을 것 아니냐고. 심채경은 0.1초의 망설임도 없이 답했다. "아니에요. 다음 비행에 성공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덧붙였다. 실패한 사람은 무엇을 하면 실패하는지 가장 잘 알고 있는, 어떻게 하면 안 되는지를 몸소 경험한 사람이라고. 

그의 단단한 말이 든든한 기댈 곳처럼 느껴졌다. 실패를 통해 입증되는 것은 나의 부족함이 아니라 그 순간까지 쌓은 나의 경험, 나의 앎이라는 의미니까. 그렇게 발상을 전환한다면 우리 각자에게, 우리 서로에게, 얼마나 너그러워질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 더 넓은 품에 안기는 우리를 그려보는 것만으로도 조금 위안이 된다. 이런 생각의 흐름이 얼마나 자의적인지 깨닫고 겸연쩍어 하다가, 이번에는 김상욱의 말에 슬쩍 기대본다. 그는 <알쓸인잡>을 시작하며 이야기했다. 우리는 TV를 보거나 소설을 읽거나 누구의 이야기를 듣더라도 거기에서 자신을 찾으려고 노력한다고. 

2회 방송에서는 이호 법의학자가 '내가 영화를 만든다면 주인공으로 삼고 싶은 인간'으로 히포크라테스를 꼽았다. 그리고 대화는 새로운 주제로 이어졌다. '우리는 어떤 인간을 사랑할까' 김영하는 발자크를, 심채경은 자기 자신을 사랑한다 말했다. 

'저는 제가 제일 좋아요'라고 말하는 심채경을 보면서 생각했다. 자신감이 넘쳐흐르는 사람인가? 자기를 중심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사람인가? 그러나 이어지는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깨달았다. '더할 나위 없어서' 나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나를 사랑하는 것, 그것이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일임을. 심채경은 알고 있었다. 실수하는 '나'와 그럼에도 더 잘하려고 하는 '나'와 그러다 또 실패하는 '나'를 모두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그렇지 않고 멋진 모습만을 사랑하려 한다면, 그것은 무너지기 쉬운 모래성과 같다는 것을.

사랑은 저절로 찾아오거나 솟아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정말 그럴까. 무언가를 사랑하는 일은 때로 결심과 애씀을 필요로 한다. 그런 순간이 적지는 않은 것 같다. 운 좋게 사랑이 제 발로 찾아온다 한들, 사랑하기로 마음을 먹고 거듭해서 마음을 쓰지 않는다면 놓치기 쉬운 까닭이다. 심채경의 말을 들으며 생각한다. 나를 사랑하는 일도 예외가 아닐 텐데, 왜 몰랐을까. 

하지만 우리는 나라는 인간을 너무 잘 알아서, 나보다 뛰어난 인간은 더 많이 알아서, 나를 사랑하는 일에 자주 실패한다. '그럼에도' 흔들리지 않고 나를 사랑하기 위해 심채경의 말을 떠올린다. 

"나의 경계를 조금 흐릿하게 두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자기 자신을 너무 촘촘하게 가둬놓으면 너무 쉽게 무게 중심이 흔들릴 수 있어요. 발레리나가 발끝으로 서 있는 것과 똑같은 거예요. 그런데 내 자신이 바닥에 주저앉아 있거나 누워있다고 생각하면 무게 중심을 내 안에 유지하기가 너무 쉽거든요. 자기 자신한테 너무 엄격하거나 특정한 모양으로 내가 있기를 기대하지 않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시청 포인트

# 지적인 수다의 즐거움을 안다면

# 인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궁금하다면

# <알쓸인잡>과 만나요!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그냥(팟캐스터, 작가)

<채널예스>에서 작가를 인터뷰하고, 팟캐스트 <책읽아웃> ‘황정은의 야심한책 - 삼자대책’ 코너에서 책을 소개한다.

오늘의 책

조셉 머피 박사의 최고 역작

조셉 머피의 대표작이자 시리즈의 완결편. 역사상 가장 뛰어난 자기계발서란 찬사를 받으며 수백만 부자들에게 영감을 준 책이다. 조셉 머피 박사가 잠재의식에 관해 40년간 연구해 온 통찰을 다양한 사례와 실천 방법을 제시해 삶의 극적인 변화를 이끌도록 돕는다.

너와 내게 들려주고 싶은 말

여기는 작은 동물들이 사는 숲. 털이 보송보송한 동물들이 속상해보이는 아이에게 다가가 슬며시 말을 건넵니다. 그 말속엔 사랑과 응원이 가득해요. 다정한 마음을 말로 전하기는 겸연쩍었다면 이 책을 건네보세요. 내가 늘 너를 이렇게 생각한다고, 소중한 사람에게 또 자신에게 전할 마음들.

일러스트로 보는 꽃과 나무 이야기

우리에게 친숙한 37가지 꽃과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자라나는 나무 37가지에 대한 간단한 지식과 감각적인 일러스트가 돋보이는 책. 기존 도감에서 볼 수 없었던 색채로 표현된 74가지 꽃과 나무는 가까이 있었지만 멀게 느껴졌던 자연의 세계로 독자를 초대한다.

제27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수상작

외로운 아이의 마음을 살피는 섬세한 시선이 빛나는 임수현 작가의 동시집. 밤이면 그림자들이 가는 세계, 개도 사람도 정어리도 같은 말을 쓰는 세계에서 아이들은 더 이상 외롭지 않다. 이 유쾌한 뒤죽박죽 상상 놀이터에서 한나절 신나게 놀고 온 어린이들의 마음은 오늘도 부쩍 자란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