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스트리밍 시대의 대중음악을 이해하는 키워드

'플랫폼 시대'의 일상이 이끌어가는 2019년의 음악 시장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소비 형태의 변화는 생산의 변화로 연결된다. 최근 몇 년 간 빌보드, UK 오피셜 차트로 대표되는 영미권 주요 음악 차트의 모습은 오랜 팬들에겐 다소 생경하다. (2019. 03. 08)

1.jpg

 


이제 우리는 음악을 소유하지 않는다. 레코드판, 컴팩트 디스크(CD)의 물리적인 형태는 물론 파일의 형태 다운로드조차 뒤떨어진 방식이 됐다. 스크롤, 클릭, 엄지 손가락의 움직임 몇 번만으로 수백, 수천만 노래들을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다.

 

미 음반 산업 협회(RIAA)가 작년 9월 출간한 2018년 음악 산업 리포트에 따르면 75%의 미국인들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음악을 소비한다. 디지털 다운로드는 12%, 피지컬 소비는 고작 10%에 그쳤다.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 스포티파이(Spotify)를 필두로 애플 뮤직, 아마존 등의 주요 플랫폼이 음악 소비의 핵심이자 일상으로 자리를 굳혔다.

 

소비 형태의 변화는 생산의 변화로 연결된다. 최근 몇 년 간 빌보드, UK 오피셜 차트로 대표되는 영미권 주요 음악 차트의 모습은 오랜 팬들에겐 다소 생경하다. 기존의 '팝송'이 라디오에 자주 플레이되는 노래를 의미했다면, 근래 차트를 점령한 노래들의 스타일은 스포티파이와 아이튠즈 차트에서 강세를 보이는 스트리밍 팝으로 새로운 대중성의 기준을 세운다.

 


나날이 짧아지는 인트로와 러닝 타임 


 

2.jpg


 

오하이오 대학의 음악학자 르빌 고빈은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3개의 톱 텐 송을 조사하며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해냈다. 1980년대 중반의 히트송들은 평균적으로 20초에서 25초가량의 도입부를 갖고 있었던 반면, 2015년 히트곡의 평균 인트로는 5초에 불과했다. 인트로만 없는 것이 아니라 이렇다 할 훅(Hook)도 자취를 감추는 스트리밍 시대 팝송이다.

 

손가락으로 좌우되는 스트리밍 시대에서 음악의 성패는 몇 초만에 갈린다. 사용자의 음악 감상 패턴을 분석하여 제공되는 맞춤 플레이리스트는 음악의 일회성을 더욱 부추긴다. '재미없는 곡'은 순식간에 다음 노래에게 순서를 내주고 만다. 온라인 뉴스지 <쿼츠>의 통계&경제 전문 기자 댄 코프의 통계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차트 히트곡을 조사한 결과 인트로뿐만 아니라 전체 곡 길이 역시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3.jpg

                                           ▶2018년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오른 곡 리스트. 드레이크가 압도적이다.

 

 

작년 최고의 히트 가수 드레이크의 앨범 <Scorpion>은 2016년 <Views>보다 트랙 수는 많지만 전체 러닝 타임은 11%나 줄었다. 현재 빌보드 싱글 차트 톱 텐에 오른 노래 중 4분을 넘는 노래는 트래비스 스캇의 'SICKO MODE' 뿐이다. 후크 송의 위력은 갈수록 줄어들고 평탄한 구조의 곡이 대세가 됐다.

 

이는 싱글보다 앨범, 그 앨범을 만든 아티스트가 더욱 주목받는 결과로 연결된다. 지난해 드레이크와 미고스가 보여준 '음원 줄 세우기'가 좋은 예다. 따로 싱글 발매를 하지 않아도 앨범 수록곡 전체가 고루고루 싱글 차트를 점령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자연히 앨범 트랙 수는 늘어나고 개별 러닝 타임은 줄어든다. 빌보드 싱글 차트 1,2,3위를 동시 점령한 아리아나 그란데의 <thank u, next>에서도 이런 경향이 보인다.

 

 

과시와 불안


 

4.jpg


 

음악은 점점 슬퍼진다.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 캠퍼스가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영국에서 발표된 50만 곡을 분석한 결과, '행복(Happiness)'과 '밝음(Brightness)'의 키워드는 감소한 반면 '슬픔(Sadness)'의 빈도는 증가했다. 슬픔의 테마가 반드시 성공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나 슬픔을 노래하는 곡이 늘었다는 사실이다.

 

모바일 기반의 개인적 기술 발전과 소셜 미디어는 이와 같은 우울의 경향을 더욱 부추긴다. 미국을 분석하는 퓨 리서치 센터에 따르면 음악의 주 소비층인 미국 십 대들이 최근 설문 조사에서 '우울과 불안(Depression and Anxiety)'을 가장 큰 이슈로 생각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신인 빌리 아일리시와 XXX텐타시온의 성공은 가장 좋은 예시다. 2001년 생 빌리 아일리시의 최신 히트곡 'bury a friend'를 보자. 어둡고 미니멀한 비트는 단 한 줄기 희망도 주지 않을뿐더러 '유리를 밟고, 혀를 스테이플러로 찍고, 친구를 묻어버려 / 난 나를 끝장내고 싶어'라는 가사는 음울의 극단이다. 이런 노래가 빌보드 싱글 차트 14위에 올랐다.

