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사립학교에서 일반공립학교로 전학을 가게 된 앨비는 잘하는 게 별로 없는 아이다. 수학도 못하고 5학년 또래 아이들이라면 읽어야 할 책도 읽지 못한다. 받아쓰기 시험에서는 D를 면치 못하고 학교에서는 친구들의 놀림거리가 되곤 한다. 하지만 좋아하는 것이 있다. 2학년 아이들이나 읽을 법한 빤스맨 만화책이라던가, 뉴욕에서 맛볼 수 있는 온갖 맛있는 도넛, 그리고 아이들이 말을 더듬는다고 놀리는 같은 반 친구 '베베베베시'.
어딘가 모자란듯한 앨비는 현재 자신의 상황을 딱 자기만큼만 이해한다. 앨비의 엄마는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앨비가 난독증에 걸린 게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약간의 장애가 있는 거라고. 검사도 해보지만 난독증이 아니라는 결과가 나온다. 하지만 앨비가 보기에 엄마는 내가 병이 아니래도 별로 기뻐하는 것 같지않다. 앨비의 아빠는 앨비가 좋아하는 A-10 선더볼트를 일년 반 전에 앨비에게 사주었다. 꼭 같이 만들자는 약속을 일 년 반째 기억하지 못하고 있는 아빠지만 언젠간 아빠가 함께 만들자고 할지도 몰라서 앨비는 일 년 반째 비행기를 조립하고 있다.
『아트걸과 도넛맨』은 앨비의 마음을 담은 일기 같은 책이다. 앨비는 엄마와 아빠가 원하는 대로 하려다 보니 늘 부족하고 잘 하지 못하는 아이다. 친구들 사이에서도 소위 멋진 아이가 되기 위해 스스로 멋지지 않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하다가 진짜 소중한 친구와 멀어질 뻔 한다. 그런 앨비의 곁에 아트걸 칼리스타 누나가 나타난다. 칼리스타 누나는 엄마가 가보라는 박물관 대신 동물원에 데려가 주고, 엄마가 읽으라는 ‘조니 트리페이스’대신 앨비 좋아하는 빤스맨을 읽어도 된다고 한다. 잘 하는 게 뭔지 모르겠지만 나도 잘 하는 걸 하고 싶다고 말하는 앨비에게 캘리스타 누나는 네가 좋아하는 걸 하라고 얘기해준다.
하지만 그 나이 아이들이 그렇듯 앨비도 자기기 좋아하는 걸 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알지 못한다. 좋아하는 걸 하기 위해선 많은 용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많은 벽에 부딪히기도 한다. 때로는 견디기 힘든 어려움이 닥쳐 다시는 어두운 동굴 속에서 나오지 못할 것 같다. 하지만 앨비는 모진 말들을 마음 속에서 굴리고 굴려 둥글게 만든 다음 아픔을 가볍게 만드는 법도 알게 된다. ‘지금 그 자리에 있지 않으면 가고자 하는 곳에 갈 수 없다’는 수학 특별반 선생님의 이야기가, 형편없이 못하더라도 하고 싶은 걸 계속 찾아 보라는 칼리스타 누나의 이야기가 앨비를 조금 더 단단하게 만들어준다.
1등이 되지 못했다고 누가 감히 그 인생을 실패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을까?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그리고 자신이 얼마나 다정한 도넛맨인 지를 깨닫게 된 앨비처럼 우리 아이들이 좋아하는 일을 하며 행복해지기를 간절히 바라게 되는 동화다.
-
아트걸과 도넛맨리사 그래프 글/최지현 역 | 찰리북
미래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로 힘들어하는 아이들을 위로하는『아트걸과 도넛맨』이 찰리북에서 출간됐습니다. 스스로 ‘잘하는 건 아무것도 없고, 그냥 도넛을 정말 좋아하기만 한다’고 생각하는 초등학교 5학년 앨비가 미술 대학에 다니는 보모 칼리스타 누나를 만나면서 경험하는 잔잔한 변화와 성장을 그린 책입니다.

김태희(도서MD)
채널예스는 예스24에서 운영하는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 보세요.