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라는 두려움과 함께라는 유혹 사이에서 서성이는 이들에게
![]() |
옷깃을 여미며 언제 봄이 오냐고 투덜대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거리엔 온통 벚꽃이 흩날립니다. 그리고 약속이나 한 듯 여기저기서 결혼 소식이 들려오죠. 뒤이어 날아오는 한마디, “너도, 결혼해야지-”
어려선 결혼하는 게 당연한 줄 알았습니다.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을 다니다 가정을 꾸리는 삶, 여기에 의문을 가지지 못했습니다. 그냥 그렇게, 모두들 살아가는 줄 알았으니까요. 그런데 시간이 흐르고 다른 이들의 삶을 엿보면서, 문득 의문이 생겨났습니다. 결혼, 꼭 해야 하는 걸까요?
자기 생각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우리는 다른 이들의 시선을 늘 신경 쓸 수밖에 없습니다. 정상의 범주에 든 삶을 살아야 할 듯한 기분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끊임없이 말하거든요. “결혼, 왜 안 해?” 이 모든 시절을 지나온 이윤용 작가가 이에 대한 답을 준비했습니다. 남들은 다 괜찮아 보이던 시절을 지나 이젠 이것도 괜찮지의 시절을 보내고 있는 작가가 우리에게 전하는 한마디, 『저는 괜찮습니다만,』 .
안녕하세요, 이 책을 만든 편집자 배윤영이라고 합니다.
책의 쓸모 중 하나는 나보다 앞서 살아간 이들의 삶에서 힌트를 얻는 것이 아닐까요? 그런 면에서 『저는 괜찮습니다만,』은 참 충실한 책입니다. 작가 자신과 주변인의 연애, 만남, 이별 같은 내밀한 이야기에서부터 자전거, 노트북 배터리, 우산, 방충망처럼 일상에서 건져 올린 소소한 이야깃거리를 통해 풀어내는 삶의 이야기들이 우리의 매일매일에 사무치게 와 닿기 때문입니다. 읽다 보면 피식 웃다가 찔끔 눈물이 나기도 하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무릎을 탁 치며 공감하게 하죠. 헤매고 넘어지는 길에서 조금은 덜 다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이구요.
결혼하건 안 하건 중요한 건 자신의 삶을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건 오직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니까요. 또 혼자 행복하지 못하면 함께여도 행복하지 못한 법이니까요. 작가는 어떤 결론도 내리지 않습니다. 다만, 삶이라는 길에서 하루하루 부대끼면서도 꿋꿋하게 살아가면, 그걸로 된 거라고 어깨를 토닥일 뿐이죠.
마지막은 이윤용 작가의 서문으로 대신하려 합니다. “결코 녹록지 않은 타인의 시선 속에, 저는 이제 답을 준비합니다. 저는 괜찮습니다만, 이 대답은 결코 괜찮지 않은 세상에 대한 오기이기도 하며 스스로에 대한 주문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나아가, 이 책을 읽는 당신에게도 작은 주문이 될 수 있기를. 당신도 괜찮습니다만,”
1969년 7월 5일. 신원을 밝히지 않은 한 남자가 샌프란시스코 경찰에 전화를 걸어서 남긴 말이다 경찰은 즉시 현장으로 출동했고 괴한의 말처럼 총상을 입고 쓰러져 있는 마이클과 페린이라는 이름의 두 연인을 발견해서 서둘러 병원으로 이송했지만 페린은 결국 사망했다.
작년 12월 허먼로드에서 있었던 일은 1968년 12월 20일. 베니샤 시 외곽의 허먼로드 호수에서 데이트를 즐기던 페러데이와 베티가 살해된 사건을 말한다. 당시 죽은 두 연인의 나이는 고작 17살, 16살이었다. 당시 경찰은 둘의 시신을 확인하고 곧 조사에 들어갔으나 별다른 단서를 찾지 못했는데 6개월 후 다시 살인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얼마 뒤인 1969년 8월 1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유력 신문사에 한 통의 편지가 배달 되었다. 내용인즉슨 두 살인 사건이 모두 자신의 소행이라는 주장과 사건에 관한 상세한 설명 이었다. 아울러 범인은 4개의 암호문을 동봉하면서 이를 신문에 개재하지 않으면 살인을 계속 하겠다고 협박했다. 편지에는 또 동그라미와 십자가를 겹쳐놓은 사격 표적과 같은 것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는 나중에 조디악 표시 라고 불리었고 편지를 보내온 범인은 조디악 킬러라고 불렸다. 추후에 편지들이 매번 "조디악 가라사대"라는 문구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 『왜 그들은 우리를 파괴하는가』 (메디치미디어) 中에서
‘대한민국 No.1 문화웹진’ 예스24 채널예스
저는 괜찮습니다만,
출판사 | 예담

이동진
어찌어찌 하다보니 ‘신문사 기자’ 생활을 십 수년간 했고, 또 어찌어찌 하다보니 ‘영화평론가’로 불리게 됐다. 영화를 너무나 좋아했지만 한 번도 꿈꾸진 않았던 ‘영화 전문가’가 됐고, 글쓰기에 대한 절망의 끝에서 ‘글쟁이’가 됐다. 꿈이 없었다기보다는 꿈을 지탱할 만한 의지가 없었다. 그리고 이제, 삶에서 꿈이 그렇게 중요한가라고 되물으며 변명한다.
susunhoy
2017.05.12
이제 밤고 깊어 고요한데
창밖을 두드리는 소리
잠못 이루고 깨어나서
창문을 열고 내어다 보니
사람은 간곳이 없고
외로이 남아 있는 저 웨딩케익
그 누가 두고 갔나
나는 가네 서글픈 나의 사랑이여
이밤이 지나가면
나는 가네 원치않는 사람에게로
눈물을 흘리면서
나는 가네 그대 아닌 사람에게로
이밤이 지나가면
나는 가네 사랑치 않은 사람에게로
마지막 단 한번만
그대 모습 보게하여 주오 사랑
아픈 내마음도 모른채
멀리서 들려오는 무정한 새벽 종소리
행여나 아쉬움에 그리움에
그대 모습 보일까 창밖을 내다봐도
이미 사라져 버린 그모습
어디서나 찾을 수 없어
남겨진 웨딩 케익만 바라보며
하염없이 눈물 흘리네
남겨진 웨딩 케익만 바라보며
하염없이 눈물 흘리네
.
.
혼자서 행복한 사람은
함께해도 행복한 사람이라는
말씀에 공감하게 되네요
비도 내리고 즐거운 금요일인데
[좋은데이]하면 괜찮지요 ㅋ
'창밖을 두드리는 소리' 듣다가
선물로 두고갑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QML3NPSXvU
>>웨딩케잌/송창식,제이레빗
(가사보다 기타소리가 좋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