 

끔찍한 범죄자라는 현실이 무색하게도 지독한 자기혐오를 표현했던 텐타시온은 스트리밍 시대의 감성을 파고들었다. 그의 방종하고도 무절제한 우울은 '거장' 카니예 웨스트부터 최신 스타 드레이크, 트래비스 스캇을 비롯한 수많은 래퍼들에게 영감을 제공했다.

 

 

이유 있는 복고 열풍


 

5.jpg


 

재밌는 건 이 '과거'에서 20세기의 음악들은 예외다. '레트로'라는 이름으로 새 생명을 얻은 1980년대의 뉴웨이브와 1990년대 얼터너티브는 십 대들에게 전혀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느낌을 제공한다. 위저가 토토의 1983년 히트곡 'Africa'를 커버하게 된 계기는 그 시대를 살았던 장년층의 편지가 아니라,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를 본 십 대 소녀의 간곡한 트윗 덕분이었다.

 

디지털에 서툰 기성세대보다 각종 기기들을 능숙히 다루는 틴에이저들이 옛 음악을 즐겨 듣는다는 건 꽤 흥미로운 모습이다. 스트리밍 시대엔 트랩 아이돌 릴 펌의 'Gucci gang?과 1970년대 레드 제플린을 능숙하게 카피하는 그레타 밴 플릿이 공존한다. 전자는 후자의 음악을 '구리다'며 조롱하고, 후자 집단은 '진짜 음악을 들어봤냐'며 요즘 음악을 '가짜'라 공격한다.

 

 

앞날은?


 

6.jpg


 

이외에도 스트리밍 지배 구조는 전혀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경향을 도출한다. 디지털의 지배에 염증을 느낀 마니아들이 LP 수집에 열을 올리면서 매 년 바이닐 판매고가 상승일로다. 곡 자체의 매력보다 댄스와 SNS 놀이를 유발하는 '챌린지' 노래들이 차트에 오르는가 하면, 복고를 스크린으로 소환한 <보헤미안 랩소디>와 <스타 이즈 본>이 큰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대중음악의 역사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1887년 레코드의 발명을 이해하지 못하면 왜 대중음악의 초기 곡들이 3분을 넘지 않았는지도 이해할 수 없다. 아이팟(iPod)과 냅스터(Napster)를 이해하지 못하고 디지털 음악 시장을 논할 수 없고, 통신 기술의 발달을 빼놓고 스트리밍 기술의 실현을 말할 수 없다.

 

일상 속 기술을 이해하면 유행의 원인도 보인다. 스트리밍 시대의 음악은 새로운 형태로 유행을 반복하며 더욱 예측 어려운 형태로 진화 중이다. '플랫폼 시대'의 일상이 이끌어가는 2019년의 음악 시장이다.

 

 


배너_책읽아웃-띠배너.jpg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YES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 | 이즘

이즘(www.izm.co.kr)은 음악 평론가 임진모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대중음악 웹진이다. 2001년 8월에 오픈한 이래로 매주 가요, 팝, 영화음악에 대한 리뷰를 게재해 오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올뮤직가이드’를 목표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힘썼으나 지금은 인터뷰와 리뷰 중심의 웹진에 비중을 두고 있다. 풍부한 자료가 구비된 음악 라이브러리와 필자 개개인의 관점이 살아 있는 비평 사이트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오늘의 책

이토록 매혹적인 외국어 공부

인간은 언어를 구사하는 존재다. 우리가 언어를 배우는 이유는 보다 나은 인간이 되기 위해서다. 외국어 공부는 보다 넓은 세계도 보여준다. 『숲속의 자본주의자』 박혜윤, 응용언어학자 김미소 두 저자가 쓴 글을 읽으면 미치도록 외국어 공부가 하고 싶어진다. 영어, 일어 모두.

배우 문가영이 아닌, 사람 문가영의 은밀한 기록

배우 문가영의 첫 산문집. 문가영은 이번 에세이를 통해 ‘파타’라는 새로운 얼굴을 통해 자신의 내밀한 언어들을 선보인다. 자신을 경계인으로 규정하며, 솔직한 생각과 경험을 형태와 시공간을 뛰어넘어 실험적으로 다뤄냈다. 앞으로의 그녀가 더 기대되는 순간들로 가득 차 있는 에세이.

자유롭고 행복한 삶

좋아하는 일을 하며 자유로운 삶에 도달한 68만 유튜브 크리에이터 드로우앤드류의 신간이다. 남에게 보이는 삶을 벗어나 온전한 나의 삶을 위해 해온 노력과 경험을 들려준다. 막막하고 불안한 20-30대에게 자신만의 삶을 방식을 찾아가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다.

사교육의 나라에서 흔들리지 않고 중심잡기

단돈 8만 원으로 자녀를 과학고에 보낸 엄마가 알려주는 사교육을 줄이고 최상위권 성적으로 도약하는 법! 고액의 사교육비와 학원에 의존하는 대신, 아이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위해 부모가 가정에서 어떻게 올바른 학습 환경을 마련하고 노력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려준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