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정혜윤 PD “책은 용감한 생각들을 선물해줍니다”

정혜윤 PD의 서재

  • 페이스북
  • 트위터
  • 복사

책은 나에게 없는 생각을 불어넣어주고 전에는 생각도 못 해본 생각을 하게 해줍니다. 나의 시시한 점은 덜어내고, 반복되는 단점은 갖다 버리고, 남의 신선하고 용감한 생각으로 나를 다시 채울 결심 같은 것을 책을 읽다 보면 늘 하게 됩니다. (2017.08.21)

 

본문에는 이 사진만 넣어주세요 _ 기사 작성 시.png

 

책의 재미를 느낀 때는 언제부터였나요?

 

나에게 불만족할 때부터, 나의 모습이 부끄러울 때부터라고 말하는 게 맞을 것 같아요. 책을 읽으면 뭔가 혼란스러운 생각이 형태를 잡아간다고 느낀 뒤로는 책을 읽지 않으면  나에게 좋은 일을 하지 않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읽지 않으면 분명히 꼭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일을 하지 않고 있을 때의 초조감 같은 게 느껴집니다. 재미보다는 살 방법과 도움을 얻고자 읽었는데 사실 그것이야말로 재미였습니다. 책을 읽고 그 책이 좋으면 “이거 너무 좋은 거 아니니?” 이렇게 말할 수 있을 때 너무 즐거워요. 그게 아예 말버릇이 되었어요, 너무 좋은 것을 표현하는 것이. “이거 진짜 참 좋구나!”, “다른 이야기 말고, 우리 좋은 거나 이야기하자!” 이런 시간이 늘어나는 게 즐겁고 재미있는 일이었습니다.

 

독서는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위 질문과 어느 정도 대답이 겹치는데, 제 경우는 하루에도 오만 가지 일로 감정이 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 생각에만 빠져 있으면 세상에 나같이 옳은 사람은 없지만 그 생각은 반나절이면 틀린 것으로 판명 나요. 우리는 항상 이렇게도 될 수 있고 저렇게도 될 수 있는데 결국 더 나은 선택과 판단을 하길 멈추지 말아야 하고 그래야만 발 뻗고 잘 수 있고 내적으로 떳떳하고 양심이 덜 괴로워요. 그때 책만큼 제게 도움이 된 것이 없었어요. 책은 나에게 없는 생각을 불어넣어주고 전에는 생각도 못 해본 생각을 하게 해줍니다. 나의 시시한 점은 덜어내고, 반복되는 단점은 갖다 버리고, 남의 신선하고 용감한 생각으로 나를 다시 채울 결심 같은 것을 책을 읽다 보면 늘 하게 됩니다.

 

요즘 저자님의 관심사는 무엇이며 그 관심사와 관계하여 읽을 계획인 책이 있나요?

 

제 관심사는 평생 똑같았습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 어느 때는 “누구의 친구가 될 것인가? 어떻게 시간을 쓸 것인가?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까? 누구를 만나 어떤 이야기를 나눌까? 무엇을 하면 꼭 해야만 하는 일을 했다는 느낌이 들까?” 등등 변주가 있지만 결국은 늘 “어떻게 살 것인가?” 였어요. 최근에 가장 많이 생각하는 사람은 빈센트 반 고흐입니다. 평생 처절한 왕따, 살짝 맛이 간 사람으로 여겨졌던 외롭고 고단한 반 고흐가 서른 해를 넘기고 한 말이 나에게 깊은 충격을 주었어요.

 

“몸을 아낀다거나 마음의 동요와 이런저런 어려움을 피해갈 생각은 없다. 좀 더 오래 사는 문제에는 관심이 없다. 내가 명심하고 있는 것, 그것은 수년 내에 과업 하나를 완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30년이나 떠돌았기 때문에 내겐 갚아야 할 부채와 완수해야 할 과업이 있으며 세상이 내게 관심을 갖는 건 내가 감사의 표시로 추억거리를 남기는 한에서인 것이다.”

 

