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소개팅한 그 사람과 데이트를 몇 번 했어요. 아직 진지한 만남을 생각하는 단계는 아니고요. 그런데 연애를 좀 하다 보니 ‘오늘부터 1일!’ 하고 사귀기 시작하는 순간보다 썸 타는 지금이 훨씬 스릴 넘치는 기분이에요. 그 사람 사소한 것에도 더 애가 타고요.”
“좋을 때네요. 저도 분명 그런 시절이 있었던 것 같은데. 요즘은 애인과의 관계가 왜 이렇게 지겨울까요? 함께 하는 모든 게 재미가 없어요. 밥 먹는 모습조차 보기가 싫더라고요.”
“시작은 불금이었어요. 금요일 밤마다 보고 싶었던 드라마를 보면서 치맥을 즐겼습니다. 한 캔은순식간에 비웠고 아쉬워서 한 캔, 두 캔 더 마셨죠. 한동안 그런 생활을 반복 하다 보니 주말에도 연이어 술을 마시게 되더라고요. 지옥 같은 월요일에도 꼭 한 잔 해야겠고요. 그러다 결국 여기까지 오게 됐어요. 이제 매일 밤 와인 한 병 정도는 마셔야 잠을 잘 수 있을 정도예요. 돈은 벌어야 되니까 일어나서 출근은 하는데… 일 하는 중에도 계속 만취상태인 기분입니다. 저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역사 속 천재들은 많은 위대한 업적을 남겼지만 그들이 자신의 인생을 만족하며 살았는지는 모르겠어요. 아인슈타인은 진정한 동반자를 만나지 못하고 여기저기 염문설만 뿌리고 다녔고요, 그의 유전자의 영향으로 두 아들 중 한 명은 수력공학의 대가가 되었지만 다른 한 명은 정신병원에서 생을 마감했어요. 뉴턴도 말년에는 주술, 중세 연금술에 빠져 철학자의 돌을 찾는데 집착하다가 결국 50살에 완전히 미쳐버렸어요.”
우리에게 사랑을 알려주고, 또 금새 식게 만들고. 배고프지도 않은 데 햄버거를 먹게 하고 알코올 중독, 콜라 중독 등 각종 중독에 빠지게 하며, 무언가에 미쳐서 파멸을 이끌기도 하거나 누구도 생각 치 못한 놀라운 발명과 발견으로 인류를 번영시키기도 하는 것. 바로 뇌 속 화학 물질 ‘도파민’ 입니다.
태어날 때부터 도파민이 남들보다 많이 분비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여러분 주변에도 이런 사람 있지 않나요? 계속해서 무언가를 욕망하고, 남보다 더 잘 중독되고, 미래보다는 눈앞에 목표를 향해서만 나아가는 사람, ‘도파민형 인간’이죠. 지금 우리의 뇌 속에서도 엄청난 양의 도파민이 분비되고 있을 지 모릅니다. 하지만 도파민을 잘 활용한다면 결코 나쁜 방향으로만 우리를 움직이지는 않을 거예요. 미지의 세계를 상상하며, 꿈과 희망을 주는 것 역시 도파민이니까요.
이 흥미로운 화학물질에 대해 알아보는 따끈한 신간 『도파민형 인간』 입니다.
-
도파민형 인간대니얼 Z. 리버먼, 마이클 E. 롱 저/최가영 역 | 쌤앤파커스
일, 사랑, 권력, 진화, 정치 등 다양한 키워드로 ‘도파민형 인간’이 어떤 사람인지 밝히고, 양날의 검과 같은 도파민을 파멸이 아닌 진화 쪽으로, 중독이 아닌 성취 쪽으로 활용하는 과학적 근거와 메커니즘을 알려준다.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박정윤 (도서MD)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