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동안 <월간 채널예스>에 실린 연재 칼럼은 총 80여 개. 그중에서도 출판 편집자들이 가슴 두근대며 읽은 칼럼은 무엇일까? |
<박연준의 특별한 평범함>
시인이 포착한 일상을 깊고 따뜻하게 이야기하다
글쓴이 : 박연준(시인)
연재 기간 : 2018년 3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읽기 : 채널예스 웹진(ch.yes24.com) ▶ 칼럼 ▶ 불후의 칼럼 ▶ 박연준의 특별한 평범함
몸을 통과하는 문장들
하루 종일 ‘읽는’ 직업을 가졌지만, 퇴근하고 집에 가면 또 책을 읽는다. 지극히 사적인 독서, 일이 아닌 유희로 읽는다. 특히 에세이를 즐겨 읽는데, 작가가 자신의 삶을 고백하며 독자를 매혹시키고 싶어 하는 그 긴장과 ‘밀당’이 달콤해서다. 이때 읽는 문장들은 내면의 우물 안 이곳저곳에 고이며 흔적을 남긴다.
책으로 묶여 나온 에세이도 좋지만, 매체에 연재되는 에세이들은 매 호 따라 읽는 재미가 있어 좋다. 매달 <월간 채널예스>를 기다리는 이유 중 하나도 다양한 칼럼(에세이)을 만날 수 있어서다. 특히, 나는 몇 년 전, 박연준 시인에게 매료된 적이 있다. ‘박연준의 특별한 평범함’이라는 칼럼 제목 아래 시인이 포착하여 건져 올리는 에피소드와 단상을 읽다 보면, 나의 일상도 시인의 언어를 닮아 단정하게 빛날 수 있을 것 같았다. 매일의 일상은 단조롭지만 일주일, 한 달, 일 년은 다채롭게 복잡하지 않은가. 난 혼돈 속에서도 글을 읽으며 질서를 유지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기에, 시인이 정교하게 쌓아 올린 문장 안에서 마음껏 안온하게 헤맬 수 있었다. 그러다 문득 느슨해졌던 마음을 서늘하게 베는 문장을 만났다.
청춘은 별안간 끝난다. 끝이 난 줄 모르고 있다가 어느 날 조용필 콘서트장에서 문득, 펄펄 날아다니는 아이돌을 바라보다 문득, 비 맞은 관객 중 한 명으로 파묻혀 노래를 부르다 문득, 올봄에는 모란, 작약 한 번을 못 봤다고 고개를 수그리다 문득, 가스레인지에 라면 물을 올리다 문득, 끝이 난 것을 안다. _「조용필과 위대한 청춘(靑春)」 중에서
내 청춘도 어느새 그 찬란함을 다하고 희미해지고 있다는 것을, 박연준 시인의 이 문장을 읽으며 깨달았다. 친구를 만나거나 설거지를 하며 불현듯 느꼈던 ‘지나감’의 감각이 시인의 언어를 만나 옷을 입은 것이다. 그리고 읽은 후의 나는 조금 달라졌다. 천진하기만 한 독서가 불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는 달콤한 깨달음이기도 했다. 바람이 훅 몸을 통과하듯이, 좋은 에세이의 문장은 내 몸 안쪽으로 밀고 들어온다는 깨달음이었다. 몸으로 읽는 문장들, ‘박연준의 평범한 특별함’을 읽으며 자주 곱씹었던 느낌이었다.
추천기사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타별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성혜현(마음산책 편집자)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