이 글을 읽고 잠시 거리를 서성였습니다. 저는 빈센트 반 고흐보다는 훨씬 많은 사랑을 받았어요. 저에게도 꼭 해야 할 일과 꼭 증거로 남겨야 하는 감사와 사랑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작 『인생의 일요일들』과 관련하여, 독자들에게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균형 감각에 관한 것이에요. 실망하고 피곤하고 대충 살고 싶을 때 어떻게 마음의 균형을 잡고 힘을 낼까? 나 자신부터 마음이 어두운 날 이 책을 읽으면 반드시 어느 페이지에선가는 힘이 불끈 솟는 글을 쓰고 싶었습니다. 제 책을 읽고 멋진 리뷰를 해준 독자가 있었습니다. 책 속에 ‘구원은 세상에 좋은 일 하나 추가! 좋은 일 하나 늘리는 것’이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그것을 읽은 독자의 동네에 떠돌이 개가 있었답니다. 새끼를 여섯 마리나 낳아서 젖은 퉁퉁 불고 축 늘어져 있는데 배가 고파서 눈동자에 슬픔이 가득했대요. 독자는 그 엄마 개를 가만히 쓰다듬고 말을 걸고 ‘나를 따라 와!’ 라고 말한 다음에 달걀 반쪽을 건네줬다고 합니다. 그 독자도 형편이 어려워서 달걀 반쪽이라도 아껴야 하는 처지였는데 말이죠. 그때 책 속의 문장을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래, 이렇게 행동하는 것이 개에게는 좋은 일 하나가 늘어나는 거야!’ 저는 이 독자가 정말로 고마웠습니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평가하려는 게 아니라 어쩌면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유대감을 느끼면서 함께 살려고 읽는 것 같습니다.

 

 

명사의 추천

 

결혼, 여름
알베르 까뮈 저 / 김화영 역 | 책세상

정말 놀랐다. 불행과 행복에 대한 내 생각을 완전히 전복적으로 뒤집었다. 우리는 슬프지만 그렇게 슬픈 것은 아니다! 이 문장을 잘 음미해보길.

 

 

 

 

 

 

돈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 사아베드라 저 / 안영옥 역 | 열린책들

산초를 너무 좋아한다. 그 너스레, 그 충성, 그 동행, 주인이 살짝 맛이 간 사람인 줄 알면서도 그 깊은 순수함 또한 읽어내는 점. 세계문학에서 가장 멋진 2인조라고 생각한다.

 

 

 

 

 

전도서에 바치는 장미
로저 젤라즈니 저 / 김상훈 역 | 열린책들

자신이 하는 말을 자신조차 사실 믿고 있지 않다면?
그것만큼 공허할 수가…

 

 

 

 

 

 

우주 만화
이탈로 칼비노 저 / 김운찬 역 | 열린책들

이탈로 칼비노는 나에게는 영광, 보물, 대천사다. 이탈로 칼비노의 내가 입에 달고 살아야 할 말이 무엇인지 알게 해주었다. 그 말들은 마법의 주문이다. 입밖에 내는 순간 세상이 변한다. 나도 환하게 밝아진다. 다시 동작이 빨라진다. 우울하면 늘 그 책에 나오는 문장들을 생각한다. 『우주 만화』 외에도 『나무 위의 남작』, 『보이지 않는 도시들』을 좋아한다.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SNS 버튼을 눌러 추천해주세요.

독자 리뷰

(0개)

  • 독자 의견 이벤트

채널예스 독자 리뷰 혜택 안내

닫기

부분 인원 혜택 (YES포인트)
댓글왕 1 30,000원
우수 댓글상 11 10,000원
노력상 12 5,000원
 등록
더보기

글ㆍ사진 | 출판사 제공

출판사에서 제공한 자료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채널예스>에만 보내주시는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오늘의 책

조셉 머피 박사의 최고 역작

조셉 머피의 대표작이자 시리즈의 완결편. 역사상 가장 뛰어난 자기계발서란 찬사를 받으며 수백만 부자들에게 영감을 준 책이다. 조셉 머피 박사가 잠재의식에 관해 40년간 연구해 온 통찰을 다양한 사례와 실천 방법을 제시해 삶의 극적인 변화를 이끌도록 돕는다.

너와 내게 들려주고 싶은 말

여기는 작은 동물들이 사는 숲. 털이 보송보송한 동물들이 속상해보이는 아이에게 다가가 슬며시 말을 건넵니다. 그 말속엔 사랑과 응원이 가득해요. 다정한 마음을 말로 전하기는 겸연쩍었다면 이 책을 건네보세요. 내가 늘 너를 이렇게 생각한다고, 소중한 사람에게 또 자신에게 전할 마음들.

일러스트로 보는 꽃과 나무 이야기

우리에게 친숙한 37가지 꽃과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자라나는 나무 37가지에 대한 간단한 지식과 감각적인 일러스트가 돋보이는 책. 기존 도감에서 볼 수 없었던 색채로 표현된 74가지 꽃과 나무는 가까이 있었지만 멀게 느껴졌던 자연의 세계로 독자를 초대한다.

제27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수상작

외로운 아이의 마음을 살피는 섬세한 시선이 빛나는 임수현 작가의 동시집. 밤이면 그림자들이 가는 세계, 개도 사람도 정어리도 같은 말을 쓰는 세계에서 아이들은 더 이상 외롭지 않다. 이 유쾌한 뒤죽박죽 상상 놀이터에서 한나절 신나게 놀고 온 어린이들의 마음은 오늘도 부쩍 자란다.

.

주목! 투데이 포커스


문화지원프로젝트
PYCHYESWEB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